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수저류지 설계를 위한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 해석
Analysis of Intensity-Duration-Quantity (IDQ) Curve for Designing Flood Retention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1, 2014년, pp.83 - 93  

김진겸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강부식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윤병만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증가하는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건설되는 홍수저류지 형태의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과 절차의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류의 홍수위 증가량에 대비할 수 있는 저류지용량결정, 저류지용량이 주어져 있을 경우의 본류의 홍수위 저감효과산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의 분석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존 설계홍수량 산정절차에 근거한 IDQ (Intensity-Duration-Quantity) 분석을 이용하여 임의지속시간에서의 설계홍수수문곡선 산정기법을 제시하였고 그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IDQ 분석을 통해 산정한 강우량을 기반으로 등가첨두 수문곡선을 산정할 수 있으며, 기존 수문곡선과 동일한 지속시간 하에서 하천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는 저빈도 수문곡선과, 기존 수문곡선과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지니지만 강우지속기간의 증가로 인해 유출체적이 증가하는 수문곡선, 기존 수문곡선에 비해 하천의 수위 및 수문곡선의 부피 모두 증가하는 수문곡선 등 다양한 형태의 수문곡선에 대한 시나리오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suggesting design criteria and procedure for maximizing flood control capacity by building flood control facilities like flood retention basin built in connection with existing facilities in order to cope with increased uncertainty due to factors such as urbaniz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설계기준을 설정한다해도 기존의 설계기준에 따라 이미 건설된 치수구조물은 새로운 설계기준에 맞춰 치수능력을 증가시키기가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다해도 막대한 자원과 예산이 소요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기존에 건설된 치수구조물은 그 자체의 치수능력을 유지한 채, 새로이 건설되는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조화롭게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의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기존의 설계홍수량 산정이 설계홍수위를 결정하는 부분에 지나치게 집중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제방과 저류지가 복합적으로 운영되는 조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기존에 건설된 치수구조물은 그 자체의 치수능력을 유지한 채, 새로이 건설되는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조화롭게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의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기존의 설계홍수량 산정이 설계홍수위를 결정하는 부분에 지나치게 집중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제방과 저류지가 복합적으로 운영되는 조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산정절차를 통해 해당 유역의 설계빈도에 상당하는 첨두홍수량을 산정한 뒤 IDQ 해석을 통해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갖는 임의지속시간에서의 홍수수문곡선을 유도하는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IDQ 해석은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강우사상, 즉 등첨두홍수수문곡선을 이용하여 강변저류시설 혹은 홍수저류시설 등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설계홍수량의 증감을 초래할 수 있는 여러 다양한 불확실성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적하며, 최근 기후변화 및 여러 불확실성요들로 인하여 증가된 홍수량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하여 IDF 곡선을 응용한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Intensity-Duration-Quantity) 곡선(이하 ‘IDQ 곡선’)을 제시하고 이의 해석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만일 하천의 본류에서 발생하는 설계홍수수문곡선의 홍수량을 분담하기 위한 홍수저류시설을 계획하는 경우 동일한 설계홍수위라도 다양한 설계강우가 발생시키는 다양한 홍수수문곡선에서 홍수저류지의 규모와 효과가 달라지게 되고, 임계강우사상만이 아닌 다양한 강우사상에 대한 홍수량해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산정절차를 통해 해당 유역의 설계빈도에 상당하는 첨두홍수량을 산정한 뒤 IDQ 해석을 통해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갖는 임의지속시간에서의 홍수수문곡선을 유도하는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IDQ 해석은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강우사상, 즉 등첨두홍수수문곡선을 이용하여 강변저류시설 혹은 홍수저류시설 등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홍수저류지의 설치를 통하여 치수능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새로이 건설되는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의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류의 홍수위 증가량에 대비할 수 있는 저류지용량결정, 저류지용량이 주어져 있을 경우의 본류의 홍수위 저감효과산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홍수저류지의 설치를 통하여 치수능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새로이 건설되는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의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류의 홍수위 증가량에 대비할 수 있는 저류지용량결정, 저류지용량이 주어져 있을 경우의 본류의 홍수위 저감효과산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기존 설계홍수량 산정절차에 근거한 IDQ 해석을 추가하여 임의지속시간에서의 설계홍수수문곡선 산정기법을 제시하였고 그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기준의 측면에서 홍수량 증가에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증가가 예상될 때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설계기준의 측면에서 보면 설계빈도를 상향시키는 방법, 설계수문량을 일정량 혹은 일정비율로 상향시키는 방법이 있고, 치수대안별로 보면 제방을 증고하여 첨두홍수위의 증가에 대비하는 방안, 저류지나 댐을 설치하여 홍수량을 저류시키는 방안 등이 대표적이지만, 모든 경우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규모가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설계기준을 설정한다해도 기존의 설계기준에 따라 이미 건설된 치수구조물은 새로운 설계기준에 맞춰 치수능력을 증가시키기가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다해도 막대한 자원과 예산이 소요되기 마련이다.
치수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최근에 기후변화에 따라 수문사상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극치홍수량의 빈도와 규모 역시 증가함에 따라 치수계획에 있어서도 증가된 홍수량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제방위주의 1차원적인 치수패러다임이 유역에서 홍수량을 제어하는 2차원적 치수패러다임으로 확장됨에 따라 설계기준도 이를 적절히 반영할 수있는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설계기준에 반영하기 위해서 구조물별 설계빈도 기준을 일부 상향 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왔으나 이와 같은 방법만으 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MLIT, 2012).
치수계획의 패러다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가? 최근에 기후변화에 따라 수문사상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극치홍수량의 빈도와 규모 역시 증가함에 따라 치수계획에 있어서도 증가된 홍수량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제방위주의 1차원적인 치수패러다임이 유역에서 홍수량을 제어하는 2차원적 치수패러다임으로 확장됨에 따라 설계기준도 이를 적절히 반영할 수있는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설계기준에 반영하기 위해서 구조물별 설계빈도 기준을 일부 상향 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왔으나 이와 같은 방법만으 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MLIT,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jami, N.K., Duan, Q., and Sorooshian, S. (2006). "An integrated hydrologic Bayesian multimodel combination framework: Confronting input, parameter, and model structural uncertainty in hydrologic prediction." Water Resource Research, Vol. 43(W01403), pp. 1-19. 

