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1년 11월 고성만 굴(Crassostrea gigas) 양식장 수질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이산화탄소 수지 평가
Evaluation of Simple CO2 Budget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at an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 in Goseong Bay, South Coast of Korea in November 2011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7 no.6, 2014년, pp.1026 - 1036  

심정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예미주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임재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l-time monitor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a, etc.) and fugacity of carbon dioxide ($fCO_2$) was conducted at an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 in Goseong Bay, south coast of Korea during 2-4th of November, 2011.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플랑크톤을 비롯한 미소생물들에 의한 일차생산과 호흡도 있지만 양식 생물인 굴과 이에 부착된 생물에 의한 호흡, 그리고 굴의 패각(탄산염광물 CaCO3) 생성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등이 있다. 따라서 생물에 의한 이산화탄소변화를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들 각 항목에 대해 실내배양 또는 메조코즘(mesocosm) 등으로 정량화해야하나 본 연구에서는 현장 연속 관측을 통한 탄소수지 평가가 목적이므로 직접 측정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굴 양식이 성행하는 경상남도 고성만의 굴양식장에서 해양 환경 및 탄소계 인자를 연속 관측함으로서 고해상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특히 이산화탄소분압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굴 양식장의 탄소순환 특성과 양식생물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양식생물의 폐사원인, 생육조건 등을 파악하는데 적극 활용하고 수온상승, 해양산성화(ocean acidification) 등과 같은 미래 해양환경변화에 대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굴 양식이 성행하는 경상남도 고성만의 굴양식장에서 해양 환경 및 탄소계 인자를 연속 관측함으로서 고해상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특히 이산화탄소분압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굴 양식장의 탄소순환 특성과 양식생물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양식생물의 폐사원인, 생육조건 등을 파악하는데 적극 활용하고 수온상승, 해양산성화(ocean acidification) 등과 같은 미래 해양환경변화에 대비하고자 한다.
  • 그러나 표층수의 이산화탄소 분압과 염분은 양의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염분이 높을 때 염(salt)을 구성하는 용존무기탄소류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2011년 11월 고성만 굴양식장 표층수의 이산화탄소분압은 물리특성뿐 아니라 생물화학적특성 변화에 민감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다음절에서 각 영향인자에 대해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상남도의 양식 굴(Crassostrea gigas) 생산량은? 경상남도의 양식 굴(Crassostrea gigas) 생산은 약 24만 톤(ton)으로 우리나라 굴 생산량의 약 90% (2009-2012년 평균)를 차지한다. 대표적인 굴 생산해역으로 거제한산만, 진해만, 통영 북만 그리고 고성만 등이 있으며, 주로 연안에 인접하여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질량이 많고, 수심이 얕으며 폐쇄성의 특성을 가진다.
대기 온실기체 증가로 발생하는 현상은? 대기 온실기체 증가로 말미암은 기후변화현상은 해양의 수온상승뿐 아니라 해양산성화(ocean acidification)와 저산소화(deoxygenation)를 유발하여 세계적인 우려를 낳고 있다(IPCC 2007). 특히, 해수의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해양산성화는 해양 및 수산생물의 생리활성, 성장, 생존율 등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탄산염광물 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패류와 산호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Hoegh-Guldberg et al.
해양 환경 및 탄소계 인자를 연속 관측함으로서 고해상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여 얻을 수 있는 점은? 본 연구는 굴 양식이 성행하는 경상남도 고성만의 굴양식장에서 해양 환경 및 탄소계 인자를 연속 관측함으로서 고해상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고, 특히 이산화탄소분압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굴 양식장의 탄소순환 특성과 양식생물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양식생물의 폐사원인, 생육조건 등을 파악하는데 적극활용하고 수온상승, 해양산성화(ocean acidification) 등과 같은 미래 해양환경변화에 대비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PA and Han CH. 1998. Effects of nursery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J Aquaculture 11, 391-400. 

  2. Bakker DCE, de Baar JJW and Bathmann UV. 1997. Changes of carbon dioxide in surface waters during spring in the Southern Ocean. Deep-Sea Res II 44, 91-127. 

  3. Barton A, Hales B, Waldbusser GG, Langdon C and Feely RA. 2012.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shows negative correlation to naturally elevated carbon dioxide levels: Implications for near-term ocean acidification effects. Limnol Oceanogr 57, 698-710. 

  4. Borges AV and Gypens N. 2010. Carbonate chemistry in the coastal zone responds more strongly to eutrophication than to ocean acidification. Limnol Oceanogr 55, 346-353. 

  5. Cho CH. 1979. Mass mortalitys of oyster due to red tide in Jinhae Bay in 1978. Bull Korean Fish Soc 12, 27-33. 

  6. Choi WJ, Chun YY, Park JH and Park YC. 1997.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fatnes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Hansan-Koje Bay. J Korean Fish Soc 30, 794-803. 

  7. Hoegh-Guldberg O, Mumby PJ, Hooten AJ, Steneck RS, Greenfield P, Gomez E, Harvell CD, Sale PF, Edwards AJ, Caldeira K, Knowlton N, Eakin CM, Iglesias-Prieto R, Muthiga N, Bradbury RH, Dubi A and Hatziolos ME. 2007. Coral reefs under rapid climate change and ocean acidification. Science 318, 1737-1742. 

