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암발생 및 암사망 추정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estimations in Busan by using spatial multi-level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5, 2016년, pp.1169 - 1182  

고영규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  한준희 (양산부산대학교 병원) ,  윤태호 (부산대학교 의과전문대학원) ,  김창훈 (부산대학교 의과전문대학원) ,  노맹석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의 전형적인 사망 원인인 암은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통계청이 제시한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에 따르면, 7대 광역시 중 부산의 표준화 사망률 (standardized mortality rate; SMR)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암센터의 암등록자료를 이용하여 암발생률과 암사망률의 정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2003~2009년 자료를 대상으로 구/동과 같은 소지역 단위를 고려하였으며, 전체 암과 4대 주요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공간 다수준 모형을 통해 모형 선택과 모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공간 효과에 대해서는 조건부 자기회귀 (conditional autoregressive; CAR)를 가정하였으며 WinBUGS를 이용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각 지역에서의 공간 효과를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하는지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ncer is a typical cause of death in Korea that becomes a major issue in health care. According to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MRs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in Busan were counted as the highest among all cities. In this paper, we used data of Busan Reg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행정 지역 단위인 구와 동을 기준으로 암발생 및 암사망 등록 자료에 대해 공간 모형을 적합한 후 질병지도를 통해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정결과에서 보듯이 지역 간 사회·경제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박탈지수와 같은 지표를 고려하여도 지역적 특성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장에서는 GLMM과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GLMM을 소개하고, 이를 적합하기 위한 MCMC의 한 종류인 깁스 샘플링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어서 모형 선택의 방법과 관련한 DIC 개념을 설명하였고, 공간적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한 Moran 검정법 및 지역간 상관성을 고려한 CAR모형을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GLMM과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GLMM을 소개하고, 이를 적합하기 위한 MCMC의 한 종류인 깁스 샘플링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어서 모형 선택의 방법과 관련한 DIC 개념을 설명하였고, 공간적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한 Moran 검정법 및 지역간 상관성을 고려한 CAR모형을 설명하고자 한다.
  • 추정을 위한 설명변수로는 연도, 성별, 나이, 2005년 기준 박탈지수 (deprivation index; Townsend, 1987)를 이용하였으며, 구/동별 차이를 두 개의 임의효과로 각각 고려하였다. 임의효과의 추정을 통해서, 각 소지역간 암발생/암사망의 연관성을 질병지도 (disease mapping)의 형태로 나타내어 파악하고자 한다. 2절에서는 연구 자료의 소개로 본 연구에 이용된 자료의 변수에 대한 설명과 자료의 생성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연구방법으로 공간적 상관성을 가지는 GLMM 모형을 제시하였고 MCMC의 한 종류인 깁스 샘플링 (gibbs sampling)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이는 임의 효과의 추정치에 지수함수를 취하여 계산한 것이다. 해당 결과의 점추정치를 질병지도의 형태로 나타내어 지역 간 암 발생의 연관성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병지도에서는 상대위험이 1보다 큰 지역의 경우 붉은 색으로, 상대위험이 1보다 작거나 같은 지역의 경우 파란 색으로 표현하였다.
  • 이는 임의 효과의 추정치에 지수함수를 취하여 계산한 것이다. 해당 결과의 점추정치를 질병지도의 형태로 나타내어 지역 간 암 사망의 연관성 파악하고자 하였다. 질병지도에서는 상대위험이 1보다 큰 지역의 경우 붉은 색으로, 상대위험이 1보다 작거나 같은 지역의 경우 파란 색으로 표현하였다.