  2. Chen, C.L. (1983)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formula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09, pp. 1603-1621. 

  3. Clark, C.O. (1945).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Transaction of ASCE, Vol. 110, pp. 1419-1446. 

  4. Huff, F.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 Water Resource Research, Vol. 3, No. 4, pp. 1007-1019. 

  5. Kavetski, D., Kuczera, G., and Franks, S. (2006). "Bayesian analysis of input uncertainty in hydrological modeling: 1. Theor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No. 3, W03407. 

  6. Kim, J.W., Nam, W.S., Shin, J.Y., and Heo, J.H. (2008).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South Korean rainfall data using FORGEX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1, No. 4 pp. 405-412(in Korean). 

  7. Kim, S.U., Lee, K.S., and Park, Y.J. (2010). "Analysis of uncertainty of rainfall frequency analysis including extreme rainfall ev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3, No. 4, pp. 337-351(in Korean). 

  8. Koutsoyiannis, D., Kozonis, D., and Manetas, A. (1998). "A mathmatical framework for studying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s." Journal of Hydrology, Vol. 206, No. 1-2, pp. 118-135. 

  9. Kwon, H.H., Kim, J.G., Lee, J.S., and Na, B.K. (2012). "Uncertainty assessment of single event rainfallrunoff model using bayesia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5, pp. 505-516 (in Korean) 

  10. Lee, H.S., Jeon, M.W., Balin, D., and Rode, M. (2009). "Application of rainfall runoff model with rainfall uncertaint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10, pp. 773-783(in Korean). 

  11. Ludwig, R., May, I., Turcotte, R., Vescovi, L., Braun, M., Cyr, J.-F., Fortin, L.-G., Chaumont, D., Biner, S., Chartier, I., Caya, D., and Mauser, W. (2009). "The role of hydrological model complexity and uncertainty in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dvances in Geosciences, Vol. 21, No. 21, pp. 63-71. 

  12. Madsen, H., Mikkelsen, P.S., Rosbjerg, D., and Harremoes, P. (2002). "Regional estimation of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generalized least squares regression of partial duration series stat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8, No. 11, pp. 21-1-21-11. 

  13. Mansell, M.G. (1997).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rainfall trend and flooding risk in the west of Scotland." Nordic Hydrology, Vol. 28, No. 1, pp. 37-50. 

  14. MLIT. (1999). Wonju river maintenance basic pl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78-81(in Korean). 

  15. MLIT. (2011). Study on Improvement and Supplement of Probability Rainfall in South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8.8-8.11(in Korean). 

  16. MLIT. (2012). Guideline of Design Flood Estim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1-3(in Korean). 

  17. Seo, Y.M., and Park, K.B. (2011a). "Uncertainty analysis for parameters of probability distribution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by bayesian MCMC and metropolis Hastings Algorithm."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ENSS, Vol. 20, No. 3, pp. 329-340 (in Korean). 

  18. Seo, Y.M., and Park, K.B. (2011b). "Uncertainty analysis for parameter estima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using bootstrap."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ENSS, Vol. 20, No. 3, pp. 321-327(in Korean). 

  19. Shin, H.J., Nam, W.S., Jung, Y.H., and Heo, J.H. (2008). "Uncertainty assessment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ized logistic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8, No. 6b, pp. 723-729(in Korean). 

  20. Sivapalan, M., and Bloschl, G. (1998). "Transformation of point rainfall to areal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Journal of Hydrology, Vol. 204, pp. 150-167. 

  21. USDA-SCS. (1985).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Hydrology. Washington D.C., U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