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시대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의 유형구분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cenery in Landscape Painting during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4, 2014년, pp.687 - 695  

박찬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김재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자연풍경(수산(山水))을 그림의 주대상으로 하고 있는 조선시대 산수화 629매를 수집, 그림에 그려진 주대상에 의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산수화는 그림이 그려진 장소에 의해 산, 강, 바다, 도시로 구분되었다. 산에서 그려진 그림은 연봉형(蓮峯型), 다봉형(多峯型), 독립봉형(獨立峯型), 산기암형(山奇巖型), 산계곡형(山溪谷型), 산수변형(山水邊型)으로 구분되었다. 강에서 그려진 그림은 강산형(江山型), 강수형(江水型), 강변형(江邊型), 강기암형(江奇巖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바다에서 그려진 그림은 해변형(海邊型), 해기암형(海奇巖型)으로 구분되었고 도시에서 그려진 그림은 시가지(市街地)파노라마型으로 한 개의 유형이 되었다. 한편 그림이 그려진 장소, 시점(視點)을 통합하여 보면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은 산봉우리의 모습, 산 강 바다 어디에 있던지 기암의 모습, 산 강 바다 모두 물과 뭍이 만나는 곳(강변(江邊) 해변(海邊) 산(山)의 수변(水邊)/계곡 폭포 담)의 모습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각 유형과 유사한 자연풍경을 갖는 장소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곳이거나 또는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창출이 가능한 곳으로 자연풍경지의 가치에 주목하여 보존과 관리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ndscape paintings of our ancestors i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eautiful natural scenery. In this study, 629 landscape paintings targeted natural scenery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re used and classified into types of natural scenery by main target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름다운 자연풍경을 구분해 내고 그것을 보존·관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현지 조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 아름다운 자연풍경을 구분해 내고 그것을 보존·관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현지 조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 그러나 상기 연구들은 겸재 정선의 작품만을 대상으로 하였거나 또는 여러 작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 경우라도 산수화에 그려진 주대상의 분류는 하였어도 자연풍경의 유형화를 시도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산수화를 대상으로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그 특성을 분석코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보존과 관리에 긴요한 새로운 식견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 자연풍경(山水)을 그림의 주대상으로 하고 있는 조선시대 산수화 629매를 수집, 그림에 그려진 주대상에 의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유형간의 성격이 불분명하거나 유형명이 유형에 속한 그림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13개 유형의 구분과 유형명은 전체 유형의 상호간의 관계에서 판단하였고,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자연풍경의 가치를 구분하는 관점의 도출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산수화를 시대별로 구분하면 어떻게 되는가? 조선시대 산수화의 시대별 특징을 보면 An(1988, 1989)은 화풍을 근거로 초기(1392~1550), 중기(1550~1700), 후기(1700~1850), 말기(1850~1910)로 구분하였다. 초기는 다방면의 그림이 그려졌지만 산수화가 가장 널리 제작되었고, 중기는 山水, 墨竹, 墨梅 등이 그려졌으며, 후기는 한국적 경향의 진경산수가 유행하였고, 말기는 寫意的 경향을 띤 南宗畵가 우위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아름다운 국토·자연경관이 기념물로서 관리되기 위한 조건은? 아름다운 국토·자연경관의 창출이 국격의 주요 요건이 되고 있다. 문화재보호법에서는 ‘경치가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을 문화재의 한 종류인 기념물(명승)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Korea Forest Service(2011)는 국토의 64%인 산림을 더 아름답게 관리 하기 위해 산림경관 계획·관리 업무편람을 작성한 바 있다.
아름다운 자연풍경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Korea Forest Service(2011)는 국토의 64%인 산림을 더 아름답게 관리 하기 위해 산림경관 계획·관리 업무편람을 작성한 바 있다. 아름다운 자연풍경을 구분해 내고 그것을 보존·관리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현지 조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 H.J. 1988.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and end of Joseon Dynasty. pp. 202-211. In: The Joong-ang Newspaper Co., Korean beauty 12. Landscape painting vol 2. The Joong-ang Newspaper Co. Seoul, Korea. 

  2. An, H.J. 1989. Landscape painting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pp. 163-175. In: The Joongang Newspaper Co., Korean beauty 11. Landscape painting vol 1. The Joong-ang Newspaper Co. Seoul. Korea. 

  3. Choi, H.S. and Kang, S.A. 2005. The spatio temporal changing of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實景山水畵) in the Joseon Dynasty and its meanings. Journal of Korean Classics Studies 42: 243-268. 

