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대음량을 이용한 음량제어 체계의 개념
Concepts of Sound Control System Using Absolute Sound Level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3 no.1, 2014년, pp.60 - 67  

견두헌 (숭실대학교 전자공학과) ,  배명진 (숭실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음원의 마스터링부터 출력단계까지의 비합리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절대음량 체계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절대음량 체계는 모든 음원의 입력절대음량을 60 dB(S) 기준으로 평준화한 후, 차등음량태그를 이용하여 제작자가 의도한 음량 밸런스를 구현한다. 그 후 출력절대음량을 입력절대음량과 매칭하여 청자가 의도한 목표 음량을 구현하게 된다. 이 체계가 도입되면 음원 제작자는 불필요한 음량경쟁 없이 음원 자체의 완성도에 집중할 수 있으며, 차등감소 태그입력만으로 자신이 의도한 음량밸런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청자는 청취 환경과 음향시스템에 관계없이 자신이 청취하고 싶은 절대음량 기준에 맞춰서 모든 음원을 시행착오과정 없이 감상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concept of the absolute sound level system in order to basically solve all the irrational aspects from the mastering stage to the output stage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 sound source. Through this absolute sound level system, all the input absol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사람이 최종적으로 인지한 음량을 표현 하기 위한 디지털 음원의 음량 단위와 그것을 기준으로 모든 음량을 제어하는 체계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가설 설정

  • 만약 절대음량 태그에 dB(S)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절대음량 산출 연산을 거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위의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입력절대음량 연산 및 적용에는 알고리즘의 버전과 음원의 길이, 프로세서의 처리속도에 따라서 최대 10초 이하의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절대음량을 60 dB(S)로 가정하여 임시로 선행 출력한다. 입력절대 음량을 60 dB(S)로 가정하는 이유는, 디지털 음원의 dBFS영역에서 표현할 수 있는 사실상 최고 음량에 해당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과도한 음압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량 평준화 방법 중 원본 변형 방식의 문제점은? 원본 변형 방식은 2000년대 초반의 MP3 Gain 등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었으며, 그외에 MP3Normalizer나 SuperMP3Normalizer 등의 프로그램들이 해당된다. 하지만 원본 변형 방식은 음원의 진폭을 직접 변화시키기 때문에 원본자체가 손상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증폭과정에서 피크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진폭을 감소시킬 경우, 음원 자체의 다이내믹레인지가 좁아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음량 평준화 방법 중 RG는 어떠한 방식인가? 마지막으로 RG(Replay Gain)는 2001년에 제안된 음량 표준화 방식으로 음원에 저장된 태그를 기반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현재 Winamp나 Foobar 등의 일부 음악재생기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아이튠즈에도 RG와 유사한 개념을 사용하는 사운드 조절 옵션이 존재한다.
디지털 콘텐츠의 음량 조절에서 어떠한 문제들이 나타나는가? 현대의 발달된 IT환경과는 달리, 디지털 콘텐츠의 음량 조절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청자는 음원 재생 전에 실제로 출력될 음량을 알 수 없으므로 선행 출력시킨 후, 시행착오 과정을 거치면서 원하는 수준으로 음량을 수동 조절해야 한다. 또한 재생되는 음원마다 음량이 다르기 때문에 수시로 음량 설정값을 변경해야 한다. 이러한 음량제어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음량평준화 방법들이 제시된바 있으나 제작단계에서 발생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므로 성능 및 활용성에서 매우 제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 H. Kyon and M. J. Bae, "Factor analysis about sentimental volume difference on digital contents"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1(S) 31, 197-200 (2012). 

  2. Y. H. Oh, S. H. Kim, and S. Yarygin, "Automatic volume control algorithm robust to channel switching"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2 (S) 23, 245-248 (2004). 

  3. K. A. McMillen, "A consumer adjustable dynamic range control system," AES Convention 113, 5655 (2002). 

  4. E. M. Grimm, R. V. Everdingen, and M. J. L. C. Schoppin, "Toward a recommendation for a european standard of peak and LKFS loudness levels," SMPTE motion imaging journal 119, 28-34 (2010). 

  5. ITU-R BS.1770-2, Algorithms to Measure Audio Programme Loudness and True-Peak Audio Level, 2011. 

  6. B. C. J. Moore, Psychology of Hearing 5th Edition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West Yorkshire, 2004), pp. 180. 

  7. K. Yoshiro, All about Mastering (SRMUSIC, Japan, 2010), pp. 70-71. 

  8. Organization of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http://www.staff.or.kr/, 2013. 

  9. D. H. Kyon and M. J. Bae, "Evaluating the absolute volume of digital sound source measurement and standard measuring unit," J. Acoust. Soc. Am. 133, 3367 (2013). 

  10. D. H. Kyon and M. J. Bae, "Volume trend analysis of digital sound source via the 'absolute level' index," POMA 19, (2013). 

  11. S. R. Silverman, "Tolerance for pure tones and speech in normal and defective hearing," Annals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56, 658-677 (1647). 

  12. D. H. Kyon, M. S. Kim, and M. J. Ba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bsolute sound level," JDCTA 7, 96-102 (2013). 

  13. S. H. Gang, Fundamentals of Sound Engineering (Sound-Madia, Korea, 2010), pp. 21. 

  14. U. C. Bak, Fundamentals of Sound Engineering (Cha-Song, Korea, 2009), pp. 30. 

  15. SRMUSIC Editorial Department, Audio-visual Equipment Manual (SRMUSIC, Korea, 2009), pp. 8. 

  16. ANSI/ASA S1.42-2001, Design Response of Weighting Networks for Acoustical Measurement, 2011. 

  17. D. H. Kyon, M. S. Kim, and M. J. Ba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mastering of sound volume in TV news and commercials," IJMUE 8, 399-40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