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바다목장에서 형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Fisheries Resources Caught by Dredge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7 no.6, 2014년, pp.935 - 944  

윤병선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윤상철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양재형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  손명호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lucidate the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biomass and size distribution of fishery resource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was investigated at the 4 stations from 2009 to 2010 based on the dredge sampling.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41 fishery resource species were sampl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울진바다목장에서 방류하는 패류와 저서성 어류들이 서식하기 적합한 방류위치의 결정과 적정 방류량의 추정하기 위하여 해당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 2012). 또한, 바다목장 사업은 어장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조성하는 과정에서 생물자원의 현존량 변화 및 생태특성에 관한 자료를 축척함으로써 효율적인 생태계 관리모델을 개발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진바다목장 해역에서 연체동물이 많은 이유는? 5 cm로 크기 때문에 다른 분류군에 비해 크기가 작고 부드러운 특징을 가진 환형동물의 출현 종수가 적었다. 연체동물은 단단한 패각을 가지고 절지동물은 키틴질의 갑각을 가지고 있어 다른 분류군에 비해 사질의 함량이 높은 곳에서 높은 종수와 서식밀도를 보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Choi et al., 2000; Hwang and Kim, 2003; Ko et al.
우리나라의 연근해 어업의 총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 근해어업의 발달과 연안오염의 가중, 양식어업의 증가 등으로 연안어장의 생산성이 저하되면서, 우리나라의 연근해 어업의 총어획량은 1980년대 이후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Fujita, 1987; Yotsui and Maesako, 1993; MIFFAF, 2008). 이러한 수산자원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에 바다목장 사업은 수산자원의 방류에서 어획에 이르기까지 자연친화적으로 관리하는 어업생산시스템으로 인공어초, 해조장 등 인위적인 시설물의 설치를 통해 어패류 자원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수산종묘 방류를 통해 고갈되어 가는 수산자원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수산물 생산 및 공급을 목적으로 한다(MOMAF, 2005; MIFFAF, 2008; Lee et al.
울진바다목장 해역의 면적은? 울진바다목장 해역은 경북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에서 후포면 후포리 일대에 20 km2 면적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거일리를 중심으로 남쪽 해안은 암반이 잘 발달되어 있고 직산리, 월송리 및 구산리 일대의 낮은 수심의 퇴적물에는 입자의 크기가 큰 사질(평균 입도 1.5Ø)이 높은 함량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Pai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JM. 2009. Studies on the age and growth of Gomphina melanaegis inhabites Gyeongsangbuk-do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pp24,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angnung, Korea. 

  2.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toring studies. Mar Pollut Bull, 18, 581-585. 

  3.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4. Choi JW, Je JG, Lee JH and Lim HS. 2000.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 5, 346-356. 

  5. Clarke KR and Warwick RM. 2001.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UK, 144. 

  6. Cha BY, Lee CS, Moon TS and Park MS. 2012. A study on bivalves in Yeongil Ba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Kor J Malacol 28, 101-108. 

  7. Daan N. 1973.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ood of North Sea cod (Gadus morhua), Neth J Sea Res 6, 479-517. 

  8. Fujita D. 1987. The report of interview to fisherman on "Isoyake" in Taisei-Cho, Hokkaido. Suisanzoshoku, 35, 135-138. 

  9. Hwang SD and Kim JS. 2003. Change in community structure of shellfish in the Reclaimed Saemangeum Area. J Kor Fish Soc 36, 708-715. 

  10. Jung YH, Yoon KT, Park HS and Ma CW. 2013. Spat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sandy shore of Anmyeondo, Korea. Ocean Polar Res 35, 27-37. 

  11. Kim YH, Kim SH, Chung EY, Lee CH and Kwak CW. 2013. Gonad development and sexual maturity of Gomphina (Macridiscus) venerifotmis (Lamark, 1818) (Bivalvia: Veneridae) in the East Sea of Korea. Kor J Mal 29, 313-323. 

  12. Ko JC, Ko HJ, Kim BY, Cha HK and Chang DS. 2012.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expoitable macrobenthic invertebrates of beach sediment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Jeju island. Kor J Malacol 28, 197-213. 

  13. Lee JB, Oh TY, Yeon IJ, Kim BY, Shin HO, Hwang BK, Lee KH and Lee YW. 2012. Estimation of demersal fish biomass using hydroacoustic and catch data in the Marine Ranching Area (MRA) of Jeju. J Kor Soc Fish Tech 48, 128-136. 

  14. Lee JY, Park YJ and Chang YJ. 1999.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Gomphina melanaegis (Bivalvia: Veneridae). J Kor Fish Soc 32, 198-203. 

  15. Lim AH. 2009. Studies on the fisheries ecology of Gomphina veneriformis off Uljin in Gyeongsangbuk-do. pp30,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angnung, Korea. 

  16. Ling WB and Clark RB. 1983. Marine pollution research in China. Mar Pollut Bull 14, 210-212. 

  17. Mclntyre AD. 1978. The Benthos of the western North Sea. Rapp Reun Con Lnt Eoplor Mer 172, 405-417. 

  18. Mills EL. 1975. Benthic organism and the structure of marine ecosystems. J Fish Res Bd Ca 32, 1657-1663. 

  19. MIFFAF, 200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7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062. 

  20. MIFFAF, 200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8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019. 

  21. MOMAF, 2005.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5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051. 

  22. Paik SG, Kang RS, Jeon JO, Lee JH and Yun SG. 2007.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Hupo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29, 123-134. 

  23. Park HW and Zhang CI. 2008. A population ecological study of the hen clam (Mactra chinensis) in the Dong-li self-regulatory community of Busan. J Kor Soc Fish Tech 44, 129-140. 

  24. Park JJ, Lee JY, Lee JS and Chang YJ. 2003. Gonadal development and gametogenic cycl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J Kor Fish Soc 36, 352-357. 

  25.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2n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58. 

  26. Seo JY and Choi JW. 2010. The macrozoobenthic community at the expected sand excavation area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J Kor Soc Ocean 2, 68-71. 

  27.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16-88. 

  28. Yotsui T and Maesako N. 1993. Restoration experiments of Eisenia bicyclis beds on barren grounds at Tsusima islands. Suisanzoshoku 41, 67-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