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공공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 개인, 도서관의 특성 및 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를 중심으로 -
A National Study Explaining the Public Library Use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Local Library Inputs, and Local Government Investment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4, 2014년, pp.291 - 312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송경진 ((사)포럼 문화와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도서관 방문빈도가 그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그가 이용하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 그리고 거주지의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투자 수준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우리나라 인구의 성별, 연령, 지역적 분포 등을 고려한 유층표집을 적용하여 대한민국 전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일반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문사회조사기관의 온라인패널을 통해 2014년 3-4월 33일간 웹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3년 국가도서관통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방문은, 인구가 많은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독서량이 많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새로 건립된 공공도서관이 있고, 이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을 때 더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공도서관 건립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national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ublic library use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The study constructed a model of three types of factors to explain the frequency of public library visits: an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put and 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예측해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공공도서관 방문빈도가 그 개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그가 이용하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 그리고 거주지역의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투자 수준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네 개의 연구문제를 구성하여 조사 분석하였고, 본 장에서는 그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 통계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분석, 계층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이하 HMR) 등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는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그들이 주로 이용하는 도서관과 거주하는 지역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상관분석은 공공도서관 이용이 각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연구문제 1),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연구문제 2),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 특성(연구문제 3) 등과 각기 서로 연관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먼저 우리나라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특정 지역이나 특정 이용자 집단에 국한하지 않고 전국적인 표본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설명하려고 한 드문 시도라는 점이다. 더불어 공공도서관 이용을 한 측면에 한정하지 않고 개인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별 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그리고 기초와 광역 자치단체로 대별되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투자 특성 등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파악해보고자 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 정도를 방문빈도를 통해 가늠하고, 이와 관련 있는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 요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 무엇보다, 이용자의 개인적인 특성, 공공도서관의 자원 투입 및 서비스 특성, 지역사회의 도서관 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 있는 요인들을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측정한 개인 차원, 서비스 자원의 투입 및 산출로 측정한 개별 도서관 차원, 그리고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를 통해 본 지역 차원으로 구성하여 다차원적인 규명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 마지막 연구문제 4에서는 일반 국민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게 해 주는 개인적 특성과 공공도서관의 특성, 자치단체의 특성을 발견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각 차원에서 의미 있는 예측변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표 6> 참조).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예측해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공공도서관 방문빈도가 그 개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그가 이용하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 그리고 거주지역의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투자 수준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 정도를 방문빈도를 통해 가늠하고, 이와 관련 있는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 요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연구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 연구문제 1: 우리나라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이 있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 연구문제 2: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관련 특성 중에서 어떤 특성이 그 도서관 이용자들의 이용과 관련이 있는가?
  • 연구문제 3과 관련해서 일반 국민들의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 있는 거주지 규모(인구) 및 거주지의 기초와 광역 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투자 수준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방문빈도는 그 지역 인구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연구문제 4: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공공도서관의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투자 특성 중에서 한국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은 무엇인가?
  • 연구참여자 개개인이 속한 지역의 규모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위해 투입한 자원의 규모가 그 개인의 도서관 이용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설문 응답자에게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행정구역명을 동/면 단위까지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파악한 행정구역명을 통해 각 개인이 속한 기초및 광역 자치단체별로 그 지역의 전체 인구와 도서관 인프라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이 이용자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용하고 있는 개별 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그리고 거주하고 있는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크기와 도서관 투자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특히 시민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특정 지역이나 특정 집단에 국한하여 이루어져 왔으며(박옥화 2007; 최희곤 2009; 이희수, 김기영 2014), 대표성을 갖는 표본을 통해전 국민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 연구는 전국적 표본의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 정도가 (1) 시민 개개인의 특성과, (2) 그들이 이용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특성, 그리고 (3) 그가 거주하는 행정단위인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투자 수준 등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영향 요인들을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즉,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적 특성, 지역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특성(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특성(공공도서관 투자)의 세 차원에서 분석하고, 그 가운데 공공도서관 이용에 가장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 기관,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본 연구는 전국적 표본의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 정도가 (1) 시민 개개인의 특성과, (2) 그들이 이용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특성, 그리고 (3) 그가 거주하는 행정단위인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투자 수준 등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영향 요인들을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즉, 일반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이용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적 특성, 지역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특성(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의 특성(공공도서관 투자)의 세 차원에서 분석하고, 그 가운데 공공도서관 이용에 가장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 기관,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 날의 공공도서관은 어떤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는가? ‘시민의 대학’이라는 공공도서관의 별칭은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임무를 대변한다. 특히, 책이라는 텍스트 위주의 자료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매체를 수용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공동체 활동의 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오늘 날의 공공도서관은 생애교육과 지식정보의 제공이라는 전통적인 서비스와 더불어 변화하는 정보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과 자치모임을 위한 공간의 제공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방문빈도가 그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그가 이용하는 개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자원 투입 및 산출 특성, 그리고 거주지의 기초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투자 수준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자료수집을 위하여 우리나라 인구의 성별, 연령, 지역적 분포 등을 고려한 유층표집을 적용하여 대한민국 전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일반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문사회조사기관의 온라인패널을 통해 2014년 3-4월 33일간 웹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3년 국가도서관통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성인들의 공공도서관 방문은, 인구가 많은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독서량이 많은 개인이 일상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새로 건립된 공공도서관이 있고, 이용자 개개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을 때 더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공도서관 건립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공공도서관은 누구나 차별 없이 정보와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도권 교육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있는 일반 성인들의 생애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민의 대학’이라는 공공도서관의 별칭은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임무를 대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박옥화. 2007. 공공도서관 고령이용자에 대한 연구: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75-396.(Park, Ok-Wha. 2007. "A Study on the Elderly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375-396.) 

