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왕겨 바이오차 및 음식물쓰레기 바이오차가 밭 사양토에서 상추발아 및 수용성 유기탄소 용출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ng germination of lettuce and soluble organic carbon leachability in upland sandy loam soil applied with rice husk and food waste biochar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1 no.4, 2014년, pp.369 - 377  

한경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장용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정강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조희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rice husk (RHB) and food waste biochar (FWB) on upland soil with sandy loam texture, in term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lettuce seed germination test, and orgainc carbon leaching experiment. RHB and FWB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차의 토양 처리시 행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국내 생산된 왕겨 바이오차와 음식물쓰레기 바이오차에 대해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항온조건에서 상추발아시험, 토양 컬럼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토양은 점토함량이 6%로 낮은 세사양토였고 바이오차 처리수준은 10 MT ha-1였다.
  •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바이오차의 경우 높은 염 함량으로 토양 처리 시작물의 발아율 저하가 나타났다. 이는 각종 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차를 농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물이나 토양 및 수계 등 주변 환경에 유해한 요소가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반면 왕겨 바이오차의 경우 유기탄소량 증가 외에도 포화수리전도도의 증가 등의 토양 물리성 개선 효과를 함께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숯은 토양에 시용했을 때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전통적인 숯(charcoal)은 주로 연소를 위한 연료로 사용되었으나 바이오차는 기후변화의 완화, 토지생산성 개선, 재생에너지 생산 등에 다양하게 이용 될 수 있다. 특히 토양에 시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미생물 분해에 안정하여 탄소를 토양에 중장기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온실가스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산도감소, 양분보유력 및 수분보유력 증가 등의 토양개량효과 또한 보고되고 있어 비옥도가 낮은 토양에서 시용해 볼만한 물질이다(Butnan et al.
바이오차란 무엇인가?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의 열분해(pyrolysis)에 의해 생성된 고형 부산물이다. 전통적인 숯(charcoal)은 주로 연소를 위한 연료로 사용되었으나 바이오차는 기후변화의 완화, 토지생산성 개선, 재생에너지 생산 등에 다양하게 이용 될 수 있다.
바이오차는 토양에서 어떤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가? 바이오차는 토양에서 다양한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데 (Schmidt and Noack, 2000; Ghosh et al., 2000) 중금속등 유해물질, 수계 부영양화 유발물질인 인 및 수용성 유기물질 등이 포함된다. 농경지 양분 및 수용성 유기물질은 점토함량 및 유기물함량이 낮은 사양질 토양에서 상대적으로 강우 시 물에 녹아 용탈되어 수계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할 수 있다(Ca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lan NS, Adriano DC, De-la-Luz M. 2004. Dynamics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oil. SuperSoil 2004: 3rd Australian New Zealand Soils Conference, 5-9 December 2004,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2. Butnan S, Deenik JL, Toomsan B, Antal MJ, Viyakon. 2015. Biochar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rates affecting corn growth and properties of soils contrasting in texture and mineralogy. Geoderma 237-238:105-116. 

  3. Cao J, Tao S, Li BG. 1999. Leaching kinetics of water soiluble organic carbon from upland soil. Chemosphere 39(11): 1771-1780. 

  4. FAO. 1985. Crop salt tolerance data. 

  5. Gaskin JW, Speir RA, Harris K, Das KC, Dewey R, Morris LA, Fisher DS. 2010. Effect of peanut hull and pine chip biochar on soil nutrients, corn nutrient status, and yield. Agronomy Journal 102(2):623-633. 

  6. Ghosh U, Gilette JS, Luthy RG, Zare RN. 2000. Microscale location, characterization, and associ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on harbor sediment particles. E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34:1729-1736. 

  7. Glaser B, Haumaier L, Guggenberger G, Zech W. 2001. The "Terra Preta" phenomenon: A mode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humid tropics. Naturwissenschaften 88:37-41. 

  8. Hossain MK, Strezov V, Chan KY, Nelson PF. 2010. Agronomic properties of wastewater sludge biochar and bioavailability of metals in production of cherry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Chemosphere 78:1167-1171. 

  9. Jeong SJ, Oh JS, Seok WY, Cho MY. 2008. The effect of treatment of woody charred materials on the growth and components of tomato and Chinese cabbag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6(4):455-469. 

  10. Kaiser K, Guggenberger G, Zech W. 2001. Organically bound nutrients in dissolved organic matter fractions in seepage and pore water of weakly developed forest soils. Acta Hydrochimica et Hydrobiologica 28:411-419. 

  11. Lehmann J, da Silva JP, Steiner C, Nehls T, Zech W, Glaser B. 2003. Nutrient availabillity and leaching in an archaeological Anthrosol and a Ferralsol of the central Amazon basin: Fertilizer, manure and charcoal amendments. Plant Soil 249: 343-357. 

  12. Lehmann J, Gaunt J, Rondon M. 2006. Bio-char sequestration in terrestrial ecosystems - a review.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1, 403-427. DOI: 10.1007/s11027-005-9006-5. 2.6 NACP, Greenbelt, MD. 

  13. Liang B, Lehmann J, Solomon D, Kinyangi J, Grossman J, O'Neill B, Skjemstad O, Thies J, Luizao FJ, Petersen J, Neves EG. 2006. Black carbon increases cation exchange capacity in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70:1719-1730. 

  14. Major J, Lehmann J, Rondon M, Goodale C. 2009. Fate of soil-applied black carbon: downward migration, leaching and soil respiration. Global Change Biology. 

  15. Nguyen BT, Lehmann J, Kinyangi J, Smernik R, Riha SJ, Engelhard MH. 2008. Long-term black carbon dynamcis in cultivated soil. Biogeochemistry 89:295-308. 

  16. NIAST. 2000. The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17. RDA. 2010. The guideline for quality test and sampling of fertilizer. 

  18. Schmidt MWI, Noack AG. 2000. Black carbon in soils and sediments: Analysis, distribution, implications, and current challenges.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4:777-793. 

  19. Singh BP, Cowie AL. 2008. Decomposition of biochars in soil (vertisol) and their turnover time -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greenhouse balance,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Biochar Initiative - Biochar, Sustainability and Security in a Changing Climate, Newcastle, United Kingdom, September 8-10, 2008. 

  20. Yun BK, Park IJ, Yoo YK, Hou WN, Kim BW, Kim YW. 2004. The effect of application levels of wood charcoal powder on onion (Allium cepa L.) growth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6(2): 162-1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