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하천 복원 및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Eco-river Restoration and River Manage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1, 2014년, pp.155 - 165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 화학, 생물학적의 복합적인 평가요소를 이용하여 수생태 관련 기후변화 취약구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SWAT 모형을 이용하여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각 소유역별로 유출량, 유사량, 갈수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또한 환경부의 수질 측정망과 수생태 건강성 측정 지점이 서로 일치하는 48개 지점을 대상으로, BOD 및 TP 등의 수질 데이터와 IBI, KSI의 수생물 데이터를 평가에 반영하였다. 한편, 미래 기온 상승에 따른 낙동강 유역 하천에서의 수온 상승 폭을 예측하였고, 이로 인한 수생물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각 평가요소를 종합하여 가장 취약한 상위 10개 지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 생태복원을 위한 취약구간 평가 및 종합적인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각 하천 특성에 맞는 하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using a complex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valuation factors, the ecological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were evaluated at each river in the Nakdong river basin. First, runoff, sediment rate, and low flow discharge changes according to AIB climate change scenario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 소유역 및 평가지점별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소 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 또한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 상승에 따른 낙동강 수온 변화와 이에 의한 수생물 서식처 영향 역시 평가에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에 취약한 지점을 선정하였고, 이들 지점에 있어서 향후 하천 복원 및 관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대부분이 획일화되어 진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개별 하천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계획, 실행, 평가 및 사후관리를 통해 복원목표에 부합되도록 사업이 추진되어야 하지만, 계획단계에서부터 사업대상 선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량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8), 하천복원 우선순위 선정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초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하천특성에 맞는 명확한 복원목표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대부분은 획일화된 사업이 진행 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하천 정책의 목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가? 근래 우리나라 하천 정책의 목표는 물리·화학적 지표를 관리하는 체계에서 물환경의 전반적인 영역인 수생태계를 보존하고 복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국내의 하천복원사업은 1987년도부터 오염하천정화사업을 시작으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국내의 하천복원사업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 후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양재천 및 태화강 생태하천 복원사업 등이 성과를 거두면서 전국적으로 다양한 생태하천 복원/조성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개별 하천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계획, 실행, 평가 및 사후관리를 통해 복원목표에 부합되도록 사업이 추진되어야 하지만, 계획단계에서부터 사업대상 선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량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8), 하천복원 우선순위 선정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초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하천특성에 맞는 명확한 복원목표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대부분은 획일화된 사업이 진행 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C. H., Joo, J. C., Kwon, J. H. and Song, H. M. (2011). "Evaluation on functional assessment for fish habitat of underground type eco-artificial fish reef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J. of Korea Society Civil Engrg, KSCE, Vol. 31, No. 6B. pp. 565-575 (in Korean). 

  2. ASCE (1993). "ASCE Task committee on definition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Irrigation Drainage Engineering, Vol. 119, No. 3, pp. 429-442. 

  3. Cho, Y. H. (1997).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of naturali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mid-small stream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4. Donigian, Jr., A. 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Washington, DC. 

  5. Eaton, J. G., McCormick, J. H., Goodno, B. E., O'Brien, D. G., Stefany, H. G., Hondzo, M. and Scheller, R. M. (1995). "A field information based system for estimating fish temperature tolerances." Fisheries, Vol. 20, No. 4, pp. 10-18. 

  6.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8). Strategy of stream restoration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an assessment of stream naturality and ecological health (in Korean). 

  7.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 (2010). Effects of climate change of aquatic ecosystem and control measures (in Korean). 

  8. Han, D. H. (2011).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of streams and reservoirs in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9. Jang, J. H. and Ahn, J. H. (2012).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response to precipitation extremes in Nakdong river basin."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1, pp. 1081-1091 (in Korean). 

  10. Jung, N. I., Park, B. K. and Kim, K. H. (2011). "Potential effect of increased water temperature on fish habitats in Han river watershed." J. of Korea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7, No. 3, pp. 314-321 (in Korean). 

  11. Kang H., Jang J. H., Ahn, J. H. and Kim, I. J. (2011). "Numerical estimations of nakdong river flows through linking of watershed and river flow models."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7, pp. 577-590 (in Korean). 

  12. Kang, H., Park, M. Y. and Jang J. H. (2013).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ish habitat in nakdong river watershed."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1, pp. 1-12 (in Korean). 

  13. Kim, S. K. (2006).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close-tonature stream improvement works. Ph.D. Thesis, Honam University (in Korean). 

  14.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1).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I. Green Growth Report (in Korean). 

  15.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1).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II. Green Growth Report (in Korean). 

  16. Lee, J. H., Kang, T. H., Sung, Y. D. and Yoon, S. Y. (2003). "Applicability of a stream evaluation method for stream restoration." Applicability of A Stream Evaluation Method for Stream Restoration, Vol. 3, No. 4, pp. 131-143 (in Korean).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Hydroecological Health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 Nakdong river watershed (in Korean).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technique guide (in Korean). 

  1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2012). Water resources long term comprehensive plan (2011-2020). pp. 129-153 (in Korean). 

  20.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2). Climate change scenario report to cope with IPCC 5 report. pp. 79-111 (in Korean). 

  21. USDA (2009).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version 2. 190-VI -NBH, National Biology Handbook. Part 614. pp. 1-41. 

  22. Van Lynden, G. W. J. and Lane, M. (2004). "Soil and water protection using conservation tillage in northen and central europe." ISCO 2004 - 13th International Soil Conservation Organization Conference. Paper No. 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