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지역사회변화 인식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시소와그네'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Change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the Integrated Program for Early Children Development with Low-income Families Using Photo-voice Method: Centered on the Case of 'Seesaw and Swing'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6 no.4, 2014년, pp.233 - 255  

홍현미라 (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개입과 교육 복지 의료의 통합지원을 통해 기회균등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영유아통합지원 실천 참여자의 지역사회 실존적 경험에서 발견한 지역사회변화 인식을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 인식을 사진을 통해 공유하는 포토보이스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사업 참여 전의 지역사회는 '무장소의 발견'(주눅 들어 웅크리고 살아야 하는 의미 없는 공간, 우리동네) 이었다. 하지만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을 통해 '다시 뿌리내리기'(You are not alone)를 경험한다. 이는 본 실천을 통해 '양육품앗이' 공동체 체험을 하며 지역사회 네트워크로 편입되어가는 과정이었다. 실천경험의 결과 연구 참여자에게 지역사회는 교육 복지 의료자원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장소, 즉 '장소성의 회복'(내 안에 피어난 새로운 장소, 우리동네)을 경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 빈곤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개입의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포토보이스 연구결과에서 발견한 지역사회에 대한 반성적 고찰단계, 재정착 단계, 장소성 회복 단계 등을 제시한다. 더불어 지역사회변화 실천주체인 '양육품앗이'조직의 중요성과 사회자본 형성 노력 또한 제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ticle attempts to explore community change perceived by participants result from The Integrated Program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a program operated by the Community Chest.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through photos and discussion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영유아통합지원 실천 은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는가? 전통적으로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은 조기개입과 동시에 양육환경변화를 위한 가족개입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실천의 효과성도 아동변화(황혜정, 2014; 방경숙 외, 2008; 전연진 외, 2011; 홍순혜 외, 2013; Congressional Digest, 2014; Gray and Francis, 2006)와 함께 가족변화(허남순 외, 2012; 홍순혜 외, 2013; 전연진 외, 2013; 이수림·이자영, 2011; 전연진 외, 2011; Malin and Morrow, 2009; Edwards, 2014; Jupp, 2013)를 보고한다.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이란? 조기개입 그리고 교육․복지․의료체계의 통합지원을 통해 기회균등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부정적인 아동발달 문제를 최소화하고 빈곤의 대물림을 막고자 한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은(이봉주, 2005; 이봉주 외, 2013; 장혜림, 2012) 일회적이고 단발성의 시혜적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던 아동복지실천에 있어서 차별화된 개입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황혜정, 2014).
지역사회개입을 통한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장점은? 첫째, 기존의 방식이 개별 영유아와 가족의 욕구 기반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었다면, 지역사회개입을 통한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은 지역사회 복지자원 간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이들이 주체가 된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는 서비스 전달체계 자체의 변화를 꾀하기 때문에 변화성과를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지역사회개입의 영유아통합지원 실천의 궁극적 목표는 통합서비스 제공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의 정책과 제도의 변화도 가져오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김경오 26 3 25 

  2. 사회복지연구 김선민 44 1 5 

  3. 한국모자보건학회지 방경숙 12 1 104 

  4. 복지동향 이봉주 9 8 

  5. 청소년상담연구 이수림 19 1 1 

  6. 글로벌사회복지연구 이원지 3 2 25 

  7. 학교사회복지 이재희 23 257 

  8. 청소년상담연구 전연진 21 1 233 

  9. 지적장애연구 전정식 15 2 305 

  10.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황혜정 52 2 189 http://dx.doi.org/10.6115/fer.2014.52.2.189 

  11. Children’s Services: Social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Berlin, L. J 4 1 1 

  12. Neighborhood Poverty Brown, P 2 164 

  13. Child Abuse Review Carpenter, J 16 17 10.1002/car.969 

  14. Health Education & Behavior Catalani, C 37 3 424 10.1177/1090198109342084 

  15. Encyclopedia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Montreal, Quebec: Centre of Excellenc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ummings, E. M 2009 1 

  16. Care, Health and Development Coe, C 34 4 447 10.1111/j.1365-2214.2008.00816.x 

  17.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Edwards, N. M 23 527 10.1007/s10826-013-9712-7 

  18.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Gray, R 33 6 655 10.1111/j.1365-2214.2006.00682.x 

  19. Matem Child Health Hillemeier, M. M 17 180 10.1007/s10995-012-0961-7 

  20. Childten's Geographies Jupp, E 11 2 173 10.1080/14733285.2013.779449 

  21. Neighborhood Poverty Leventhal, T 2 182 

  22.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MacNeill, V 17 6 659 10.1111/j.1365-2524.2009.00870.x 

  23.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Malin, N 17 5 495 10.1111/j.1365-2524.2009.00845.x 

  24.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Rutter, M 11 3 135 10.1111/j.1475-3588.2006.00402.x 

  25. Health Education & Behavior Wang, C 24 3 269 

  26.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Wang, C 13 1 75 10.1093/heapro/13.1.75 

  27.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Wang, C 14 1-2 147 10.1300/J125v14n01_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