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임업 노동자의 안전사고 발생특성 분석
Analysis on Safety Accident Characteristics of Forestry Worker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2 no.4, 2013년, pp.550 - 559  

김희율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능인훈련원) ,  박성학 (남양주시 물맑음수목원) ,  이상현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06~2010)에 발생한 임업분야 재해자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 분석함으로써 임업분야의 노동재해 저감을 위한 관심과 정책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임업분야의 재해율(천인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0년에 상당히 많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업분야의 재해율은 전체 산업 평균 재해율(약 7.0‰)보다 최소 2.1배에서 최대 5.9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업분야에서의 재해특성은 형태별로는 전도로 인한 사고,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월별로는 10월, 요일별로는 수요일, 시간대별로는 11시, 신체부위별로는 허리 이하의 하체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전북지역 재해자의 경우 6주의 기준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산림작업자들에게서 대부분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over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forestry workers to analyze the safety accident rates for the past five years (2006-2010),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reduce the safety accident rates of forestry workers. Findings from compar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data ar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에 본 연구는 최근에 발생한 임업분야 재해자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분석함으로써 임업분야의 노동재해 저감을 위한 관심과 정책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 이어서 임업노동재해 저감을 위한 현재의 제도들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 내에서의 임업노동은 다른 업과 비교하면 어떤 수준이라 보이는가? 더구나 우리나라는 산림의 대부분이 지형적으로 경사와 굴곡이 심해서 산림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위험을 수반하고 있다. 산림 내에서의 임업노동은 전신을 이용하는 중노동에 해당되어 1일 약 4,800~5,200 kcal의 과다한 에너지 소비를 요구하는데, 이는 보통 경노동의 2배에 해당한다. 산림에서 이러한 중노동이 장시간 계속적으로 수행될 경우에는 심각한 직업병이 유발될 수 있으며, 작업마다 생길 수 있는 극단적인 신체적 부담은 위험을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임업노동은 다른 분야의 노동에 비하여 훨씬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Kang, 2001).
임업노동의 높은 재해 위험성은 결과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이 임업노동의 높은 재해 위험성은 숲에 대한 국민들의 녹색 이미지를 퇴색되게 만들고, 새로운 임업 노동력 흡수의 장해요인이 되며, 산재보험 요율의 증가를 가져와 임업경영에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재해를 입은 노동자들은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애뿐만 아니라 외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그 결과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유지의 어려움을 겪게 되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산업재해로 인한 충격과 사회적 고립은 산재 근로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가족 갈등의 원인이 되어 가족체계를 위협하기도 한다(Chang et al., 2009).
숲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 각광받는가? 최근에 숲은 이런 사람들에게 등산이나 둘레길 걷기, 캠핑, 숲 속 레저, 명상 등을 통하여 휴식처로서 뿐만 아니라 심신의 치유를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ang, C.M., Choi, N.H., Kang, H.S. and Park, S.H. 2009. The Levels of Impacts of Event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Injured Workers. Community Health Nursing Research 20(2): 234-235. 

  2. Chun, J.P. 2000. Analysis on the safety accidents of the national forest afforestation. Korean Forest Society. pp. 62- 71. 

  3. Jeong, B.H. 2009. Analysis on the management of the forestry operation organization and working condition. Forestry Science Information. 223(Nov.). pp. 9. 

  4. Kang, K.W. 2001. The stable securement of the professional forest workers and welfare measures. Seminar for Forestry Labor Policy Development. pp. 15-19. 

  5.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The prospect of supply and improvement plan of working conditions for forestry labor. pp. 42-44. 

  6. KFS (Korea Forest Service). 2000. Study on the cases analysis and the prevention plan of the negligent accidents on the afforestation project. pp. 18-159. 

  7. KFS (Korea Forest Service). 2010. Manual of forestry safety accident prevention. pp. 20-33. 

  8.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6. Guidelines on the record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orest disaster. pp. 23-27. 

  9.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7-2011a. Analysis of the industry hazards. 

  10.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7-2011b. Current state of the disaster history on the forest field. 

  11.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http://www.kosha.or.kr/ 

  12. Ministry of Governmental Legislation. http://www.moleg.go.kr/ 

  13. Park, S.J. 2009. Forest machinery manual for the efficient collection of fruit and constructing the load network. Gyeongbuk Forest Forum. pp. 277. 

  14. Song, T.Y. 2009. Safety accident prevention on the forestry operation. Forest. Oct. pp. 96. 

  15. Woo, B.M. and eighteen others. 1997. Forest Engineering. Kwangil Co. pp. 432-4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