가설 설정

  • 이와 달리 M2, M3, M4는 동과 구에 대해 공간효과를 고려한 모형이다. M2는 동에 CAR모형을 가정하고 구는 독립적인 임의효과로 두었으며, 반대로 M3는 동은 독립적인 임의효과로 두고 구에 CAR모형을 가정하였다. M4는 동과 구에 모두 CAR모형을 가정하였다 (Britt, 2005).
  • M2는 동에 CAR모형을 가정하고 구는 독립적인 임의효과로 두었으며, 반대로 M3는 동은 독립적인 임의효과로 두고 구에 CAR모형을 가정하였다. M4는 동과 구에 모두 CAR모형을 가정하였다 (Britt, 2005).
  • 연구자료는 2005년도 기준 부산광역시 105개의 행정동에 대해서 2003-2009년 (7년)간 수집된 암발생/암사망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특정 시점의 발생이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3년씩 자료를 묶어서 분석하였다. 동 단위로 집계된 발생자수/사망자수는 포아송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동별 연앙인구수의 자연로그 값을 오프셋 (offset)으로 두었다. 추정을 위한 설명변수로는 연도, 성별, 나이, 2005년 기준 박탈지수 (deprivation index; Townsend, 1987)를 이용하였으며, 구/동별 차이를 두 개의 임의효과로 각각 고려하였다.
  • 2는 동별로 구분된 부산 지역들에 대해 공통 경계를 가지는 경우 이웃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중심좌표를 연결해 놓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 경계를 공유하는 경우 외에도 다리 (bridge)를 통해 이어지는 지역들은 이웃하는 것으로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무정보적 사전분포 (uninformative prior)를 가정하였다 (Gilks, 1992). 식 (2.
  • 식 (2.2)의 β값들은 평균이 0이고 분산이 0.0001인 정규분포를, 임의효과의 정확도 (precision)는 척도모수와 형상 모수가 0.001인 감마분포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지안 CAR모형은 어떻게 구현할 수 있나요? 이는 소지역의 적은 표본 수로 인한 추정치의 정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베이지안 CAR모형은 WinBUGS와 같은 패키지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역내 구/군, 동 단위의 소지역별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통계적 분석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Lee와 Park, 2015).
precision 확보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소지역 추정을 위한 다양한 통계적인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지역 추정을 위한 다양한 통계적인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Clayton과 Kaldor (1987)이 제안한 경험적 베이즈 (empirical Bayes; EB) 방법과 Ghosh 등(1998)이 제안한 계층적 베이즈 (hierarchical Bayes; HB)방법, Kim 등 (2011)이 수행한 다단계 일반화 선형모형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HGLM)이 있다. 이와 같은 베이즈 접근법 (Banerjee 등, 2004)은 모수에 대한 사전분포 (prior distribution)를 가정하고 모수의 추정을 위해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계산과정을 이용한다.
과도하게 작은 소지역 단위 분석은 어떤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대지역 (region) 또는 소지역 (small area) 단위의 분석이 가능하나,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 결과를 위해 소지역 추정(small area estimation; SAE)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Pfeffermann, 2002; Chandra 등, 2007). 그러나, 과도하게 작은 소지역 단위 분석은 단위 내 표본수가 작아 추정치의 정도 (precision)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 단위에서 타겟변수의 미발생으로 인해 결과의 왜곡이 심해질 수 있다 (Rao,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D., Han, J., Yoon, T., Kim, C. and No, M. (2015). Small area estimations for disease mapping by using spati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01-109. 

  2. Banerjee, S., Carlin, B. P. and Gelfand, A. E. (2004). Hierarchical modeling and analysis for spatial data,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3. Berg, A., Meyer, R. and Yu, J. (2004). 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for comparing stochastic volatility models.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22, 107-120. 

  4. Britt, H. R., Carlin, B. P., Toomey, T. L. and Wagenaar, A. C. (2005). Neighborhood level spati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outlet density and criminal violenc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tistics, 12, 411-426. 

  5. Brooks, S. P. and Gelman A. (1998). General Methods for Monitoring Convergence of Iterative Simulation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7, 434-455. 

  6. Chandra, H., Salvati, N. and Chambers, R. (2007). Small area estimation for spatially correlated populations-a comparison of direct and indirect model-based methods. Statistics in Transition, 8, 887-906. 

  7. Choi, M. H., Cheong, K. S., Cho, B. M., Hwang, I. K., Kim, C. H. and Kim, M. H., et al. (2011). Deprivation and mortality at the town level in Busan, Korea: An ecological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4, 242-248. 

  8. Christensen, O. F. and Waagepetersen, R. (2002). Bayesian prediction of spatial count data using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Biometrics, 58, 280-286. 

  9. Clayton, D. and Kaldor, J. (1987). Empirical bayes estimates of age-standardized relative risks for use in disease mapping. Biometrics, 43, 671-681. 

  10. Ghosh, M., Natarajan, K., Stroud, T. W. F. and Carlin, B. P. (1998). Genearlized linear models for small-area estim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3, 273-282. 

  11. Gilks, W. R. and Wild, P. (1992). Adaptive rejection sampling for gibbs sampling. Applied Statistic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41, 337-348. 

  12. Kim, K., Noh, M. and Ha, I. (2011). A study using HGLM on regional difference of the dead due to injuri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137-148. 

  13. Lee, W. J. and Park, C. (2015). Prediction of apartment prices per unit in Daegu-Gyeongbuk areas by spatial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561-568. 

  14. Linde, A. (2005). DIC in variable selection. Statistica Neerlandica, 59, 45-56. 

  15. Moran, P. A. (1950).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37, 17-23. 

  16. Pfeffermann, D. (2002). Small area estimation-new developments and direction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25-143. 

  17. Rao, J. N. (2003). Small area estimation, Wiley Online Library, Ottawa, Canada. 

  18. Tiefelsdorf, M. (2000). The exact distribution of moran's I ,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s, Springer Verlag, Berlin, 87, 75-88. 

  19. Townsend, P. (1987). Deprivation. Journal Social Policy, 16, 125-146. 

  20. Walsh, B. (2004). Markov Chain Monte Carlo and Gibbs sampling, Available http://nitro.biosci.arizona.edu/courses/EEB581-2004/handouts/Gibbs.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