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잣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Tree-Ring Growth of Pinus koraiensi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3, 2016년, pp.351 - 359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센터)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박고은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센터)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잣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잣나무의 연도별 생장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한 군집분석 결과 잣나무 분포지역은 5개의 군집의 분류되었다. 시군별로 정리된 1951년부터 2010년까지 60년 동안의 월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자료에 근거하여 각 군집의 연도별 생장도일과 표준강수지수를 산출하였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기후조건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각 군집에 대한 연도별 온도효과지수와 강수효과지수를 추정하였다. 온도효과지수와 강수효과지수의 곱으로 표현되는 독립변수에 의해 연륜생장을 추정할 수 있는 연륜생장 추정식을 군집별로 개발하였다. 이 추정식을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에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가 군집별 잣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잣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tree-ring growth of Pinus koraiensis in Korea. Annual tree-ring growth data of P. koraiensis collected by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were first organized to analyze yearly growth patterns of the speci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잣나무 분포지역을 대상으로 기후인자에 의한 군집별 연륜생장 추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군집별 연륜생장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륜생장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몇 가지 특징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잣나무를 대상으로 기후인자가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연륜기후학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잣나무 분포지역의 기후특성을 반영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군집별로 기후인자를 독립변수로 하는 수종별 연륜생장 추정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분포지역의 월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정보에 근거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연륜생장의 변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측정한 잣나무의 연륜생장 자료(Korea Forest Service, 2012)와 기상청에서 래스터 형태로 제공하는 일 단위 기상정보를 이용하였다.
  • 표준강수지수는 –3에서 3까지의 값을 갖는 표준화된 지수로 감마 누적확률분포를 표준정규분포로 변환한 지수이다. 표준강수지수의 값이 클수록 수분 조건이 좋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지수의 누적확률을 기준으로 강수효과지수를 산출하여 잣나무의 군집별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Table 3은 표준강수지수별 누적확률을 나타낸 것으로(Wu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목의 연륜생장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임목의 연륜생장은 생장기의 기후 및 환경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기후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Choi et al., 1992).
임목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의한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산림의 기능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림생태계의 주요 구성요소인 임목생장과 기후인자 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Speer, 2010). 임목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온과 강수량으로 알려져 있다(Sander, 1971; Kira, 1976; Woodward, 1987; Woodward and Rochefort, 1991). 기온은 광합성을 포함한 다양한 임목의 생리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후요소이며, 수분조건은 연륜을 만들어내는 형성층 활동에 크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연륜 생장을 둔화시킨다(Larsen, 1963).
잣나무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잣나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침엽수종으로, 산림자원 으로서의 비중과 가치, 그리고 활용도가 높은 수종이다. 특히 이 수종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100종에 포함되어 있다(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4).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최근의 기후변화 양상을 반영하고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근거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bert, M. and Schmidt, M. 2010. Climate-sensitive modelling of site-productivity relationships for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and common beech (Fagus sylvatica 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 739-749. 

  2. Berges, L., Chevalier, R., Dumas, Y., Franc, A., and Gilbert, J.M. 2005. Sessile oak (Quercus petraea Liebl.) site index variations in relation to climate, topography and soil in even-aged high-forest stands in northern France. Annnals of Forest Science 62: 91-402. 

  3. Bourque, C.P.A. and Hassan, Q.A. 2008. Projected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species distribution in the Acadian forest region of eastern Nova Scotia. The Forestry Chronicle 84(4): 553-557. 

  4. Botkin, D.B., Janak, J.F., and Wallis, J.R. 1972. Some consequence of a computer model of forest growth. Journal of Ecology 60: 849-873. 

  5. Choi, J.N., Yu, K.B., and Park, W.K. 1992. Paleoclimate reconstruction for Chungbu Mountainous Region using tree-ring chronology.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6(1): 21-32. 

  6. Colorado Climate Center. 2004. Colorado Climate Center Web Page. http://ulysses.atomos.colostate.edu/standardizedprecipitation.php 

  7. Hassan, Q.K. and Bourque, C.P.A. 2009. Potential species distribution of Balsam Fi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biophysical variables derived with remote sensing and process- based methods. Remote Sensing 1: 393-407. 

  8. Hayes, M., Wilhite, D., Svoboda, M., and Vanyarkho, O. 1999. Monotoring the 1996 drought using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3): 429-438. 

  9. Kim, C.R. 2011. SAS Data Analysis. 21th Century Book Co. pp. 663. (in Korean) 

  10. Kira, T. 1945. A new classification if climate in eastern Asia as the basis for agricultural geography. Horticultural Institute, Kyoto University, Kyoto. 

  11. Kira, T. 1976. Terrestrial Ecosystem: A General Survey. Kyoritsu Publication. Tokyo, Japan. pp. 166. 

  12. Korea Forest Service. 2005. A study on the reformation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by the chang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IV). pp 290.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 2012. Tree-ring DB Construction. pp. 299. (in Korean) 

  14. Larsen, C.P.R. 1963. Stem form development of forest trees. Forest Science Monographs pp. 42. 

  15. Lim. J.H. 1998. A forest dynamics model based on topographically- induced heterogeneity in solar radiation and soil moisture on the Kwanfneung experimental fores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45. 

  16. Lloyd-Hughes, B. and Saunders, M.A. 2002. A drought climatology for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2(13): 1571-1592. 

  17.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In Proceeding of the Nin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179-184. 

  18. Nakawatase, J.M. and Peterson, D.L. 2006. Spatial variability in forest growth-climate relationships in the Olympic Mountains, Washingto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6(1): 77-91. 

  1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4.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annual ring growth of main forest tree species and climatic factors. pp. 125. (In Korean) 

  2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of main tree species and climatic factors based on tree-ring analysis. pp. 165. (in Korean) 

  21. Park, W.K., Seo, J.W., Liu, Y., Kim, Y.J. and Han, S.W. 2001. Reconstruction of April-August precipitation in Mt. Sorak region from tree rings.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5(1): 47-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ander D. H. 1971. Soil properties and siberian elm tree growth in Nebraska wind-break. Soil Science. 112(5): 357-363. 

  23. Seo, J.W. and Park, W.K. 2002. Reconstruction of May precipitation (317 years: AD 1682-1998) using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western Sorak Mt.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6(1): 29-36. 

  24. Son, B.H., Kim, J.H., Nam, T.K., Lee, K.H., and Park, W.K. 2011.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Mokchae Konghak 39(3): 213-220. 

  25. Speer, J.H. 2010.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pp. 368. 

  26. Szalai, S. and Szinell, C. 2000. Comparison of two drought indices for drought monitoring in Hungary - a case study. In Drought and Drought Mitigation in Europe, Vogt JV, Spmma F (eds). Kluwer: Dordrech. pp. 161-166. 

  27. Thom, H.C.S. 1966. Same methods of climatological analyse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pp. 53. 

  28. Woodward, F.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pp. 174. 

  29. Woodward, F.I. and Rochefort, L. 1991. Sensitivity analysis of vegetation diversity to environmental change.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Letters 1: 7-23. 

  30. Wu, H., Hayes, M, Wilhite, D.A., and Svoboda, M.D. 2005. The effect of the length of record on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calc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 505-520. 

  31.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 177-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