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인지적 영역 분석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Domain in Fre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4년, pp.773 - 783  

백자연 (서울신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  김재영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revised in 2007, the Free Inquiry was newly introduc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o foster creativity by having students make their own question and find answer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 과학자의 과학적 활동에 수반되는 뇌기능을 토대로 개발된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인지적 영역의 활동 특징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안을 할 수 있다.
  • 특히,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으로 학생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자유탐구’를 새로 도입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 자유탐구는 학생 스스로 해결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아 적절한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학생들이 왜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 유형의 학생이 수행한 자유탐구의 내용과 수준을 알아보았다. H-H 유형에 해당하는 이세* 학생의 경우, 다양한 조건에서 콩나물을 키워보며, 콩나물이 잘 자라는 조건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하게 급변하는 문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효과적으로 길러주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과학과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예상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제 상황에 접하게 되는 현대와 미래사회에서는 전통적인 과학 교육에서 많은 비중을 두는 정해진 주제, 안내나 지시에 따른 실험·관찰, 단순 지식의 습득·축적 방식으로는 급변하는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어렵다. 다양하게 급변하는 문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효과적으로 길러주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실제적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 문제를 해결하는 전체 과정을 직접 경험하게 해야 한다(Kim et al., 1999).
자유탐구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과학 교육과정이 여러차례 개정되어 왔는데, 자연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고, 이러한 탐구 활동을 기초로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을 핵심적 목표로 일관되게 강조해 왔다. 특히,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으로 학생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자유탐구’를 새로 도입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 자유탐구는 학생 스스로 해결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아 적절한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자유탐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특히,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으로 학생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자유탐구’를 새로 도입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 자유탐구는 학생 스스로 해결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아 적절한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mpbell, D. T. (1960). Blind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creative thought as in other knowledge processes. Psychological Review, 67(6), 380-400. 

  2.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3.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ce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4. Hidi, S., Renninger, K. A. & Krapp, A. (2004). Interest, a motivational construct that combines affective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D. Dai and R. Sternberg (Eds.),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Integrative perspectives o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development (pp. 89-115). Mahwah, NJ: Erlbaum. 

  5. Hodson, D. (1998). Is this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NY : Routledge. pp. 93-108. 

  6. Hull, D. L. (1988). Science as a process: An evolutionary account of the soci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7. Kim, C. J., Chae, D. H. & Lim, C. S. (1999). Introduction to science education. Seoul: BooksHill. 

  8. Kim, D. Y.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axonomic framework of types of biological knowledge an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9. Kim, J. Y., Lim, C. S. & Baek, J. Y. (2014).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behavioral domain in fre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79-587. 

  10. Kim, K., Kim, S., Kim, N., Park, S., Kim, J., Park, H. & Jung, S. (2008).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trend in Kore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intern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TIMSS/PISA). KICE, Research Report RRE 2008-3-1. 

  11. Krapp, A. (2002a). An educational-psychological theory of interest and its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theory. In E. Deci & R. Ryan (Eds.), Th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405-427).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2. Krapp, A. (2002b). Structural and dynamic aspects of interest developm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from an ontogenetic persp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12, 3830409. 

  13. Lim, C. S. (2009). Development of a model of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tific teaching for th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8), 990-1010. 

  14. Lim, C. S. (2012).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o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Biology Education (Korea), 40(4), 429-452. 

  15. Lim, C. S., Kim, J. Y. & Baek, J. Y. (2012).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ttitude and topics of interest in free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a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4), 541-557. 

  16. Martin-Hansen, L. (2002). Defining inquiry. The Science Teacher, 69, 34-37. 

  1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nnouncement 2007-79 (Supplement 9). 

  18. Niaz, M. (1996). Reasoning strategies of students in solving chemistry problems as a function of developmental level, functional M-capacity, and disembedding abilit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64, 502-505. 

  19. Peters, E. (2005). Reforming cookbook labs. Science Scope, 29(3), 16-21. 

  20. Plotkin, H. (1994). Darwin machines and the nature of knowle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21. Popper, K. R. (196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New York: Harper and Row. 

  22. Popper, K. R. (1972).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 Renninger, K. A. (1989).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lay interest. In L. T. Winegar (Ed.), Social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understanding (pp. 147-172). Norwood, NJ: Ablex. 

  24. Renninger, K. A. (1990). Children's play interests, representation, and activity. In R. Fivush & K. Hudson (Eds.), Knowing and remembering in young children (pp. 127-165). New York: Cambridge Press. 

  25. Renninger, K. A. (2000). Individual interest and it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intrinsic motivation. In C. Sansone & J. M. Harackiewicz (Eds.), Intrinsic motivation: Controversies and new directions (pp. 373-404). New York: Academic Press. 

  26. Renninger, K. A. & Shumar, W. (2002). Community building with and for teachers: The Math Forum as a resource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 A. Renninger & W. Shumar (Eds.), Building virtual communities: Learning and change in cyberspace (pp. 60-9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Renninger, K. A., Ewen, L. & Lasher, A. K. (2002). Individual interest as context in expository text and mathematical word problems. Learning and Instructions, 12, 467-491. 

  28. Shin, H. H. & Kim, H. N. (2010).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difficulties on open science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262-276. 

  29. Simonton, D. K. (2011). Creativity and discovery as blind variation: Campbell's (1960) BVSR model after the half-century mark.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 10.1037/a0022912. 

  30. Tinajero, C. & Paramo, M. F. (1997).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 re-examination of their relationship.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7, 199-212. 

  31. Witkin, H. A. & Goodenough, D. R. (1981). Cognitive styles: Essence and origins: Field dependence and field independenc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2. Witkin, H. A., Moore, C. A., Goodenough, D. R. & Cox, P. W. (1977). Field 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s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1), 1-64. 

  33. Witkin, H. A., Oltman, P. K., Raskin, E. & Karp, S. A. (1971). A manual for the embedded figures test.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4. Yoon, H. G. & Pak, S. J. (2000).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37-154. 

  35. Ziman, J. (2000). Real science: What it is, and what it mean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