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유형특성 비교
A Comparison on the Forest Type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Between the Coastal Area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564 - 573  

김찬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박기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의 주요 해안방재림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해안별 해안방재림의 특징과 각 해안을 대표할 수 있는 해안방재림 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안방재림 방재효과에 영향을 주는 임분밀도와 수고, DBH, 해안방재림 폭을 기준으로 하여 각 군집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안별 각각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서해안은 임분밀도가 높고 DBH가 작은 특징을 갖는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구례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높은 특징을 보이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고사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각 군집을 대표하는 해안방재림이었다. 남해안은 수고가 낮은 특징을 보이는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남양리 해안방재림과 DBH가 큰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동고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으로 나타났다. 동해안은 임분밀도가 낮은 경상남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해안방재림과 수고가 낮고 DBH가 작은 강원도 강릉시 견소동 안목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앞으로 각 해안별 가장 적합한 해안방재림을 설정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representative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type for each coastal area. In this study, we used cluster analysis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investigation for density of growing stock, tree height, DBH, and forest width and length of major coas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의 연구에서는 군집수 결정을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한 경향이 있어 군집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집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각 지역별로 상이한 해안방재림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해안방재림의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해안, 서해안 및 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해안방재림의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각 해안을 대표할 수 있는 해안방재림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결과는 각 해안별 해양성 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최적의 해안방재림 조성 및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 주요 해안방재림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해안을 대표할 수 있는 해안방재림 선정을 목표로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해안별 대표 해안방재림을 선정한 결과, 서해안은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구례포 해수욕장 해안방재림과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고사포해수욕장 해안방재림이 해안을 대표하는 해안방재림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해안방재림 본연의 방재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해안방재림이 해양성 재해로 인한 피해 저감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해안방재림의 관리 소홀과 무분별한 개발 등으로 인해 해안방재림 본연의 방재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안방재림의 방재 기능을 제고시키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해안별 해안방재림이 구조적·기능적으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
해안방재림이 해양성 재해로 인한 피해 저감에 매우 효과적임을 단적으로 보려주는 국내 사례는 무엇인가? 외국의 사례를 보면, 2004년 인도네시아 쓰나미 발생 시 맹그로브 숲 해안방재림이 조성된 마을에는 그렇지 않은 마을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의 규모가 적었으며(Kathiresan and Rajendran, 2005), 이러한 경향은 2011년 일본에서 대형 쓰나미가 발생했을 당시 역시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에약 300년 전 조성된 해안방재림은 현재까지 물건리 마을을 태풍이나 강풍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해안방재림이 해양성 재해로 인한 피해 저감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동, 서, 남해안별로 상이한 해안방재림의 이상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우리나라의 해안은 각기 다른 미기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해안방재림의 이상적인 구조와 기능은 각 해안별로 상이하다. 동해안 지역의 해안방재림은 쓰나미 피해를 전제로 하여 에너지 저감에 효과적인 해안방재림이 이상적이며, 서해안과 남해안은 태풍과 염해 등 방풍효과가 좋은 해안방재림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각 지역별로 상이한 해안방재림의 구조와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해안방재림의 실태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J.H. 2006. A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astal windbreak fores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p. 55. 

  2. Cho, K.W., Kim, K.J., Jung, J.C., Park, W.K., and Kang, T.S. 2009. Vulerabi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coast due to sealevel rise and appropriate response strategies I -Assessment of shoreline retrea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55. 

  3. Cho, E.S. and Hwang, I.S. 2008. The effectiv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An application with SPSS and Microsofr excel.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y 1: 1-9. 

  4. Chun, K.W., Kim, S.W., Kim, K.N., Nakashima, Y., and Ezaki, T. 2005. Coastal forest construction and Non-structural Measures for preventing Tsunami damage - In case of Jap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3): 197-204. 

  5. Harada, K., and Imamura, F. 2005. Effect of coastal forest on tsunami hazard mitiga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pp. 279-292. In: Satake, K.(Ed). Tsunamis: case studies and recent developments. Springer. Netherlands. 

  6. Huh, M.H., and Lee, Y.G. 2004. Reproducibility assessment of K-Means clustering and ap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7(1): 135-144.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USA. pp. 989. 

  8. Jung, Y.K. and Kim, W. 200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3(3): 193-199. 

  9. Kathiresan, K and Rajendran, N. 2005. Coastal mangrove forests mitigated tsunami.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5: 601-606. 

  10. Kim, S.H. and Choi, S.H. 2007. The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forest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 67-73.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Development of the numerical model and proper arrangement model for composit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coastal forest for damgae prevention. Contract research project report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70. 

  12. Kwon, J.O., Lee, K.J., and Jang, S.H. 2004. The planting models of maritime forest by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the seaside, Incheon -A case study on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53-63. 

  13. Lee, M.Y. 2009. A theoretical review and application method of twostep cluster analysi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 56. 

  14. Lee, W.C. 2003. A study for twostep cluster method. Chung-Ang University. pp. 39. 

  15. Lee, W.T., and Chon, S.K.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6(3): 74-84. 

  16. Park, C.M., Kim, S.W., Park, S.H. 2009.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4): 365-375. 

  17. Park, J.S. 2008. A study on the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66. 

  18. Park, K.W. and Cho, Y.S. 2012. Hazard map with probable maximum tsunami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2): 263-270. 

  19. Shin, H.K. and Shin, H.C. 2010. Market segmentation on recreational forest visitors by cluster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3): 364-372. 

  20. T.Ng, Raymond and Han, Jiawei. 1994. Efficient and effevtive clustering methods for spatial data mining.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 bases 20: 144-155. 

  21. Typhoon Center. http://typ.kma.go.kr/TYPHOON/statistics/statistics_02_1.jsp(2014. 10. 28). 

  22.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Earthquake Hazards Program. 2013. Magnitude 9.0 -Near the east coast of Honshu, Japan. http://earthquake.usgs.gov/earthquakes/eqinthenews/2011/usc0001xgp/usc0001xgp.php (2014. 1. 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