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Behavioral Domain in Fre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3, 2014년, pp.579 - 587  

김재영 (서울교육대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  백자연 (서울신계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revised in 2007, 'Free Inquiry' was newly introduc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o foster creativity by having students make their own questions and find answers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deployed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한 방안으로 학생 스스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자유탐구’를 신설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 자유탐구는 학생 자신이 해결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아 적절한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B-F 단계에서는 문제해결에 사용한 방법을 장단점을 토대로 다른 영역에 확장하거나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즉, 학생들은 문제해결에 사용 했던 방법을 관련된 새로운 상황들에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탐구 계획서에 구체적인 일정과 탐구 내용 및 방법을 구체화하고, 확장 · 적용 방안을 적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에서는 자유탐구 과정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 그러나,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에서는 자유탐구 과정을 ‘주제 선정 및 소집단 구성 → 탐구 계획 수립→ 탐구 수행 및 중간 점검 → 최종 보고서 작성 → 최종 보고서 발표’로 크게 단순화시켜 제시하고 있어서, 실제 과학자처럼 과학을 하게 한다는 자유탐구의 본질을 반영하는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더욱이, 교과서나 학교 현장에서의 정규 과학 교수 학습에서는 대부분 주제가 제시되어 있고, 내용이나 개념 이해를 위하여 탐구 과정이 자세히 서술된 요리책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Hodson, 1998), 실제적 탐구가 적절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Jang, 2006; Shim et al.
실제 과학은 어떻게 요약할 수 있는가? 실제 과학은 학생이 비록 수준은 낮더라도 실제 과학자가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과학을 하게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Chinn & Malhotra, 2002; Ziman, 2000). 과학자는 자신이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현상에서 다양한 호기심 질문(curiosity question)을 찾아낸 다음,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해결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질문을 선택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통제된 실험을 설계하여 수행함으로써 그 가설을 검증한다. 다음으로 동료 검토와 출판 과정을 통해 그 결과가 다른 과학자들에게 전파된다. 어떤 자연 현상을 정확하고 신뢰롭게 예상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동료 과학자들에 의해 충분히 검토되고 검증된 가설은 과학적 이론이 된다. 과학자는 이러한 과학적 이론들을 다른 상황에 확장시켜 적용한다. 과학자의 이러한 과학적 활동들에는 과학교육의 핵심 영역인 동시에 인간의 뇌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정의적․행동적․인지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흥미 문제, 해결 방법, 결과의 의미들을 다양화한 다음, 그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실행하고, 계속 확장․적용하는 진화적 속성들이 내재되어 있다(Hull, 1988).
B-F 단계는 무엇을 하는가? B-F 단계에서는 문제해결에 사용한 방법을 장단점을 토대로 다른 영역에 확장하거나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즉, 학생들은 문제해결에 사용 했던 방법을 관련된 새로운 상황들에 적용하려고 시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ampbell, D. T. (1960). Blind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creative thought as in other knowledge processes. Psychological Review, 67(6), 380-400. 

  2. Campbell, D. T. (1974). Evolutionary epistemology. In P. A. Schilpp (Ed.). The philosophy of Karl Popper. (413-463). LaSalle, IL: Open Court. 

  3. Chae, D., Son, Y. A. & Maeng, H. J. (2007).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3), 341-358. 

  4.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5.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ce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6. Hodson, D. (1998). Is this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NY: Routledge. pp. 93-108. 

  7. Hong, J. E., Lee, I. & Jhun, Y. (2007). An analysis of the ability of inquiry performance for students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3), 267-275. 

  8. Hull, D. L. (1988). Science as a process: An evolutionary account of the soci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9. Jang, S. (2006).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with an emphasis on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1), 96-108. 

  10. Kim, C. J., Chae, D. H. and Lim, C. S. (1999). Introduction to science education. Seoul: BooksHill. 

  11. Kim, K., Kim, S., Kim, N., Park, S., Kim, J., Park, H. & Jung, S. (2008).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trend in Kore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intern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TIMSS/PISA). KICE, Research Report RRE 2008-3-1. 

  12. Lim, C. S. (1999).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and gende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 observation of living things.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7(2), 143-150. 

  13. Lim, C. S. (2009). Development of a model of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tific teaching for th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8), 990-1010. 

  14. Lim, C. S. (2012).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o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Biology Education (Korea), 40(4), 429-452. 

  15. Lim, C. S., Kim, J. Y. & Baek, J. Y. (2012). Analyses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attitude and topics of interest in free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a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4), 541-557. 

  16. Martin-Hansen, L. (2002). Defining inquiry. The Science Teacher, 69, 34-37. 

  1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7).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nnouncement 2007-79 (Supplement 9). 

  1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nnouncement 2011-361 (Supplement 9). 

  19. Morgan, D. L., Morgan, R. K. & Toth, J. M. (1992). Variation and selection: The evolutionary analogy and the convergence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sychology. The Behavior Analyst, 15(2), 129-138. 

  20. Park, Y. S. (2006). Theoretical study on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401-415. 

  21. Peters, E. (2005). Reforming cookbook labs. Science Scope, 29(3), 16-21. 

  22. Popper, K. R. (1963). Conjectures and refutations: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23. Popper, K. R. (196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New York: Harper and Row. 

  24. Popper, K. R. (1994). In search of a better world lecture and essays from thirty year. London: Routledge. 

  25. Shim, K. C., Park, J. S., Park, S. W. & Shin, M. K. (2007). An analysis of science inquiries as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24-31. 

  26. Shin, H. H. & Kim, H. N. (2010).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difficulties on open science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262-276. 

  27. Simonton, D. K. (2011). Creativity and discovery as blind variation: Campbell's (1960) BVSR model after the half-century mark.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 10.1037/a0022912. 

  28. Yoon, H. G. & Pak, S. J. (2000).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37-154. 

  29. Ziman, J. (2000). Real science: What it is, and what it mean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