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by using the portable gas chromatograph OralChroma$^{TM}$ (Abimedical, Japan) in halitosis patients. Methods: We surveyed 3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의학적 변증에 따라 추가적으로 처방된 한약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투여된 益胃理氣湯은 胃陰을 補하고 울결된 肝氣를 풀어주는 약제들로 구성된 처방으로 경희대학교 한방병원에서 임상적인 경험을 토대로 胃 陰不足과 肝鬱로 인한 口臭, 口瘡, 咽乾舌燥 등을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처방이다. 金銀花, 連翹, 梔子, 黃芩 등 淸熱시키는 약물과, 玄蔘, 浙貝母, 瓜 蔞根 등 津液을 보충하는 약물 등으로 구성된 淸 咽利膈湯20은 편도를 비롯한 인후부의 염증으로 혐기성 세균의 증가되어 발생하는 구취를 치료할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加減甘露飮을 변방하여 만들어진 淸胃甘露飮20은 淸胃熱, 解熱을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元氣生脈散은 生脈散20에 茶葉, 大蒜 등을 가미하여 胃陰을 보하는 목적으로 투여되었고, 加味 六味地黃湯 역시 기존의 六味地黃湯20에 生地黃, 知母, 黃柏, 甘草 등을 가미하여 淸熱 및 滋陰의 목적 으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치료법도 이에 준하여, 내복 약으로는 대부분 胃熱을 내려주고, 부족한 胃陰을 보충할 수 있는 처방을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투여된 生地散은 淸熱凉血, 養陰生津하는 生地黃22과 生津止渴, 虛熱消渴하는 烏梅22로 구성되어 고갈된 津液을 보충하고, 구강 내 타액 분비를 자극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한의학적 변증에 따라 추가적으로 처방된 한약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투여된 益胃理氣湯은 胃陰을 補하고 울결된 肝氣를 풀어주는 약제들로 구성된 처방으로 경희대학교 한방병원에서 임상적인 경험을 토대로 胃 陰不足과 肝鬱로 인한 口臭, 口瘡, 咽乾舌燥 등을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처방이다.
  • 구취에 대한 침 치료의 효능에 관해서는 아직 직접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으나 선행연구 상 침 치료 및 전기침 치료는 부교감신경을 자극하고, 특정 신경 펩타이드의 분비를 향상시킴으로써 타액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24. 본 연구에서도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타액 분비를 원활히 하여 구강 내 환경의 개선을 통해 구취 증상을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침 치료 및 전기침 치료를 함께 시행하였다.
  • 이에 저자는 2013년 10월부터 2014년 11월 까지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한방 소화기내과 구강병 클리닉에 구취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조사, 구취 증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 검사, USFR, OralChroma™를 이용한 VSCs 수치 측정 등을 시행하고, 3주 동안 한약 치료, 침 치료, 전기침 치료 등의 한방 치료 후에 다시 OralChroma™ 검사를 시행하여 치료 전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에 저자는 2013년 10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한방 소화기 내과 구강병 클리닉에 구취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3주 동안 한방치료를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OralChroma™를 이용하여 구강 내 VSCs 수치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의미 있는 호전 효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 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란? 구취(Halitosis)의 어원은 숨쉼을 뜻하는 라틴어 ‘halitus’와 병리적 상태를 뜻하는 라틴어 ‘osis’의 합성어로, 숨을 쉬거나 말을 할 때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증상을 말한다 1 . 이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증상으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구취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2 .
구취의 어원은? 구취(Halitosis)의 어원은 숨쉼을 뜻하는 라틴어 ‘halitus’와 병리적 상태를 뜻하는 라틴어 ‘osis’의 합성어로, 숨을 쉬거나 말을 할 때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증상을 말한다 1 . 이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증상으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구취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2 .
구취를 평가하는 방법 중 가장 정확하게 구취 측정을 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방법은? 구취를 평가하는 방법은 관능적인 평가 방법, portable sulfide monitoring(Halimeter®), Gas chromatography (GC), 미생물학적 검사 방법 등 다양하다 5,6 . 이 중가장 정확하게 구취 측정을 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방법은 GC이지만, 사용 방법이 어렵고 외래 진료실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GC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각각의 농도를 측정해낼 수 있는 간이 가스분석검사기(OralChroma™)가 개발되었으며, 그 유효성도 입증된 바 있다 7,8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ine KH. Halitosis. JADA 1957;55:37-46. 

