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멘트산업은 건설산업에의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중추이지만 시멘트 제조시 고온의 소성이 필요하고 소성시의 원료 및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CO_2$와 구조물 해체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리사이클을 통해 시멘트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불활성 충전재로서의 활용에서 벗어나 화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배합조건을 조절하여 클링커 및 시멘트를 제조하고 미세조직 및 상분석을 실시하여 저탄소형 시멘트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활용한 저탄소형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며 유효활용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cement industry serves as the cornerston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supplying one of its fundamental materials, it confronts new environmental challenges due to the problem of the $CO_2$ generated from raw materials and fuel used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하여 저탄소형 시멘트의 원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 기존의 불활성 충전재로의 활용에서 벗어나 미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배합 조건을 조절하여 클링커를 제조하고 제조된 클링커의 미세조직 및 상분석을 실시하여 저탄소형 시멘트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폐콘크리트의 활용은 어떻게 되는가? 이에 따라 폐콘크리트 내부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은 충분한 이유가 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폐콘크리트는 도로공사용이나 시멘트 2차 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Ahn et al.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혼입률이 증가하면 Free CaO 값이 높아지는 이유는? 또한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혼입율이 증가함에 따라 Free CaO 값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는 폐콘크리트 미분말 혼입율의 증가에 따라 C3S의 생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소성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모든 배합조건에서 동일하였으며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Free CaO 값이 낮았다.
시멘트산업에서 CO2 수지 산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81kg-CO2/kg의 CO2가 발생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시멘트산업에서 CO2 수지 산정의 문제점은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CO2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점이 공통된 인식이며 발생원만 산정되고 시멘트의 재활용 및 탄산화에 의한 재흡수 과정은 산정되지 못한다(IPCC, APP CTF). 또한 CO2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도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등의 혼합시멘트의 사용에 따른 감소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Ahn Jaecheol et al. (2005). Hydraulic Properties of the Recycled Cement made of By-product Cementitious Powder from Concrete Was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1(9), 121-128. 

  2. Ahn Jiwhan et al. (2003). Manufacture of Ordinary Potland Cement Clinker Using Cement Paste of the Waste Concrete. Journal of the Ceramic Society, 40(8), 804-810. 

  3. APP CTF. (2011). Asia-Pacific Partnership on Clean Development & Climate, Cement Task Force Final Report 

  4. H.F.W. Taylor. (2003). 2nd Cement chemistry, Thomas Telford Service. 

  5. IPCC. (199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 House Gas Inventories. 

  6. Pade, C., Guimaraes, M. (2007). The $CO_2$ uptake of concrete in a 100 year perspectiv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7(9), 1348-13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