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노인의 특성과 장애로 인한 추가소요 의료비 지출간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xtra Health Care Costs Caused by Disability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4, 2014년, pp.209 - 220  

이종화 (김천대학교 치기공학과) ,  정현식 (포항대학교 보건행정과) ,  황홍구 (경운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김성우 (문경대학교 보건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xtra health care monthly costs caused by disability and suggests methods for effectively managing health care spend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1 Survey o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장애인 실태조사가 계속 생산될 예정이므로 후속 연구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한계에도 본 연구는 장애노인에 관하여 대표성 있는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노인과 만 65세 이상 노인의 두 집단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연구되었던 것을 만 65세 이상 장애 노인의 장애로 인한 추가소요 월 평균 의료비 지출에 관한 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이처럼 장애인[14]의 의료비지출 수준을 비롯한 장애노인[10]의 의료이용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한 장애로 인한 추가소요 의료비 지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체 등록 장애인 중 장애노인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장애노인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다른 생애주기의 장애인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한 시점에서 장애노인의 특성과 의료비 지출에 따른 장애노인의 지원을 위한 보건의료정책의 기반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노인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장애노인은 장애발생 원인에 따라 노인이 되기전, 젊어서 장애가 발생하여 장애인으로 노령에 이른 노령화된 장애인(aging with disability)과 노인이 되어서 장애가 발생한 노인성 장애인(disability with ag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7]. 각각의 상황은현 시점에서 장애라는 상태는 동일하지만, 발생과정이 달라서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되는데, 의료적 문제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비에 대한 본인부담률과 가계부담이 OECD 평균보다 높아 가계의 의료비 지출로 인한 부담이 높아지는 추세에서[8] 정부 정책은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을 통합하여 관리하려는 시도가 우세하며, 노인성 장애인과 노령화된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여 정책의 통합은 그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9].
장애노인은 어떤 계층인가? 장애노인은 장애로 인한 어려움과 노인으로서의 어려움이 복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취약한 계층임 에도 불구하고, 장애노인의 문제가 노인복지나 장애인복지 어느 분야에서도 관심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4], 정책적 요구는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장애관련 복지서비스에 있어서 사회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필요와 욕구는 인구 사회경제학적 특성과 장애유형별로 다양하게 증가 하고 있어서[5], 과거의 획일적인 정책이나 복지서 비스로는 이러한 복합적인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6].
본인 부담금 지원 정책과 고가의 보장구, 간호․간병비 등의 특수서비스 비용 감소를 위한 보험급여 확대 및 복지사업 확대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장애노인은 장애발생 원인에 따라 노인이 되기전, 젊어서 장애가 발생하여 장애인으로 노령에 이른 노령화된 장애인(aging with disability)과 노인이 되어서 장애가 발생한 노인성 장애인(disability with ag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7]. 각각의 상황은현 시점에서 장애라는 상태는 동일하지만, 발생과정이 달라서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되는데, 의료적 문제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비에 대한 본인부담률과 가계부담이 OECD 평균보다 높아 가계의 의료비 지출로 인한 부담이 높아지는 추세에서[8] 정부 정책은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을 통합하여 관리하려는 시도가 우세하며, 노인성 장애인과 노령화된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여 정책의 통합은 그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9]. 또한, 노인들은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 환을 보유하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여전히 많은 장애노인들이 의료이용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10]. 특히, 장애노인은 비장애노인에 비해 장애로 인한 추가적인 의료비용이 요구되지만[11] 의료접근성 문제를 비롯한 의사소통의 장벽 때문에 적절한 예방적 의료서비스와 외래진료이용을 받지 못하며 [12], 합리적 의료에 대한 판단과 정보 취득이 비장애노인에 비해 더욱 취약한 상태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M. Koo, J.E. Seok(2012),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Incidence and the Transition of Older Adult Disability: Findings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2(4);993-1011. 

  2.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4&CONT_SEQ302205&page1 

  3. http://hawelsis.kihasa.re.kr/micro/survey_list.jsp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1),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Social Welfare: Survey on the Disabled. 

  4. S.H. Kim, S.J. Ko(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Disability Typ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4(3);171-195. 

  5. S.B. Shin, W.H. Na, J.H. Jung(2007), A Research on Demands for Welfar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Old with Auditory Handicap,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Vol.46(4);271-288. 

  6. R.K. Kim(2014),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with Disabilit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Vol.53(1);23-42. 

  7. Y.M. Lee(2013), The Study on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Disabled Elderly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62;35-58. 

  8. L.S. Kwon, B.K. An(2012),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f Medical Costs for In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4);143-152. 

  9. M. Putnam(2007), Aging and Disability: Crossing Network Lines, Springer Pub, pp.5-18. 

  10. B.Y. Jeon, S.M. Kwon, H.J. Lee, H.S. Kim(2011),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1);171-188. 

  11. S.Y. Yoon, T.W. Kim(2009), The Impact of Disability Costs on the Poverty Rate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Memb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3(1);61-83. 

  12. S.J. Yu, I.S. Gang(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Hospital Visi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siting to Emergency Medical Cent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1);27-39. 

  13. S.M. Shin, E.S. Kim, H.W. Lee(2009), Self-perception of the Amount of Medical Aid Use of Outpatient Overusers in Korea,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19(2);21-35. 

  14. J.Y. Lee, B.K. Kim, S.J. Eun, Y. Kim, Y.I. Kim(2009), Healthcare Expenditures of Disabled Households in Seoul Korea,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3(3);199-223. 

  15. M.A. McColl, A. Jarzynowska, S.E.D. Shortt(2010), Unmet Health car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pulation level evidence, Disability and Society, Vol.25(2);205-218. 

  16. S.R. Doh(2009), Medical Utilizations of the Aged: Issues and Policy Task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157;66-79. 

  17. R.K. Kim(2014),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with Disability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Vol.53(1);23-42. 

  18. H.S. Jeon, S.K. Kahng(2012), Age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of Medical Service Use between Young-Old and Old-Old: Implications for Medical Service in Aging Socie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1);28-57. 

  19. H.S. Lee(2004), A Study on Factors Causing Health Conditions and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to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4(2);163-179. 

  20. S.O. Kim, S. Park, J.H. Lee(2014), Evaluation of Medication Duplication Management Program for Medicaid patients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20(1);1-19. 

  21. R.M. Andersen, J.F. Newman(2005),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Milbank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Vol.83(4);Online-only. 

  22. S.K. Kahng(2010), The Trajectory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and Its Predictors: Focusing on Age Variation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2(3);83-108. 

  23. S.H. Roh(2012),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mong Disabled Elderly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4(3);5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