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작업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for Accident Prevention of Forestry Operation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574 - 582  

김희율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능인훈련원)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분야에서는 노동재해 예방을 위하여 임업 노동자의 자격과 선발기준, 기능인영림단의 구성요건, 안전대책 등에 관한 사항을 여러 법규와 지침 등에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임업 교육훈련은 산림청의 교육원과 산림조합중앙회 소속의 3개 훈련원에서 담당하고 있다. 3개 훈련원에서는 공통과정과 특화과정으로 나누어 교육훈련을 실행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은 각 교육과정별 커리큘럼 안에 포함하여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업분야 재해율 저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1) 적성검사 실시, 연령 제한 등 임업노동자의 자격 선발 기준 강화. (2) 기능인영림단 구성을 위한 필수인력의 교육 일수 및 자격 소지자 구성비율 상향 조정. (3) 산림경영기술자(기능2급)의 자격취득에 관한 규정 보완. (4) 보수교육(안전교육)을 통한 자격갱신 제도 도입. (5) 산림작업현장에서의 근로조건 개선 및 안전교육의 체계화. (6) 개인보호구 관련 규정 보완. (7) 개인보호구 착용 여부 수시 지도점검. (8)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현장 대응 보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event occupational injury in forestry operations, sever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forestry have been enacted. Forestry education and training is overseen by the Forest Training Institute under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ree training centers under the National Forestry Co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법령 및 규정, 임업 노동자의 자격 및 선발 기준, 기능인영림단의 구성 요건, 산림작업 안전 교육 · 훈련의 내용 등을 파악 · 분석하고, 임업분야 재해율 저감을 위한 제도적 분야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의 관련 법령과 규정 및 지침에 규정 되어 있는 안전 관련 내용의 분석을 통해 제도적 측면에서 임업분야 재해율 저감을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주기적인 적성검사와 연령제한 등 임업 노동자의 자격 · 선발기준을 합리적으로 강화할 것.

가설 설정

  • 넷째, CAP 3대 교육프로그램 등 소정의 주기적인 보수교육(안전교육)을 통한 산림경영기술자의 자격을 갱신하는 제도를 도입할것. 다섯째, 산림작업 현장에서의 근로조건 개선 및 안전교육을 체계화할 것. 여섯째, 체인톱 전용 보호대(안전복) 를 추가한 개인보호구 관련 규정을 보완할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분야에서 노동재해 예방을 위해 무엇을 규정하고 있는가? 산림분야에서는 노동재해 예방을 위하여 임업 노동자의 자격과 선발기준, 기능인영림단의 구성요건, 안전대책 등에 관한 사항을 여러 법규와 지침 등에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임업 교육훈련은 산림청의 교육원과 산림조합중앙회 소속의 3개 훈련원에서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임업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산림분야에서는 노동재해 예방을 위하여 임업 노동자의 자격과 선발기준, 기능인영림단의 구성요건, 안전대책 등에 관한 사항을 여러 법규와 지침 등에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임업 교육훈련은 산림청의 교육원과 산림조합중앙회 소속의 3개 훈련원에서 담당하고 있다. 3개 훈련원에서는 공통과정과 특화과정으로 나누어 교육훈련을 실행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은 각 교육과정별 커리큘럼 안에 포함하여 시행되고 있다.
3개 훈련원에서는 임업 교육훈련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임업 교육훈련은 산림청의 교육원과 산림조합중앙회 소속의 3개 훈련원에서 담당하고 있다. 3개 훈련원에서는 공통과정과 특화과정으로 나누어 교육훈련을 실행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은 각 교육과정별 커리큘럼 안에 포함하여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업분야 재해율 저감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C.M., Choi, N.H., Kang, H.S., and Park, S.H. 2009. The Levels of Impacts of Event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Injured Workers. Community Health Nursing Research 20(2): 234-235. 

  2. Jennifer, L.B., Vitae, A., and Grusheckyb, S.T. 2006.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logger safety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afety Research 37(1): 53-61. 

  3. Kang, K.W. 2001. The stable securement of the professional forest workers and welfare measures. Proceeding of seminar for Forestry Labor Policy Development. pp. 15-19. 

  4. Kim, K.W. 2004. Story from Forests. Hyohyung Publishing Co. pp. 279. 

  5. Kim, H.Y., Choi, I.H., Choi, I.H., and Park, C.M. 2008. Situation of forest craft worker training and developmental sugges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Forest Engineering and Technology 6(2): 116-128. 

  6. Kim, H.Y., Park, S.H., Lee, S.H., and Park, C.M. 2013. Analysis on safety accident characteristics of forestry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4): 550-559. 

  7. Kim, K.S. and Park, Y.S. 2002. The effects of safety climate om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1): 19-31. 

  8. Kim, N.K. 1999. Forest Policy of the Germany(In Korean). Dawon (Publishing Co.). pp. 321.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2010. The prospect on the supply-demand of forestry labor and the improvement plan of working conditions. pp. 42-44. 

  10. Korea Forest Service (KFS). 2000. Study on the cases analysis and the prevention plan of the accidents within the Forest Tending Project (In Korean). pp. 18-159. 

  11. Korea Forest Service (KFS). 2010a. Manual for disaster prevention in forestry. pp. 20-33. 

  12. Korea Forest Service (KFS). 2010b. Comprehensive guide to forward a social service employment project. pp. 5. 

  13. Korea Forest Service (KFS). 2011. Comprehensive guide to forward a social service employment project. pp. 5. 

  14. Korea Forest Service (KFS). 2014a. Guide to Design and Supervision of Forest Tending Project. pp. 4. 

  15. Korea Forest Service (KFS). 2014b. Comprehensive guide for employment project by public finance. pp. 118. 

  16. Korea Forest Service (KFS). 2014c. http://www.forest.go.kr/ 

  17.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 and HA). 2002. Accident analysis in forest operations and agriculture operations. pp. 88-144. 

  18.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 and HA). 2007-2011. Analysis of the industry hazards. 

  19. Lee, S.H. 2010.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Ph D's Paper.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205. 

  20. Lee, S.H., Jung, D.Y., and Lee, Y.M. 2010.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disaster of the coal mining industry through safe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1): 4489-4493. 

  2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2012. Guide for standards of safe forest harvesting. pp. 13. 

  2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2013. Regulations on the standard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pp. 103. 

  23. Ministry of Governmental Legislation. http://www.moleg.go.kr/ 

  24.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NFCF). 2005. Managerial guide on the Unit of Forest Craft Workers belonging to National Forestry Federation. pp. 13. 

  25.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NFCF). 2014. Annual Promotion Plan of Guidance Project. pp. 46-53. 

  26.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Forest Training Center (NFCF-FTC). 2009. Annual Management Report of Forest Training Center. pp. 27-28. 

  27. Shin, W.S. 1999. Psychological Benefits of School Forests for Students and Teacher. Forest and Culture 8(1): 19-21. 

  28. Song, T.Y. 2009. Safety accident prevention on the forestry operation. Forest 2009(10): 96. 

  29. Woo, B.M. 2009. A Revised Forest Engineering(In Korean). Hyangmunsa Co. pp. 14. 

  30. Yun, S.H. 2004. Role of safety education and campaign for disaster prevention. Local Administration (Korea Mutual Aid Associ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2004(6): 36-4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