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의 암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Mortality in Busa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4, 2014년, pp.81 - 94  

송수경 (동주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  김혜숙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임경민 (고신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ancer mortality inequality in Busa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dentified based on the region's mortality data including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ultimately helping the region improve its existing health pol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부산지역의 암 사망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지역 간이나 시간적 흐름의 차이에 대한 절대적 건강 불평등 측정도구는 연령구조를 보정한 연령 보정률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14], 암 사망 자료에서는 연령구조를 표준화하여 보는 연령표준화 사망률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 건강불평등의 측정도구인 지역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암 사망의 차이를 건강불평등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WHO는 Health 21 전략을 수립하면서 새로운 보건목표를 제시하였는데 그 중 건강불평등과 관련되는 두 가지의 목표를 명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사망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의 암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부산지역의 효율적인 암 예방관련 보건정책을 세우고 보건정책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한편 WHO는 Health 21 전략을 수립하면서 새로운 보건목표를 제시하였는데 그 중 건강불평등과 관련되는 두 가지의 목표를 명시하였다. 이 두 가지 목표란 국가 간의 건강불평등 및 국가내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국가의 건강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관점에서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국가들이 많다.
  • 이에 본 연구는 암 발생률은 낮은 반면 높은 암 사망률을 보이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암 발생률 과 암 사망률을 파악하고 사망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암 사망의 차이를 파악하여 부산지역의 암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들의 질병구조에 변화를 가져오고 암과 사망에 영향을 끼친 배경은? 산업화와 더불어 노령인구의 증가, 식습관 등의 변화는 사람들의 질병구조에 변화를 가져오고 만 성질환과 더불어 암의 발생과 사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질환일 뿐만 아니라 부산지역의 사망원인 1위를 차 지하고 있는 질환이다[1].
암 등록 사업은 어떻게 구분 되는가? 우리나라는 1980년도에 보건복지부가 주관이 되어 국립의료원에 중앙 암등록 본부를 두고 전국 규모의 암 등록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전국의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각 병원에서 발생한 암환자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자료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점검하고 보완, 분석하였다[5]. 암 등록 사업은 크게 병원 암 등록 사업, 중앙 암 등록 사업, 지역 암 등록 사업, 그리고 특수 암 등록 사업으로 구분 할 수 있다[6]. 이러한 사업들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암통계의 생산이 필수적이다.
부산이 6대 광역시를 비교 하였을 때 암 사망률 1위인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7명으로 6대 광역시를 비교 하였을 때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부산지역이 6대광 역시에 비하여 건강불평등의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use of Death Statistics Annals(2008), Statistics Korea, pp.1-10. 

  2.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2013), National Cancer Registry Project Annual Report, 2011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pp.19-37. 

  3. Cause of death statistics(2011), Statistics Korea, pp.25-50. 

  4. T.H. Yoon(2006),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lan in Busan Metropolitan,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53-70. 

  5.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2009), National Cancer Registry Project Annual Report, 2007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pp.1-20. 

  6.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2010), National Cancer Registry Project Annual Report, 2008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pp.30-45. 

  7. M.O. Son(2002), The Relationships of Occuptional Class, Educational Level and Deprivation with Moirtality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5(1);76-82. 

  8. Y.H. Kang(2004),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14(4);1-20. 

  9. Y.J. Shin, M.H. Kim(2007), Why Do Health Inequalities Matter, The Journal Preventive Medicine Public Health, Vol.40(6);419-421. 

  10. G.C. Yun, S.Y. Kim(2010), Regional differences in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Inequalities research,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Conference, pp.183-212. 

  11. J.P. Machenbach, A.E. Kunst, A.J. Cavelaars(1997),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bidity and in western Europe. Vol.349(7);1655-1659. 

  12. Y.H. Khang(2007), Historical development of health inequalities research,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0(6);422-430. 

  13. S.J. Koh(2010), Factors of Health Inequalities by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 Local Government Studies, Vol.21(3);169-195. 

  14. The Korean Society for equity in health(2008), Health equity measurement methodology, Hanul publishing company, pp.1-100. 

  15. Utilizing the concept of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and research in health inequaliti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0(6);475-486. 

  16. T.H. Yoon(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Childhood Mortality, Dong-A University Graduated school, pp.29-56. 

  17. H.D. Kim, H.Y. Koo, M.S. Kwak, J.R. Kim, B.C. Son, D.H. Moon, J.T. Lee, K.I. Lee, S.H. Ohm, K.O. Jung, J.H. Chun, C.U. Lee(1996), An Epidemiologic Study on Death Caused by Cancer in Pus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9(4);765-783. 

  18. C.E. Lee(1985), An Epidemiological studies on cancer deaths in Pusan, Inje Medicine Journal, Vol.6(4);583-601. 

  19. D.U. Hur, C.U. Lee, Jin, J.H. Ahn, Y.K. Kim, B.C. Son, D.H. Kim, C.H. Lee, H.D. Kim, D.H. Moon(2002), A Study on the Mortality Rate and Trend in Busan Area, Inje Medical Journal, Vol.23(5);647-662. 

  20. H.R. Kim(2007),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Its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27(2);25-43. 

  21. S.Y. Sohn(201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Suicidal Ideation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2);149-160. 

  22. S.H. Cho, A.Y. Eom, G.S. Jeon(2012),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drinking and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4);13-25. 

  23. H.R. Kim(2013),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the Aged in one Korean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16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