  2. Nachnani S. Oral malodor : causes, assessment, and treatment. Compend Contin Educ Dent 2011;32:22-4, 26-8, 30-4. 

  3. Waler SM. On the transformation of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and peptides to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 in the human mouth. Eur J Oral Sci 1997;105:534-7. 

  4. Krespi YP, Shrime MG, Kacker A.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malodor and volatile sulfur compoundproducing bacteri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5):671-6. 

  5. van den Broek AM, Feenstra L, de Baat C.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aetiology and measurement methods of halitosis. J Dent 2007;35(8):627-35. 

  6. Kato H, Yoshida A, Awano S, Ansai T, Takehara T. Quantitative dete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 -producing microorganisms in oral specimens using real-time PCR. Oral Dis 2005;11(1):67-71. 

  7. Yaegaki K, Brunette DM, Tangerman A, Choe YS, Winkel EG, Ito S, et al. Standardization of clinical protocols in oral malodor research. J Breath Res 2012;6(1):1-10. 

  8. Lee MG, Kim JS, Kim HS, Jung SJ, Cho JW. The comparative study of several kinds of oral malodor checking devices for clinical use. Int J Clin Prev Dent 2008;4(1):40-52. 

  9. Quirynen M, Zhao H, van Steenberhe D. Review of the treatment strategies for oral malodour. Clin Oral Investig 2002;6(1):1-10. 

  10. Farrell S, Baker RA, Somogyi-Mann M, Witt JJ, Gerlach RW. Oral malodor reduction by a combination of chemotherapeutical and mechanical treatmnets. Clin Oral Investig 2006;10(2):157-63. 

  11. 심성용, 김경준. 口臭에 대한 문헌적 고찰. 동의학회지 2000;4(1):86-104. 

  12. Kizhner V, Xu D, Krespi YP. A new tool measuring oral malodor quality of life.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1;268(8):1227-32. 

  13. Navazesh M, Christensen CM. A comparison of whole mouth resting and stimulated salivary measurement procedures. J Dent Res 1982;61(10):1158-62. 

  14. Tangerman A, Winkel EG. The portable gas chromatograph $OralChroma^{TM}$ : a method of choice to detect oral and extra-oral halitosis. J Breath Res 2008;2(1):1-6. 

  15. 김진성. 퓨전 구취이야기. 서울: 경희대학교출판국; 2006, p. 18-9, 52-8. 

  16. Eli I, Baht R, Koriat H, Rosenberg M. Self-perception of breath odor. J Am Dent Assoc 2001;132(5):621-6. 

  17. McCullough MJ, Farah CS. The role of alcohol in oral carcinogenesi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lcohol containing mouthwashes. Aust Dent J 2008;53:302. 

  18. Liebana J, Castillo AM, Alvarez M. Periodontal diseases: microbiological consideration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4;9(82-91):75-82. 

  19. 李?. 醫學入門. 서울: 남산당; 1985, p. 1442-4. 

  20. 허준.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2007, p. 420, 558, 679-80, 721, 1148. 

  21. 형양기, 노석선, 주영승. 口瘡.口臭.口疳.口?.口乾의 外治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997;10(1):50-90. 

  22.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집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08, p. 231-3, 383-4, 675-6. 

  23. 엄국현, 김진성. 淸口甘露水의 구취억제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2):354-62. 

  24. Wong RK, Jones GW, Sagar SM, Babjak AF, Whelan T. A Phase I-II study in the use of acupuncture-like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radiation-induced xerostomia in head-and-neck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3;57(2):472-80. 

  25. Kim MJ, Kang SK, Chun YH, Hong JP, Auh QS. Clinical evaluation of halitosis patients in Korea. J Oral Med Pain 2014;39(2):63-8. 

  26. 김진성,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구취 환자의 특성 및 관련 인자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252-9. 

  27. Coulthard, Paul.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Radiology, Pathology and Oral Medicine. 2n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08, p. 210, 212-3. 

  28. Shinjiro K, Shuji A, Kenjiro G, Eriko K, Toshihiro A, Tadamichi T. Low salivary flow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3;96(1):38-41. 

  29. 한가진, 김진성, 선종기, 손지희, 오승환, 박영선, 등. 구취환자의 구강건조감과 스트레스, 기울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3):488-99. 

  30. 정미애. 구취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31. 이문옥. 일일중 구취 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