$\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의 의학연구방식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A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Way of Medical Study of ShangHanLun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2 no.2, 2014년, pp.1 - 13  

이숭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hangHanLun is a clinical guideline, and its core is in the part of Six-meridian Diseases. In recent philological sutdies, independent textual analysis of Shanghanlun is essential to define the scope of research. Methods : By the textual study, I defined the Shanghanlun clinic mode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체의 다른 한의학 서적의 내용을 배제하고 『傷寒論』 자체의 서술구조 분석과 해석을 통한 임상모델을 제시하고, 이 임상모델과 관련되어 있는 『傷寒論』의 연구범위에 대한 논란, 『金匱要略』과의 관계, 『黃帝內經』과의 관계, 『康平傷寒論』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문헌학적 고찰을 진행함으로써 향후 독자적인 『傷寒論』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그러한 방식의 연구에 익숙한 의가들은 자연스럽게 『傷寒論』도 다른 서적들처럼 질병의 실체에 대한 연구서적일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형성과정에 대해서도 오랜 시간동안 한의학의 주요 이론으로 인정된 『黃帝內經』의 이론을 중심으로 치료법을 선정하는 과정을 기록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한 것이다. 이러한 추정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傷寒論』에 대한 몇 가지 문헌학적 선입견으로 형성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몇 가지 문헌학적인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논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論는 무엇인가? 『傷寒論』은 서술구조상 한의학 最古의 임상지침서로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六經 또는 三陰三陽을 중심으로 脈과 證을 처방과 연결시킨 이론과 진단, 처방의 연결체계도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1).
인간이 질병 앓게 되면 일어나는 변화는? 인간은 질병을 앓게 되면 외부로 드러나는 이미지, 생활모습, 감정, 식사, 수면, 대변, 소변, 호흡, 땀의 양상, 온도에 대한 저항성, 근육의 긴장 상태, 통증에 대한 민감도, 수분섭취욕구, 가슴이나 복부의 팽만감 등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傷寒論』의 조문은 인간의 이러한 변화들을 관찰하여 그것을 목표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의학와 다른 傷寒論의 차이점은? 예를 들면, ‘위염(gastritis)’이라는 질병을 앓게 되면, 속쓰림·소화장애·식욕저하·복통 등의 증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그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인간의 감정, 체온, 수면상태, 땀분비 등의 변화는 개체마다 다르다. 현대의학의 생의학적 모델은 같은 종(species)이라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의 원인인 위의 염증을 확인하고 그것을 치료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나, 『傷寒論』에서는 각 개체(individual)의 위염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증후가 선행하였는지를 분석하여 六經提綱을 선정하고, 위염을 앓게 된 환자의 특징을 분석하여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방식은 질병의 실체에 대한 연구보다는 질병을 앓고 있는 인간에 대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amada Keiji. How di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tart. Seoul. Publishing Company Science Books. 2002;155,171,57-75,170-171. 

  2. Park KM, Choi SH. A Comparative Study of ShangHanLun and HuangDiNeiJing by Historical Study of GangPyeong-ShangHanRun.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Classics. 1996; 9:269,289,290,293. 

  3. Lee JH, Jeong CH. YakJing. Seoul. Publishing Company ChungHong. 2006:68. 

  4. Feng SR. The Six Meridians and Prescription-Symptoms of ShangHanLun. Seoul. Omniherb. 2012;6,529. 

  5. Kim NI. A Tentative Assumption on the Academic Schools of Korean Oriental Medicine.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History. 2004;17(2):19. 

  6. Kim YO. Korean Traditional Medicine of You and I. Seoul. Publishing company Log. 1993; 100,107,110,112,134,108-111,119-120. 

  7. Lee SJ, Lim JE. A Diagnostic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Seoul. Department of Scholarship and Education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4:1-6. 

  8. Lee SI. The New Gobangcahncha. Seoul. 2012 : 368,371,382,387,388,389,391,404-405. 

  9. Moon JJ, Ahn GS, Kim SH, Park JH, Kim DH, Choi DY, et al. ShangHanLunJeongHae. Seoul. Publicaton HanEuiMunHwaSa. 2010;47-8. 

  10. The Editorial Department of MinjungSeorim.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Seoul. Publishing Company MinjungSeorim.1995:1003. 

  11. The Team of Naver Dictionary. Naver Dicionary-Haja. Available from :URL : http://hanja.naver.com 

  12. Yang YS. A Study on JinGui, by the Relation between JinGuiLu and ZhongJing-JinGuiLu.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History. 2006;19(1):211. 

  13. Lee DM, Yoon CY.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A Characteristics of Science of Jinguiyaolue. Journal of the Korean Medicine Institute of DaeJeon University. 2004;12(2):41. 

  14. Kim KU, Park HG. A Literature Study on the Formation of ShangHanLun during TangSong Period.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1;14(2):111-3,114-5. 

  15. Lee SB. The Collection of ShangHanLun Editions. Beijing. Publishing Company HakWon. 2000. 

  16. Wang SY, Choi HS, Kim YJ. The Study about GyoJungEuiSeoGook of Song Dynasty-On the basis of viewpoint in building the foundation of scientific research. Th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Classics. 2004;25(1) : 109-110. 

  17. Huang YJ. The Old Version Kangping-Shanghanlun. Changsha. Hunanrenminchubanshe. 1988:7,32,39,73,86. 

  18. Chen FP, Chen FJ, Jong MS, Tsai HL, Wang JR, Hwang SJ. Modern Use of Chinese Herbal Formulae from Shanghanlun, Chinese Medical Journal. 2009;122(16):1889, 1893. 

  19. Kim SJ. Three cases of chronic cough treated with Gui-Zhi-Tang in Shanghanlun 12th and 15th text.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40. 

  20. Lee LC, Min JH. A Case Report of Overactive Bladder treated by Gamchogungang-tang, Hoiyeok-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46,51. 

  21. Lee LC, Lee JB. A Case Report of Taeyangbyeong Nausea Patient with Soshiho-tang.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54,58. 

  22. Jung MJ, Park JC, Lee EK, Yang DM, Yu DI. A case study on a pati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ADHD.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62. 

  23. Kim SJ, Lim HT. Two Cases Report of Allergic Rhinitis Treated by Saengkangsasimtang.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81-82. 

  24. Yun SM, Im EK. A Case Report of Atopic Dematitis treated by Osuyu-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90-91. 

  25. Shin JM, Hyun JY. A Case Report of Soeumbyeong Acne Vulgaris Patient Treated with Osuyu-tang.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hanghan-Geumgwe. 2013;5(1):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