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도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중증도 무지외반증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with Moderate Intermetatarsal Angle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18 no.4, 2014년, pp.173 - 177  

박철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우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정래 (MS재건병원 정형외과) ,  임승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hallux valgus with severe hallux valgus angle (HVA) and moderate intermetatarsal angle (IMA) after proximal chevron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0, 41 patients (48 feet) were treated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중증의 무지외반증 중 중등도의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경우에서 중증의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경우보다 재발이 많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증의 무지외반각을 가지는 환자에서 중족골간 각의 변형 정도에 따른 수술 전,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수술 후 임상적 결과, 그리고 재발의 정도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증의 무지외반각을 가지는 환자에서 중족골간 각의 변형 정도에 따른 수술 전,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수술 후 임상적 결과, 그리고 재발의 정도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중증 무지외반증에서 중등도의 중족골간 각을 가진 경우가 중증의 중족골간 각을 가진 경우보다 무지외반각과 종자골의 위치에 대한 교정이 부족하였고, 재발률이 더 높았다.

가설 설정

  • 4) 특히 저자들은 이러한 변형이 중증의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경우보다 교정이 더 어렵고 교정의 소실이 더 흔한 것을 경험하였다. 저자들은 중증의 무지외반증 중 중등도의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경우에서 중증의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경우보다 재발이 많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증의 무지외반각을 가지는 환자에서 중족골간 각의 변형 정도에 따른 수술 전,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수술 후 임상적 결과, 그리고 재발의 정도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지외반증에 대한 수술 방법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1) 일반적으로 관절면의 상합성 유무, 관절염의 정도, 그리고 변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방법이 결정된다. 이 중 변형의 정도는 수술 방법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무지외반증의 변형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무지외반각과 중족골간 각을 기준으로 경도, 중등도, 중증의 변형으로 나뉜다.2)
무지외반증의 변형의 정도를 결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1) 일반적으로 관절면의 상합성 유무, 관절염의 정도, 그리고 변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방법이 결정된다. 이 중 변형의 정도는 수술 방법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무지외반증의 변형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무지외반각과 중족골간 각을 기준으로 경도, 중등도, 중증의 변형으로 나뉜다.2)
무지외반증의 변형의 정도에 따라 어떠한 수술을 시행하는가? 경도 및 중등도의 변형에서는 원위 중족골 절골술을 시행하고 중증의 변형에서는 근위 중족골 절골술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 하지만 중증의 무지외반 변형을 가지는 환자들 중 중등도의 중족골간 각을 가지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이러한 변형을 중등 도와 중증의 변형 중 어느 것으로 분류할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asley ME, Trnka HJ. Current concepts review: hallux valgus part II: operative treatment. Foot Ankle Int. 2007;28:748-58. 

  2. Easley ME, Trnka HJ. Current concepts review: hallux valgus part 1: pathomechanics, clinical assessment, and nonoperative management. Foot Ankle Int. 2007;28:654-9. 

  3. Park CH, Jang JH, Lee SH, Lee WC. A comparison of proximal and distal chevron osteotomy for the correction of moderate hallux valgus deformity. Bone Joint J. 2013;95:649-56. 

  4. Tanaka Y, Takakura Y, Kumai T, Sugimoto K, Taniguchi A, Hattori K. Proximal spherical metatarsal osteotomy for the foot with severe hallux valgus. Foot Ankle Int. 2008;29:1025-30. 

  5. Hardy RH, Clapham JC. Observations on hallux valgus; based on a controlled series. J Bone Joint Surg Br. 1951;33:376-91. 

  6. Dawoodi AI, Perera A. Reliability of metatarsus adductus angle and correlation with hallux valgus. Foot Ankle Surg. 2012;18:180-6. 

  7. Kitaoka HB, Alexander IJ, Adelaar RS, Nunley JA, Myerson MS, Sanders M. Clinical rating systems for the ankle-hindfoot, midfoot, hallux, and lesser toes. Foot Ankle Int. 1994;15:349-53. 

  8. Markbreiter LA, Thompson FM.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in hallux valgus correction: a comparison of crescentic and chevron procedures. Foot Ankle Int. 1997;18:71-6. 

  9. Okuda R, Kinoshita M, Yasuda T, Jotoku T, Shima H.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for hallux valgus: comparison of outcome for moderate and severe deformities. Foot Ankle Int. 2008;29:664-70. 

  10. Schneider W, Knahr K. Metatarsophalangeal and intermetatarsal angle: different values and interpretation of postoperative results dependent on the technique of measurement. Foot Ankle Int. 1998;19:532-6. 

  11. Zettl R, Trnka HJ, Easley M, Salzer M, Ritschl P. Moderate to se vere hallux valgus deformity: correction with proximal crescentic osteotomy and distal soft-tissue release. Arch Orthop Trauma Surg. 2000;120:397-402. 

  12. Coughlin MJ. Hallux valgus. J Bone Joint Surg Am. 1996;78:932-66. 

  13. Robinson AH, Limbers JP. Modern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hallux valgus. J Bone Joint Surg Br. 2005;87:1038-45. 

  14. Thordarson D, Ebramzadeh E, Moorthy M, Lee J, Rudicel S. Correlation of hallux valgus surgical outcome with AOFAS forefoot score and radiological parameters. Foot Ankle Int. 2005;26:122-7. 

  15. Thordarson DB, Ebramzadeh E, Rudicel SA, Baxter A. Age-adjusted baseline data for women with hallux valgus undergoing corrective surgery. J Bone Joint Surg Am. 2005;87:66-75. 

  16. Bonnel F, Canovas F, Poiree G, Dusserre F, Vergnes C. Evaluation of the Scarf osteotomy in hallux valgus related to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a prospective study of 79 operated cases. Rev Chir Orthop Reparatrice Appar Mot. 1999;85:381-6. 

  17. Pontious J, Mahan KT, Carter S.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hallux abducto valgus. A retrospective review. J Am Podiatr Med Assoc. 1994;84:208-18. 

  18. Larholt J, Kilmartin TE. Rotational scarf and akin osteotomy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associated with metatarsus adductus. Foot Ankle Int. 2010;31:220-8. 

  19. Kilmartin TE, O'Kane C. Correction of valgus second toe by closing wedge osteotomy of the proximal phalanx. Foot Ankle Int. 2007;28:1260-4. 

  20. Okuda R, Kinoshita M, Yasuda T, Jotoku T, Kitano N, Shima H. Postoperative incomplete reduction of the sesamoids as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hallux valgus. J Bone Joint Surg Am. 2009;91:1637-45. 

  21. Veri JP, Pirani SP, Claridge R. Crescentic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for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a mean 12.2 year follow-up study. Foot Ankle Int. 2001;22:8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