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과학관 비형식 과학 학습 관련 기대도 조사 - 과학 학습 영역 중심으로 -
Research of Elementary Students' Expectations on Informal Science Learning in Science Museums - Focused on Science Learning Area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4년, pp.620 - 633  

정유진 (하탑초등학교) ,  오현석 (남대문중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최승언 (서울대학교) ,  박은지 (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tudents' expectations on informal science learning in science museums which have characteristics of free choice learning.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의 과학관 학습에 대한 기대도를 조사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그 검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과학관 학습 기대도를 규명함으로써 유의미한 내용을 해석해 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자유 선택 학습의 특성을 가진 비형식 과학 학습의 장으로서의 과학관 맥락에서 관람객의 기대도 파악이 중요하며, 관람객의 과학관 학습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관과 같은 학교 밖 비형식 맥락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관람객의 학습 기대도를 탐색한 것으로 기대도 관련 연구의 초기의 탐색적 성격을 가진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관 학습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대도를 학습 영역 중점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과학관 예비 관람객의 사전 상태 중에서도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관람객의 학습에 대한 기대도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람객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란?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관에서 일어나는 비형식 과학 학습을 통해서 길러지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관람객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즉, 관람객의 흥미나 기대도와 같은 관람 이전의 동기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성주의나 사회문화적 접근에 의하면 개인이 공유하고 있는 관람 이전 정의적 상태는 관람객의 과학관 방문 여부, 관람 행동, 관람 경험의 평가 등을 안내하고 형성하는 중요한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학교 학습과 비교한 비형식 학습은? , 2010). 비형식 학습은 학교 학습과 비교할 때 대상이 성인에서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인지적 학습뿐 아니라, 흥미와 같은 정의적 특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Kim et al., 2010).
비형식 과학 학습을 통해서 무엇을 기를 것인가에 대한 의문의 답을 기존의 학교 학습에 대한 연구에서 찾기는 어려운 이유는? 또한, 비형식 과학 학습을 통해서 무엇을 기를 것인가에 대한 의문의 답을 기존의 학교 학습에 대한 연구에서 찾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학교 학습과 비형식 학습을 통해서 기르고자 하는 능력은 공통된 부분도 있지만, 상당히 다른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Bae, J. & Jeong, H. (2005). Analysis of lower categories of dimensions of learning in elementary biological science uni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3), 203-213. 

  3. Bedi, K. (2006). Balancing learner expectations & educator perceptions in an online MBA course for exemplary learning. U21Global Working Paper No. 012/2006 . Available at SSRN: http://ssrn.com/abstract1606144 or http://dx.doi.org/10.2139/ssrn.1606144 

  4. Bell, P., Lew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d pursui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5. Chang, H. & Choi, K. (2006). The effects of science museum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interac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6(2), 425-445. 

  6. Choi, J., Lee, S., Shin, M., Im, J., Byun, H., Lee, S., Lee, C. & Kim, C. (2004). Percep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natural history and natural history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24(5), 869-885. 

  7. Choi, K., Chang, H. & Lee, H. (20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cational programs in science museum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3), 331-337. 

  8. Engle, R. A. & Conant, F. C. (2002). Guiding principles for fostering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Explaining an emergent argument in a community of learners classroom. Cognition and Instruction, 20(4), 399-483. 

  9.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Walnut Greek, CA: Alramira Press. 

  10. Han, M., Yang, C. & Noh, T. (2010).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for instructions for using the science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8), 1060-1073. 

  11.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 and education: Purpose, pedagogy, performance. London: Routledge. 

  12. Kim, C., Shin, M. & Lee, S. (2010). Understanding informal science learning. Seoul: Bookshill. 

  13. Kim, H. & Im, S. (2012).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1), 125-134. 

  14. Kwak, Y., Kim, C., Lee, Y. & Jeong, D.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ience Society, 27(3), 260-268. 

  15. Lee, S. & Heo, S. (2009).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regarding the exhibits of public science centers of Busa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3(1), 81-112. 

  16. Lee, Y. (2004).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Seoul: Wonmisa. 

  17. Leinhardt, G. & Knutson, K. (2004). Listening in on museum conversations. Walnut Creek, CA: AltaMira Press. 

  18. Lipstein, R. & Renninger, K. A. (2006). "Putting things into words": 12-15-year-old students' interest for writing. In P. Boscolo & S. Hidi (Eds.), Motivation and writing: Research and school practice.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19. National Reasearch Council (NRC)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National Academy Press. 

  20. Nickels, A. L. (2009). An exploration of visitors' conservation attitudes, expectations, and motivations at three i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 Newport, Oregon. Unpublished thesis of MS. Oregon State University. 

  21. Noh, T., Kim, Y., Han, S. & Kang, S. (20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4), 882-891. 

  22. Phillips, M., Finkelstein, D. & Wever-Frerichs, S. (2007). School site to museum floor: How informal science institutions work with schools. International science institutions work with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489-1507. 

  23. Renninger, K. A. (2000). Individual interest and it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intrinsic motivation. In C. Sansone & J. M. Harackiewicz (Ed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earch for optimal motivation and performance (pp. 375-407). New York: Academic. 

  24. Schilling, K. M. & Schilling, K. L. (1999). Increasing expectations for student effort. About Campus, 4(2), 4-10. 

  25. Simmons, I. (1996). A conflict of cultures: Hands-on science centers in UK museums. In S. Pearce (Ed.), Exploring science in museums (pp. 79-94). London: Athlon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