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산림 유형 분류 방안 - 임상도와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est Classification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Forest Type Map and Landcover Map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3, 2013년, pp.31 - 39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재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정휘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researcher started studies of natural capital from 1980's. But many researches are going along with the theme lately. Most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are approaching a general assessment using a land-cover map. Therefore they have some problems such as overestimate, underestimate, and d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행연구를 본 연구에 적용하여 산림의 유형을 세분화 한다면 생태계 서비스 기능 및 가치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생태계 서비스 평가를 위하여 산림의 질적 특성을 고려한 우리나라 산림 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임상도를 함께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연성에 따라 임종(자연림/인공림)으로 대분류 하고, 임상별로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으로 중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생태계 서비스의 기능을 세분화하기 위하여 임령별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 따라서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지질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1)를 임상도와 중첩하여 모든 자료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지역을 본 연구의 산림대상지로 설정하였다. 토지피복지도는 산림이나 초지, 습지 등 우리나라 피복의 상태를 한 도면에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초지 및 습지 유형화를 위한 후속 연구에서 경계선 중복 방지를 위하여 활용하였으며,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산림의 기능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유형 분류시 미리 경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현재까지 연구된 산림의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서는 모암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지질도를 참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89년 산림의 계량화 연구 대상이었던 6개 공익기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에 자연자산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면서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토사유출방지기능, 토사붕괴방지기능, 보건휴양기능, 야생조수보호 기능, 산소공급기능 등 6개 공익기능에 대한 계량화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초의 연구가 수행된 이후에 1995년에는 산림정수기능이 추가되었고, 2012년에는 산림치유기능, 산림경관(조망)기능, 산림생물다양성보전기능이 추가되어 10개 기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김종호 등, 2006; 2010).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정의하는 자연자산이란 무엇인가? 많은 경제학자들이 자연 발생적인 일부 자산이 오랜 기간 동안 경제적 가치를 제공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자연자산(natural capital)이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State of New Jersey, 2007), 우리나라에서도 『자연환경보전법』에 “인간의 생활이나 경제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유형·무형의 가치를 가진 자연상태의 생물과 비생물적인 것의 총체” 라고 자연자산을 정의하고 있다.
중분류 항목에 대한 토지피복지도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10),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에 23개 중분류 항목에 대한 토지피복지도 구축을 완료하였다.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는 3년 주기로 위성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된 자료이기 때문에 산림 경계변화는 용이하게 반영되나, 유형 구분시 오분류의 확률이 높으며, 임종과 영급에 대한 자료 역시 제공하지 않는 한계를 갖고 있다(전성우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K. M.Kim, C. M and Jun, E. J. 2009. Study on the Standard for 1:25,000 Scale Digital Forest Type Map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3):143-15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Kim, S. K. et al..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y to valu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of forests, connected with payment scheme for forest ecosystem service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Kim, S. H..Lee, S. B..Yoon, Y. S. and Kwak, S. J. et al.. 2004.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 Resource Values:Method and Applic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yang.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Kim, E. Y..Jeon, S. W..Song, W. K..Kwak, J. R. and Lee J. 2012. Application of ECVAM as a Indicator for Monitoring National Environment in Korea. Journal of Environemtal Policy 11(2):3-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Kim, J. H..Lee, K. H..Park, C. W..Seo, J. W..Son, Y. M..Kim, K. H..Youn, H. J..Park, C. R..Lee, S. W. and Oh, J. S. 2006. Nonmarket Valuation of Forest Resourc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0(2):7-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Son, Y. M..Kim, C. C..Lee, K. H. and Kim, R. H. 2007a. Forest biomass assessment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7. Son, Y. M..Lee, K. H. and Kim, R. H. 2007b.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4):477-48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Song, D. G. 2009.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occurred by heavy rainfall in 2006 - in Jinbu, Pyeongchang, Kangwon.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Ahn, S. E..Kim, J. Y..Lee, C. H. and Bae, D. H. 2009a.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Value in Policy Assessment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Ahn, S. E..Yoon, J. H. and Bae, D. H. 2009b.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al Valuation Database and Analysis of Valuation Studies of Korea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Ahn, S. E..Bae, D. H..Jeon, C. H. and Yoon, J. H. 2010.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al Valuation Database and Analysis of Valuation Studies of Korea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Ahn, S. E..Bae, D. H. and Lee, C. H. 2011. 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al Valuation Database and Analysis of Valuation Studies of Korea I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Oh, D. H. and Yeo, U. S. 2011. Improvement of forest public functions in Busan:application of monetary valuatio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Busan.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ee, H. H. 1997. Estimations on the Water Purification of Forest by Analyzing Water Quality Variations in Forest Hydrological Process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1):56-6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Lee, H. B..Park, C. O. and Shin, D. Y. 2007.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from a Forest Watershed with Different Vege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3):311-3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Jeong, W. O. and Ma, H. S. 2006.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Failure Hazard Area by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Watershe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ology 20(4):415-42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Burkhard, B..F. Kroll.F. Muuller and W. Windhorst. 2009. Landscapes' Capacities to Provide Ecosystem Services-a Concept for Land-Cover Based Assessments. Landscape Online 15:1-22. DOI:10.3097/LO.200915 

  18. Costanza, R..R. d'Arge.R. de Groot.S. Farber. M. Grasso.B. Hannon.K. Limburg.S. Naeem.R. V. O'Neill.J. Paruelo.R. G. Raskin.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253-260. 

  19.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Penman, J..M. Gytarsky.T. Hiraishi.T. Krug.D. Kruger.R. Pipatti.L. Buendia.K. Miwa. T. Ngara.K. Tanabe and F. Wagner (Ed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IPCC/IGES, Kanagawa, Japan. 

  20. Liu, S..R. Costanza.A. Troy.J. D'Aagostino and W. Mates. 2010. Valuing New Jersey'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A Spatially Explicit Benefit Transfer Approach. Environmental Management 45(6):1271-1285. 

  21. Maynard, S..D. James and A. Davidson. 2010., The Development of an Ecosystem Services Framework for South East Queensland. Environmental Management 45(5):881-895. 

  22. McComb, G..V. Lantz.K. Nash and R. Rittmaster. 2006. International valuation databases:Overview, methods and operational issues. Ecological Economics 60(2):461-472. 

  23.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3.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A Framework for Assessment. Washington D.C. Island Press. 

  24. State of New Jersey. 2007. Valuing New Jersey's Natural Capital:An Assessment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State's Natural Resources. 

  25. Troy, A. and K. Bagstad. 2009. Estimating Ecosystem Services in Southern Ontario. Report for the Ontario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26.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2011.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UNEP-WCMC. Cambrid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