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신갈나무의 적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mate Changes o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for Quercus mongolica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605 - 612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연도별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신갈나무의 생태권역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4~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6~0.49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갈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2020년부터 2100년까지 10년 단위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갈나무의 적지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 8.5를 적용할 경우 RCP 4.5에 비해 적지의 감소 폭이 훨씬 더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적지적수와 관련된 산림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Quercus mongolica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this, site index equations by ecoprovinces were first developed using environmental factors. Using the large data set from both a digital forest site map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활엽수종인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생태권역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에 의한 연도별 적지분포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신갈나무는 생태권역별로 4~6개의 환경인자에 의하여 지위 지수를 추정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특히 신갈나무는 제탄, 버섯재배 자목 등 용재로서의 잠재성이 높은 수종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임지생산력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활엽수종 중에서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입지 및 기후요인이 독립변수에 포함된 생태권역별 지위 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적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연도별 적지면적과 적지분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이는 전체 자료가 갖는 지위지수의 변이 중에서 선정된 추정식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부분이 50%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산림생산력을 몇 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한반도의 적지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산림생산력은 복잡한 환경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높은 결정 계수를 얻는 것은 한계에 있다. 실제로 Kim et al.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신갈나무의 생태 권역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연도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수치 산림입지도, 전자기후도, 그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에서 도출한 산림입지자료, 기후자료, 그리고 생장자료를 이용하였다. 한편 수치산림입지도와 전자 기후도는 생태권역 구분에 따라 산악권역, 남동산야권역, 남서산야권역, 중부산야권역, 그리고 해안도서권역의 5개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추정자료와 검증자료를 합친 통합자료(pooled data)에 근거하여 최종 지위지수 추정 식을 개발하였다. 즉, 추정자료만을 이용하여 작성된 지위 지수 추정식이 일종의 독립자료로 간주되는 검증자료에 의해 통계적 검증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최종 지위지수 추정식은 추정자료와 검증자료를 통합한 자료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지위지수 추정식에 포함된 기후인자 추정치의 연도별 변화에 따른 신갈나무의 적지분포 변화를 예측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의 기반이 되는 생태권역별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기후인자 외에 지형인자와 토양인자가 포함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갈나무란 무엇인가? 참나무류에 속하는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생 활엽수종의 하나이며, 한랭하고 바람의 피해가 적고 토심이 깊은 임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2). 특히 신갈나무는 제탄, 버섯재배 자목 등 용재로서의 잠재성이 높은 수종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임지생산력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신갈나무의 잠재성이 높은 활용 분야는? 참나무류에 속하는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생 활엽수종의 하나이며, 한랭하고 바람의 피해가 적고 토심이 깊은 임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2). 특히 신갈나무는 제탄, 버섯재배 자목 등 용재로서의 잠재성이 높은 수종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임지생산력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활엽수종 중에서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입지 및 기후요인이 독립변수에 포함된 생태권역별 지위 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신갈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추정 결과는 어떠한가? 5%)로 다소 과대 추정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연도별 적지면적을 추정한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적지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 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하면 2030년이 되면 신갈 나무의 적지면적은 RCP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bert, M. and Schmidt, M. 2010. Climate-sensitive modelling of site-productivity relationships for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and common beech (Fagus sylvatica 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739-749. 

  2. Arbatzis, A.A. and Burkhart, H.E. 1992. An evaluation of sampling methods and model forms for estimating heightdiameter relationships in loblolly pine plantation. Forest Science 38(1): 192-198. 

  3. Belsley, D.A., Kuh, E., and Welsch, R.E. 1980. Regression diagnost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292. 

  4. Corona, P., Scotti, R., and Kutner, M.H. 1998.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ite index in Douglas-Fir plantation in central Ital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0: 195-207. 

  5. Curt, T., Bouchaud, M., and Agrech, G. 2001. Predicting site index of Douglas-Fir plantations from ecological variables in the Massif Central area of Franc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9: 61-74. 

  6. Judge, G.G., Hill, R.C., Griffiths, W.E., Lutkepohl, H., and Lee, T.C. 1988.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024. 

  7. Kabrick, J.M., Shifley, S.R., Jensen, R.G., Fan, Z., and Larsen, D.R.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oak mortality in Missouri Ozak forest.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s NE-316. pp. 27-35. 

  8. Kang, Y.H., Jeong, J.H., Kim, Y.G., and Lee, W.G. 1996. Mapping of the righteous tree selection for a given site by using of digital terrain analysis on a northern temperate forest.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94-103. 

  9. Kang, Y.H., Jeong, J.H., Kim, Y.G., and Park, J.W. 1997. Mapping of the righteous tree selection for a given site by using of digital terrain analysis on a central temperate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2): 241-250. 

  10. Kim, D.H., Kim, E.G., Park, S.B., Kim, H.G., and Kim, H.H. 2012.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site index of Larix leptolep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53-61. 

  11. Koo, K.S., Kim, I.H., Jeong, J.H., Won, H.K., and Shin, M.Y. 2003. Estimation of site index by species in Gyungi and Chungcheong Provinces using a digital forest site map.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4): 247-254.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2.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pp. 562.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Development of site index equations and estimation of productive areas for main species based on environmental and climatic factors. pp. 71.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Development of site index equations for main tree species by ecoprovince classification based on environmental and climatic factors. pp. 101.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Development of site index equations for main tree species by ecoprovince classification based on environmental and climatic factors(3). pp. 135. 

  16. Lee, S.W., Won, H.K., Shin, M.Y., Son, Y.M., and Lee, Y.Y. 2007. Estimation of forest productive area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using site environmental variabl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0(5): 429-434. 

  17. Myers, R.H. 1986.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Duxbury Press. pp. 395. 

  18. Nakawatase, J.M. and Peterson, D.L. 2006. Spatial variability in forest growth-climate relationships in the Olympic Mountains, Washingto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6(1): 77-91. 

  19. Shin, J.W. and Kim, C.M. 1996. The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I): Ecoprovince classification.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188-189. 

  20. Shin, M.Y. 1990. The use of ridge regression for yield prediction models with multicolinear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3): 260-268. 

  21. Shin, M.Y., Jung, I.B., Koo, K.S., and Won, H.G. 2006. Development of a site index equation for Pinus koraien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estimation of productive areas for reforest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2): 97-106. 

  22. Shin, M.Y., Yun, J.W., and Cha, D.S. 1996. Local correction of tree volume equation for Larix Ieptolepis by ratio-of-means estimator.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1): 56-65. 

  23. Snee, R.D. 1977. Validation of regression models : Methods and example. Technometrics 19:415-428. 

  24. Son, Y.M., Lee, K.H., Kwon, S.D., and Lee, W.K. 2003. Evaluation and prediction system of tree resources. Report of Forest Research 04-01 pp. 49-52. 

  25. Tyler, A.L., Macmillan, D.C., and Dutch, J. 1996. Models to predict the general yield class of Douglas-fir, Japanese larch and Scots pine on better quality land in Scotland. Forestry 1: 13-24. 

  26. Won, H.K., Jeong, J.H., Koo, K.S., Song, M.H., and Shin, M.Y. 2005. Estimation of forest site productivity by regional environment and forest soil factor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2): 132-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