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한 강우-유출 빈도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infall-Runoff Frequency Analysis for Estimating Design Floo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8, 2015년, pp.605 - 612  

최종인 ((주)이산 수력부) ,  지정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수 구조물의 규모를 결정하는 가장 기초가 되는 분석과정인 설계홍수량 산정 방법 중 실측 홍수량을 바탕으로 산정하는 홍수량 빈도해석방법과 설계강우법, 강우-유출해석 후 연최대 첨두홍수량 빈도해석방법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인 설계강우법과 강우량을 이용하여 유출을 모의하고 최대유출량을 빈도해석하는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유역은 상대적으로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의 기록이 오래된 7개 유역(남강댐 유역, 소양강댐 유역, 안동댐 유역, 임하댐 유역, 섬진강댐 유역, 충주댐 유역, 합천댐 유역)을 선정하였다. 실측 유출량 빈도해석 자료를 참값으로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 섬진강댐 유역, 합천댐유역, 임하댐유역, 안동댐 유역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우-유출해석 후 연최대 첨두홍수량 빈도해석방법이 상대적으로 홍수량 빈도해석 값에 가까운 결과를 나타내었고, 남강댐유역, 소양강댐유역, 충주댐유역에서는 기존의 설계강우법이 실측 유출량 빈도해석 값에 더 가까운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설계강우법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유역면적이 작은 지역에서는 금회 연구에서 제안하는 강우-유출해석 후 연최대 첨두홍수량 빈도해석방법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esign flood estimation methods which ar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size of a flood control structure. The result from a flood frequency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as the best way for estimating design flood was assumed as a true value,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설계 홍수량 산정 시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설계강우법과 강우-유출해석 후 연최대 첨두홍수량 빈도해석방법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두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빈도해석 방법인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을 참값으로 가정하였다.
  • 그러나 우리나라는 관측유량이 부족하여 실무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각 유역별 연최대치 홍수량 자료를 비교적 많이 보유한 지점에 대해 연최대치계열의 홍수량자료를 사용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사용하고, 최적확률분포형으로 Gumbel 분포를 사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과 설계강우-설계홍수 관계분석 방법 및 충분한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유출을 모의하고 최대유출량 자료 계열을 직접 빈도해석하여 확률홍수량 및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좀 더 정확하고 객관적이며 실무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설계 홍수량 산정 시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설계강우법과 강우-유출해석 후 연최대 첨두홍수량 빈도해석방법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두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빈도해석 방법인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을 참값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흐름도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계강우법은 어떤 방법이며, 장점은 무엇인가? 설계강우법은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확률강우량을 유출 모형을 통해 모의하여 확률홍수량 및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풍부한 강우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은 설계강우와 설계홍수량이 선형관계를 가진다는 가정을 전제로 사용되어 왔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이란?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은 홍수량자료의 연최대치 계열을 직접 빈도해석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 가장 직접적이고 최상의 방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관측유량이 부족하여 실무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우리나라에서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홍수량 빈도해석 방법은 홍수량자료의 연최대치 계열을 직접 빈도해석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 가장 직접적이고 최상의 방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관측유량이 부족하여 실무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각 유역별 연최대치 홍수량 자료를 비교적 많이 보유한 지점에 대해 연최대치계열의 홍수량자료를 사용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uff, F.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 4, pp.1007-1019. 

  2. Lee, J.H., Lee, J.K., Kim, T.W., and Kang, J.Y. (2011).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ion Method for Design Flood Discharge of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11,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941-954. 

  3. McKerchar, A.I., and Macky, G.H. (2001). "Comparison of a regional method for estimating design floods with two rainfall-based methods." Journal of Hydrology (NZ) 2001, NewZealand Hydrological Society, Vol. 40, No. 2, pp. 129-138. 

  4. Ministry of Land (2011). Improvement and Supplement research of Probability Rainfall in South Korea. 

  5. Ministry of Land (2012). Design flood estimation tips. 

  6. Park, K.B., Kim, G.S., Han, J.H., and Bae, S.S. (2006). "Design Flood Estimation by Basin Characterisitics."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2006,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1172-1175. 

  7. Shin, H.J., Sung, K.M., and Heo, J.H. (2010). "Derivation of Modified Anderson-Darling Test Statistics and Power Test for the Gumbel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10,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813-822. 

  8. Yoon, S.W., Oh, T.S., Moon, Y.G., and Kye, D.Y. (2009). "A Study on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Probability Flood Discharge."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2009,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pp. 1017-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