  4. Choi, W.S. 2009. Gyeomjae Jeong Sun 1. Hyeonamsa. Seoul. pp. 397. 

  5. Choi, W.S. 2009. Gyeomjae Jeong Sun 2. Hyeonamsa. Seoul. pp. 419. 

  6. Choi, W.S. 2009. Gyeomjae Jeong Sun 3. Hyeonamsa. Seoul. pp. 570. 

  7. Chuncheon National Museum. 2002. Our land, True-view landscape. Tongcheon Cultural Publishers. Seoul. pp. 317. 

  8. Ha, Y.J. 2012. A study on contemplation method of landscape painting. Journal of Korean Adolescents Culture 64: 514-536. 

  9. Hwang, E.S. 1995. A study on the Seoul near view painting by Gyeomjae Jeong Sun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10. Jang, J.S. 2000. A study on the visual form of the oriental landscape paint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1(2): 23-32. 

  11. Jang, J.H. 2008. The Joseon Dynasty landscape painting shown in the spirit of water(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12. Jee, S.I. 1999. Characteristic of the beauty in Korean landscape. Journal of Aesthetics and Science of Art 10: 29-56. 

  13. Jeon, Y.O. 2004.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rocks in the garden and landscape paintings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1-12. 

  14. Jung, K.H. 2009. A study of the view point and objects of Jeong Sun's Works in the “Book of landscape outskirts of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4): 74-82. 

  15. Kang, M.S. and Akishima, S. 199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omposition in Late Joseon Dynasty landscape paint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Gyusyu Branch 37: 209-212. 

  16. Kang, M.S. 2001. Patter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concerning landscape on mountains and hills by using a landscape pi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4): 12-23. 

  17. Kang, Y.J. and Bae, M.Y. 2002. Prospect behavior in the analysis of Gyeomjae Jeong Sun's one hundred scenes from the real landscape paint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5): 1-15. 

  18. Kim, C.Y., Kim, K.W., and Sim, Y.G. 2003. Site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investigated in landscape painting of Joseon Dynasty. Proceedi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pp. 335-337. 

  19. Kim, C.H. and Bae, H.M.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from the genre painting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59-71. 

  20. Kim, M.H. and Chung, H.K.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tableware pottery and the food culture for genre painting in the 18th Joseon Dynasty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2(6): 653-664. 

  21. Kim, M.J. 2013. A study in water images found in Sansuhwa (Landscape Painting) during Joseon Dynasty(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22. Korea Forest Service. 2011. Business guide on forest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223. 

  23. Lee, J.H. 1995. Based on the landscape paintings in Yi-Dinasty: A study of utopian landsca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1): 61-71. 

  24. Lee, H.J. and Choi, K.S. 2009.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Dongcheon in the traditional space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4): 103-115. 

  25. Lee, T.H. 2010. How did old painters paint our land. Tree of thought. Seoul. pp. 551. 

  26. Lee, Y.H., Park, C.W., and Kim, J.J. 2013.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eautiful forest scenery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55-70. 

  27. National Museum of Korea. 2006. Dreaming of paradise: blue-green landscape paintings from the Joseon dynast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pp. 43. 

  28. National Museum of Korea. 2010. (The)life and painting of Jeong Sun 1676-1759.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pp. 115. 

  29. Park, E.S. 2002. Perspective and materials of real landscape painting. pp. 256-275. In: Chuncheon National Museum, Our land, True-view landscape. Tongcheon Cultural Publishers. Seoul. Korea. 

  30. Park, E.S. 2005. Twelve thousand peaks of Geumgangsan. Borim press. Paju. pp. 80. 

  31. Shinohara, O. 1994. Planning for landscape of civil engineering. Giboudou. Tokyo. pp. 326. 

  32. The Joong-ang Newspaper Co.. 1984. Korean beauty 1. Gyeomjae Jeong Sun. The Joong-ang Newspaper Co.. Seoul. pp. 229. 

  33. The Joong-ang Newspaper Co.. 1984. Korean beauty 11. Landscape painting Vol 1. The Joong-ang Newspaper Co.. Seoul. pp. 230. 

  34. The Joong-ang Newspaper Co.. 1984. Korean beauty 12. Landscape painting Vol 2. The Joong-ang Newspaper Co.. Seoul. pp. 263. 

  35. The Joong-ang Newspaper Co.. 1984. Korean beauty 21. Danwon Kim Hong Do. The Joong-ang Newspaper Co.. Seoul. pp. 249. 

  36. Yoo, G.H. and Sung, J.S. 2009. Research on cultural scenic landscape in Jingyeong Sansuhwa: Centering around Gyeomjae Jeong Sun's Wo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1): 87-99. 

  37. Zoh, K.J. and Seo, Y.A. 2008. A study on the garden meaning of Pungryu through genre painting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94-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