  8.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I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ed. Solomon S), pp. 9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9. Jeong WG, Cho SM and Lee SJ. 2009. Studie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oyster farms in Pukman Bay, Korea: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from food availability. Fish Aquat Sci 12, 118-129. 

  10. Kang CK, Lee PY, Kim PJ and Choi HG. 1993.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Wonmun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late summer. Bull Korean Fish Soc 26, 279-287. 

  11.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tration). 2013. Report of global atmosphere watch 2012. Taean, Korea, 22-25. 

  12. KORDI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0. Guide to best practices for Ocean $CO_2$ measurements. Bumsin Press, Ansan, Korea, 73-90. 

  13. Kroeker KJ, Kordas RL, Crim R, Hendriks IE, Ramajo L, Singh GS, Duarte CM and Gattuso JP. 2013.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marine organisms: quantifying sensi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warming. Global Change Biol 19, 1884-1896. 

  14. Lee JS, Kim YT, Shin KH, Hyun JH and Kim SY. 2011a. Benthic nutrient fluxes at longline sea squirt and oyster aquaculture farms and their role in coastal ecosystems. Aquacult Int 19, 931-944. 

  15. Lee SJ. 2009. Estim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for farming oysters in Goseungman, Korea. Ph. 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ongyoung, Korea. 

  16. Lee YS, Lim WA, Jung CS and Park J. 2011b. Spatial distributions and monthly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water of Tongyeong,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gineer 14, 154-162. 

  17. Lewis E and Wallance DWR. 1998. Program developed for $CO_2$ system calculations, ORNL/CDIAC-105. Carbon dioxide information analysis center,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US Department of Energy, Oak Ridge, TN, http://cdiac.esd.ornl.gov/oceans/CO2rprt.html. 

  18. Lim DB, Cho CH and Kwon WS. 1975. On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yster farming area near Chungmu. Bull Korean Fish Soc 8, 61-67. 

  19. Louanchi F, Metzl N and Poisson A. 1996. Modelling the monthly sea surface f $CO_2$ fields in the Indian Ocean. Mar Chem 55, 265-279. 

  20. Miller AW, Reynolds AC, Sobrino C and Riedel GF. 2009. Shellfish face uncertain future in high $CO_2$ world: influence of acidification on oyster larvae calcification and growth in estuaries. PLos ONE 4, 35661.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05661. 

  21.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Analytical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nvironmental parameters. Busan, Korea, 50-100. 

  22.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1998. Report on survey for causes of mass mortality in oyster farm. Busan, Korea, 200-216. 

  23.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9. Report on survey for mass mortality of aquacultured species and development of red tide by cochlodinium. 155. 

  24. Oh KH, Pang IC, Hofmann EE, Kim Y, Kim SY, Park YJ and Choi KS. 2002. Modeling oyster populations dynamics. I. Effect of available food on growth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oseo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5, 327-335. 

  25. Park JS, Kim HC, Choi WJ, Lee WC, Kim DM, Koo JH and Park CK. 2002. Estimat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coastal bay for oyster culture. II. The carrying capacity of Geoje-Hansan Bay. J Korean Fish Soc 35, 408-416. 

  26. Parker LM, Ross PM and O'Connor WA. 2011. Populations of the Sydney rock oyster, Saccostrea glomerata, vary in response to ocean acidification. Mar Biol 158, 689-697. 

  27. Parsons TR, Maita Y and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England, 173. 

  28. Salisbury J, Green M, Hunt C and Campbell J. 2008. Coastal acidification by rivers: A threat to shellfish? EOS 89, 513-528. 

  29. Shim JH, Kang DJ, Han IS, Kwon JN and Lee YH. 2012. Realtime monitoring of environmental properties at seaweed farm and a simple model for $CO_2$ budget. J Korean Soc Oceanography 17, 243-251. 

  30. Shim JH, Kang YC, Kim D and Choi SH. 2006. Distribution of net community production and surface p $CO_2$ in the Scotia Sea, Antarctica, during austral spring 2001. Mar Chem 101, 68-84. 

  31. Takahashi T, Olafsson J, Goddard JG, Chipman DW and Sutherland SC. 1993. Seasonal variations of $CO_2$ and nutrients in the high-latitude surface oceans: a comparative study.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7, 843-878. 

  32. Tang Q, Zhang J and Fang J. 2011. Shellfish and seaweed mariculture increase atmospheric $CO_2$ absorption by coastal ecosystems. Mar Ecol Prog Ser 424, 97-104. 

  33. Wanninkhof R. 1992. Relationship between wind speed and gas exchange over the ocean. J Geophys Res 97, 7373-7382. 

  34. Weiss RF. 1974. Carbon dioxide in water and seawater: the solubility of a non-ideal gas. Mar Chem 2, 203-215. 

  35. Weiss RF, 1981. Determinations of carbon dioxide and methane by dual catalytist flame ionization chromatography and nitrous oxide by electron capture chromatography. J Chemical Sci 19, 610-6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