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부속 무인도서의 산림자원관리를 위한 자연환경 특성과 상대적 중요도 평가
Evaluat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the Relative Significance for Forest Resources Management on the Uninhabitable Island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599 - 604  

원현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정성철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김은미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서연옥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좌종헌 (제주국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부속 53개 무인도서의 자연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산림자원관리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우선 제주도 무인도서의 자연환경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산림동물종수(r = 0.762, p<0.01), 초본종수(r = 0.647, p<0.01), 목본종수(r = 0.585, p<0.01)순으로 산림규모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도서지역 산림규모를 예측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R=0.899, $R^2=0.803$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에 대한 설명력은 7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인도서의 산림규모별 유형화분석은 산림면적이 약 0.5 ha와 약 12 ha로 두 가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로 DEA를 이용하여 제주도 무인도서별 산림자원관리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DMU14(0.941), DMU36(0.964), DMU44(1.000), DMU45(0.903)등이 생물종다양성이 풍부하여 산림관리를 위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이 있는 무인도서의 상대적 중요도는 평균 0.439, 산림이 없는 무인도서는 평균 0.096으로 나타나 산림과 생물종 다양성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53 uninhabitable islands of Jeju for the management formulation. The result of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0.647(p<0.01) for herbs, 0.585(p<0.01) for trees and 0.762 (p<0.01) for animals which means that there is a hig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2)은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지리적 환경과 식물분포 패턴사이의 상관성 분석 연구를 통해 식물종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도서면적과 고도와 상관성이 높다고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 산림(forest in Island)과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자연환경 인자 중에서 해발고, 초본종수, 목본종수, 산림동물종수를 선정하였다. 무인도서의 자연환경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도서면적은 최대 214,124 m2, 최소 252 m2, 평균 28,752 m2이었고 해발고는 최대 352 m, 최소 0 m, 평균 37 m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도서지역 산림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산림정책수립을 위하여 제주도 부속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자연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관리가 필요한 도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의사결정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제주도 부속 53개 무인도서의 자연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산림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무인도서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도서지역 산림은 생물종다양성에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도서 중 무인도서가 차지하는 비율은? 국민소득의 증가, 주 5일 근무제 정착 및 해양레저 활동에 대한 관심고조로 도서의 적극적 이용과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인도서의 원시성, 독특한 경관 및 생태계 등으로 여가활용, 청소년 체험활동, 생태교육 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도서 3,358개 중 무인도서는 2,876개로서 전체 도서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2010). 육상생태계와 다른 환경을 가진 무인도서는 해양 생태계의 보고이자 자연환경, 생태교육의 잠재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지형, 지질경관을 보유하고 있고,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및 한국고유종 등의 서식 또는 도래지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UN 해양법협약에서 정의한 무인도서의 정의는? 연구대상지는 제주특별자치도 행정구역내 53개 무인도서이며, 일반적인 무인도서의 정의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만조 시에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땅으로서 사람이 거주하지 아니한(Uninhabited) 곳을 말한다. 1982년 UN 해양법협약 제121조, 무인도서 정의는 인간이 거주할 수 없는(Uninhabitable) 섬을 의미하고 현재 인간이 거주하지 않지만 한 때 인간이 거주했었고 앞으로도 인간거주 가능성이 있다는 점으로 해석하고 있다(Choi et al., 2006).
무인도서가 가지고 있는 가치는? 우리나라 전체 도서 3,358개 중 무인도서는 2,876개로서 전체 도서의 약 86%를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2010). 육상생태계와 다른 환경을 가진 무인도서는 해양 생태계의 보고이자 자연환경, 생태교육의 잠재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지형, 지질경관을 보유하고 있고,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및 한국고유종 등의 서식 또는 도래지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무인도서 주변 지역주민에 의한 염소 등 가축방목, 폐어망, 폐어구 방치 등에 의한 생태계 훼손이 증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골재채취, 식물·희귀석 무단채취, 쓰레기 투기 등으로 인한 자연경관 및 생태계 파괴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Seo,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arnes, A., Cooper, W.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2. Choi, Y.S., Shin, S.-C., Lim, T.-Y., and Park, B.-M. 2006. A Study on a surveying method for accurate position of uninhabitable islands.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pp. 53-58. 

  3. Chung, J.M. and Hong, K.N. 2002. Relationships between Geographical Condition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Plant Species on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5(5): 341-348. 

  4. Chung, J.M. and Hong, K.N. 2006. Island Biogeographic Study on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on the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9(6): 489-494. 

  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pp. 166.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2009.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Management strategy and surveying of the actual conditions for uninhabitable islands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p. 527.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2010. The Master Plan for the Uninhabited Island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2010-2019. pp. 88. 

  8. Nam, J.H. and Kang, D.S. 2005.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8(4): 227-235. 

  9. Oh, K.-H., Chung, C.-H., Koh, K.-Y., Hong, K.-S., Kim, J.-E., and Lee, K.-A. 2011a. The Improvement Plan of Evaluation Method for Uninhabited Island Management. Korean Association of Island 23(4): 137-150. 

  10. Oh, K.-H., Chung, C.-H., Koh, K.-Y., Hong, K.-S., Kim, J.-E., and Lee, K.-A. 2011b. The Improvement Plan of GGL(Geomorphology, Geology, Landscape) Evaluation Method for Uninhabited Island Management. Korean Association of Island 23(4): 151-162. 

  11. Seo, J.C. 2004. The Management Status and the Problems of Natural Ecosystem of the uninhabited islands and the SPIs.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no3: 89-99. 

  12. Whittaker, R.J. 1998. Island Biogeography.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3. Won, H.K., Jeon, J.H., Yoo, B.I., Lee, S.Y., Lee, J.M., and Ji, D.H. 2013. Management Efficiency of Chestnut-Cultivating Households in Chungnam Por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3): 390-3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