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발목관절의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문헌적 고찰
Review of Literatures for Development of Clinical Trial Guideline for Total Ankle Arthroplasty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18 no.4, 2014년, pp.195 - 201  

박진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모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진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이수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한승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clinical trial of the total ankle replacement system for premarket approval.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and analyzed nine peer-reviewed articles whose quality had been proven in a previous phase. Two investigators extracted 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다양한 인공발목관절의 재료와 디자인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임상적 결과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고 있으며, 실제 환자에 임상적으로 인공발목관절을 적용하기에 앞서 새로이 개발된 인공발목관절의 임상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임상시험 계획과 가이드라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된 인공발목관절의 안정성, 유효성 검증을 위한 체계적인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을 이전의 임상시험과 문헌 고찰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 인공발목관절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의 포함기준 및 제외기준을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인공발목관절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환자군 선택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였다. 본 분석 항목에서는 인공발목관절의 임상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자군들의 특징과 개체들을 분석하였다.
  • 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품목 분류상 인공발목관절 해당 품목 정의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국내 인공발목관절 허가 및 사용 현황, 임상시험 대상 의료기기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세대 발목 인공관절이란? 폴리에틸렌 경골 인공관절과 금속으로 만든 거골 인공관절을 이용한 발목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은 1973년에 Lord와 Marotte1)이 처음 시작하였으며, 말기 발목관절염 환자의 치료로 사용되었다. 이들을 1세대 발목 인공관절이라고 하며, 고식적 치료인 발목관절 유합술과 경쟁하였으나 기대 이하의 임상결과로 인하여 그 사용이 보편화되지는 못하였다.
1세대 발목 인공관절이 보편화되지 못한 이유는? 폴리에틸렌 경골 인공관절과 금속으로 만든 거골 인공관절을 이용한 발목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은 1973년에 Lord와 Marotte1)이 처음 시작하였으며, 말기 발목관절염 환자의 치료로 사용되었다. 이들을 1세대 발목 인공관절이라고 하며, 고식적 치료인 발목관절 유합술과 경쟁하였으나 기대 이하의 임상결과로 인하여 그 사용이 보편화되지는 못하였다.2) 그 이전에는 인공고관절을 발목에 적용하여 인공관절술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모두 실패하였고, 1세대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도 27예 중 7예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는 등 그 성적은 좋지 못하였으나 발목 인공관절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2014년 10월 31일 개정)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인공발목 관절을 두 가지 품목으로 분류한다면?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2014년 10월 31일 개정)에 의하면 인공발목 관절은 두 가지 품목 분류로 허가되어 현재 시판되고 있다(Table 3). 발목관절부의 관절성형술에 사용하는 임플란트로서 인공 경골부, 인공 거골부 등이 개별 또는 한 벌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정성이 확인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처리 (porous coating, 산환막 등)된 경우는 3등급으로 분류되며,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재료(생체 재료, 흡수성 재료 등) 및 특수표면 처리한 경우는 4등급으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ord G, Marotte JH. Total ankle prosthesis. Technic and 1st results. Apropos of 12 cases. Rev Chir Orthop Reparatrice Appar Mot. 1973;59:139-51. 

  2. Gougoulias NE, Khanna A, Maffulli N. History and evolution in total ankle arthroplasty. Br Med Bull. 2009;89:111-51. 

  3. Cracchiolo A 3rd, Deorio JK. Design features of current total ankle replacements: implants and instrumentation. J Am Acad Orthop Surg. 2008;16:530-40. 

  4. Anderson T, Montgomery F, Carlsson A. Uncemented STAR total ankle prostheses. Three to eight-year follow-up of fifty-one consecutive ankles. J Bone Joint Surg Am. 2003;85:1321-9. 

  5. Bonnin M, Judet T, Colombier JA, Buscayret F, Graveleau N, Piriou P. Midterm results of the Salto Total Ankle Prosthesis. Clin Orthop Relat Res. 2004;(424):6-18. 

  6. Hurowitz EJ, Gould JS, Fleisig GS, Fowler R. Outcome analysis of agility total ankle replacement with prior adjunctive procedures: two to six year followup. Foot Ankle Int. 2007;28:308-12. 

  7. Knecht SI, Estin M, Callaghan JJ, Zimmerman MB, Alliman KJ, Alvine FG, et al. The Agility total ankle arthroplasty. Seven to sixteen-year follow-up. J Bone Joint Surg Am. 2004;86:1161-71. 

  8. Saltzman CL, Mann RA, Ahrens JE, Amendola A, Anderson RB, Berlet GC, et al.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of STAR total ankle replacement versus ankle fusion: initial results. Foot Ankle Int. 2009;30:579-96. 

  9. Schweitzer KM, Adams SB, Viens NA, Queen RM, Easley ME, Deorio JK, et al. Early prospective clinical results of a modern fixed-bearing total ankle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Am. 2013;95:1002-11. 

  10. Valderrabano V, Hintermann B, Dick W. Scandinavian total ankle replacement: a 3.7-year average followup of 65 patients. Clin Orthop Relat Res. 2004;(424):47-56. 

  11. Valderrabano V, Pagenstert G, Horisberger M, Knupp M, Hintermann B. Sports and recreation activity of ankle arthritis patients before and after total ankle replacement. Am J Sports Med. 2006;34:993-9. 

  12. Wood PL, Prem H, Sutton C. Total ankle replacement: mediumterm results in 200 Scandinavian total ankle replacements. J Bone Joint Surg Br. 2008;90:605-9. 

  13. Takakura Y, Tanaka Y, Kumai T, Tamai S. Low tibial osteotomy for osteoarthritis of the ankle. Results of a new operation in 18 patients. J Bone Joint Surg Br. 1995;77:50-4. 

  14. Kellgren JH, Lawrence JS. Radiological assessment of osteo-arthrosis. Ann Rheum Dis. 1957;16:494-502. 

  15. Kofoed H. Cylindrical cemented ankle arthroplasty: a prospective series with long-term follow-up. Foot Ankle Int. 1995;16:474-9. 

  16. Kitaoka HB, Alexander IJ, Adelaar RS, Nunley JA, Myerson MS, Sanders M. Clinical rating systems for the ankle-hindfoot, midfoot, hallux, and lesser toes. Foot Ankle Int. 1994;15:349-53. 

  17. Buechel FF, Pappas MJ, Iorio LJ. New Jersey low contact stress total ankle replacement: biomechanical rationale and review of 23 cementless cases. Foot Ankle. 1988;8:279-90. 

  18. Domsic RT, Saltzman CL. Ankle osteoarthritis scale. Foot Ankle Int. 1998;19:466-71. 

  19. Martin RL, Irrgang JJ. A survey of self-reported outcome instruments for the foot and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72-84. 

  20.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1992;30:473-83. 

  21. Hintermann B, Valderrabano V, Dereymaeker G, Dick W. The HINTEGRA ankle: rationale and short-term results of 122 consecutive ankles. Clin Orthop Relat Res. 2004;(424):57-68. 

  22. Roos EM, Brandsson S, Karlsson J. Validation of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or ankle ligament reconstruction. Foot Ankle Int. 2001;22:788-94. 

  23. Lee KM, Chung CY, Kwon SS, Sung KH, Lee SY, Won SH, et al. Transcultural adaptation and testing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Clin Rheumatol. 2013;32:144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