  2. 신승수, 임상진, 최재원, 2014. 슈퍼 라이브러리. 서울: 사람의 무늬.(Shin, Seung-Soo, Sang-Jin Lim, and Jae-Won Choi. 2014. Super Library. Seoul: Saramui Munui.) 

  3. 유경종, 2010. 공공도서관 설립과 운영의 지역 간 격차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Yoo, Kyeong-Jong. 2010. A Study on the Regional Disparity of Public Libraries Focused on Their Foundation and Management. Ph. D. diss., Keimyung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 이경란. 2013.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97-116.(Lee, Kyeong-Ran.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97-116.) 

  5. 이희수, 김기영. 2014.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주민의 도서관 요구에 관한 연구 - 3개의 지역유형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1): 207-230.(Lee, HeuiSoo and Giyeong Kim. 2014.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207-230.) 

  6. 차미경. 2002. 공공도서관에서의 지역사회 기반 봉사 확대를 위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1): 199-213.(Cha, Mikyeong. 2002. "A Study for Enhancing Community-based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1): 199-213.) 

  7. 최희곤. 2009.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6(4): 129-145.(Choi, Hee-Kon. 2009. "An Analysis of Impact Factors on the Number of Use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4): 129-145.) 

  8.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주민등록인구현황. [cited 2014.10.5].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cited 2014.10.5]. .) 

  9. D'Elia, G. and E. J. Rodger. 1995. "The Roles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a Gallup Poll of Community Opinion Leaders." Public Libraries, 34(2): 94-101. 

  10. Greer, R. C. and M. L. Hale. 1982. Public Librarianship: A Reader. Littleton, CO: Libraries Unlimited. 

  11. Sarling, J. H. and D. S. Van Tassel. 1999. "Community Analysis: Research that Matters to a North-Central Denver Communi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1(1): 7-29. 

  12. Sin, Sei-Ching J. 2012. "Modeling the Impact of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Library Service Levels on High School Students' Public Library Usage: a National Analysi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228-237. 

  13. Zweizig, Douglas and Brenda Dervin. 1977. "Public Library Use, Users, Uses: Advances in Knowledge of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Adult Clientele of American Public Libraries." Advances in Librarianship, 7: 232-2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