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락토 올리고당과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국내산 한라봉잼의 품질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ngor Jam including Fructo Oligosaccharide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6, 2014년, pp.223 - 234  

최소례 (인천재능대학교 한식명품조리과) ,  박현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진현희 (인천재능대학교 한식명품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프락토 올리고당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잼으로 저감미잼의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고,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한 한라봉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설탕비율에 20, 40, 60%로 대체하여 한라봉잼을 제조한 후, 품질 특성으로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과 당도는 이소말토 올리고당 및 프락토 올리고당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수분함량의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용성 고형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올리고당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환원당 함량은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H는 이소말토 올리고당 및 프락토 올리고당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고, 총산도는 비슷한 값을 나타내며,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색도에서 L값은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 올리고당을 첨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이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이소말토 올리고당이 6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이소말토 올리고당 40% 순으로 총페놀 함량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40%을 대체하여 제조한 잼의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첨가하여 한라봉잼을 제조시 40%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한다면 한라봉잼의 기호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a processed product for expansion of use of Tangor which is mostly eaten raw in winter. Furthermore, Tangor jam containing fructo oligosaccharide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was prepared, and thu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jam have been determ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단경기에 수확되어 거의 생식용으로 소비되는 한라봉의 이용 증대를 위해 가공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저당 식품이 선호되는 요즘의 추세에 맞추어 프락토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을 첨가한 한라봉잼을 제조하여 설탕의 과다섭취를 줄이고, 보존성을 증대시키며,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저감미 잼을 만들어 과당의 조절 농도에 따른 잼의 품질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프락토 올리고당 및 이소말토 올리고당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후, 품질특성에 관한 실험을 통하여 설탕의 과다 섭취는 줄이고, 보존성을 증대시키는 저감미 잼을 활용하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라봉이 다른 감귤류와 다른 특징은? 한라산의 봉우리와 비슷하다고 붙여진 한라봉은 1972년에 일본 농림수산성 과수시험장에서 청견과 Ponkan의 교잡종으로 육성되어 부지화로 불러졌다(Kim SH et al 2010). 다른 감귤류에 비하여 재배가 까다롭고 품질이 항상 일정하지 않으며, 품종육종을 한 일본에서도 품종등록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도가 13°Brix 이상이고, 산 함량이 1% 이하인 감귤에만 ‘테코폰(デコポン)’이라는 상품명으로 출하되며, 이외는 부지화로 판매되고 있다(Michael OM & Lee HS 2005).
일반적인 잼은 어떻게 제조되는가? 잼은 제조 특성상 당을 첨가하여 단맛과 보존 성을 증대시킨 가공품이며(Song HS 2005), 일반적인 잼은 펄프상태의 과육질에 당, 구연산, 인공감미료 등을 첨가하여 가열 농축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Lee HO 1998). 최근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아침식사 대용으로 빵과 같은 편의 식품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빵에 발라먹는 잼류의 소비도 동시에 증가하여 그 종류도 다양화되고 있다.
올리고당은 어떤 단당류가 결합한 당질인가? 그러나 최근 설탕의 과다섭취로 인한 성인병의 우려가 높아, 설탕을 기피하고 있는 추세이며, 기존의 잼에 사용되어왔던 설탕은 고농도로서 저장성을 높일 수는 있으나, 지나친 당질 섭취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Yun JW et al 1994). 그러므로 잼의 당을 난소화성인 올리고당 성분으로 대체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올리고당은 glucose, galactose, fructose와 같은 단당류가 2~8개 정도가 결합한 당질이며, 소화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당질을 일컫는다(Yun JW et al 1992). 또한, 난소화성이기 때문에 소화흡수되지 않으면서 대장에 도달되어 비피더스균에 선택적으로 이용되어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키며(Hou WN et al 1999), 발효되어 장내 균총을 개선하고, 단쇄지방산을 생성하며, 장내의 pH를 저하시키고, 대변의 성질개선 및 장내 부패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Bemiller J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OAC (2000). Approved Method of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 10th ed. Association. St. Paul MN, USA. 210-219. 

  2. Bemiller JN (2010). An introduction to pectin: Structure and properties. in chemistry and function of pectins.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31:2-12.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Korean J Food Sci Nutr 26(181):1199-1200. 

  4. Chung YA, Lee JK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32(6):948-951. 

  5.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3014. 

  6. Hou WN, Kim MH, Go EK (1999). Processing of low sugar fig jam marketabl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651-657. 

  7. Kim HS (2007). Quality Proper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 ponkan) with Heating. Jeju university. thesis. 

  8. Kim HS, Lee SH, Koh JS (2006). Physicochmeical properties of Hallabong Tangor(Citrus Kiyomi ${\time}$ ponkan) cultivated with heating. Korean J. Food Preserv 13(5):611-615. 

  9. Kim MH, Kim MH, Yun SJ, Lee BY, Lee CW, Kim BA, Jang KH, Lee JC, Surh JH (2010).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terization of apple jam with Rosa rugosa Thunb frui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367-380. 

  10. Kim YC, Koh KS, Koh JS (2001). Change of some flavonoids in peel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harvested during maturation. Korean J Soc Agric Chem Biotechno 44(2):143-146. 

  11. Kim KS, Chae YK (1997). The effects of addition of 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jam. Korean J Soc Food Sci 13 (3):348-355. 

  12. Kim MH, Chan WS, Kim MY, Kim MR (2008). Physicochemic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jam prepared with black garlic. Korean J Food Sci Nutr 37(12):1632-1639. 

  13. Kim MH, Kim SM, Kim M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garlic jam prepared with fructo oligosaccharide. Kor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916-922. 

  14. Kim MY, Chun SS (2000). The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J Food Sci Nutr 16 (6):530-537. 

  15. Kim SJ, Moon JS, Kim JM, Kang SG, Jung ST (2004). Prepe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Korean J Food Sci Nutr 33(3):598-602. 

  16. Kim SH, Chung MJ, Jang HD, Ham SS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Korean J Food Sci Nutr 39(2):193-202. 

  17. Lee GD, Jeong YJ (1999).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red pepper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Nutr 28(6):1269-1274. 

  18. Lee HO (1998). Storage life of satsuma mandarin a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seal packing films. Food Engineer Prog 2:42-48. 

  19.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gn-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ea J Food Sci Technol 35(6):1226-232. 

  20. Lee SM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am added with ginger. Korean J Culinary Res 20(2):79-88. 

  21.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3):279-286. 

  22.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clic acid reagent for d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ytical Chemistry 31:426-428. 

  23. Nonghyup, Jeju District Center (2005). Analysis of citrus distribution and marketing 53-55. 

  24. Michael OM, Lee HS (2005). The goal of sensory measurement; Avoding confusion. Food Science and Industry 38:8-14. 

  25. Oh HS, Kim JH, Lee MH (2003).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263-270. 

  26. Song HS, Park YH, Moon DG (2005).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8):1239-1245. 

  27. Song HS, Sawamura M, Ito T, Kawashimo K, Ukeda H (1999).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part of yuzu (Citrus junos Tanaka) peel cold-pressed oils from Japan and Korea. Flavour Fragr J 14:383-389. 

  28.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3):279-286. 

  29. Yun JW, Jung KH, Jeon YJ, Lee JH (1992). Continuous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by immobilized cells of Aureobasidium pullulans. J Microbiol Biotechnol 2:98-101. 

  30. Yun JW, Lee MG, Song SK (1994). Batch production of high-purity fructo-oligosaccharides by the mixed-enzyme system of ${\beta}$ -fructofuranosidase and glucose oxidase. J Ferment Bioeng 77:159-1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