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이 소외계층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사회공헌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irst aid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on self-efficacy and social contribution of disadvantaged youth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8 no.3, 2014년, pp.37 - 51  

이효철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정현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demand, pre-post self-efficacy, subjective social contribution of disadvantaged youth after first-aid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67 disadvantaged youth from the 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 여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교육경험, 재교육의 요구도, 교육 전·후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자아효능감,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심폐 소생술 교육에 대한 주관적인 사회공헌도를 파악하여 향후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및 보급 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실시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실태와 교육의 요구도, 교육 전·후 자아효능감과 사회공헌도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의 40개 기관의 소외계층 청소년 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실태 및 재교육의 요구도, 교육 전·후 응급처치 및 심폐 소생술 수행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사회공헌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외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한 후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며, 향후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을 범국민 운동으로 확산시켜 응급환자 발생 후 소생률 제고방안을 모색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적인 보급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 가족해체의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현대사회는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 이혼, 가출 등으로 인한 가족해체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1997년 말 IMF 이후 가족해체, 위기 가족 등과 함께 사회적 양극화가 극대화되기 시작하여, 방과 후 성인의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방치 되는 아동들과 저소득층 아동들, 편부모 및 조손 가정의 아동들 등 흔히 소외계층의 아동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저소득층 아동이 일반가정의 아동보다 안전사고를 경험할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저소득층 가정에서 양육되는 아동은 부모의 가중된 양육스트레스, 안전사고에 대한 감독 소홀 그리고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도구 및 장치구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불의의 안전사고를 경험할 위험이 일반가정의 아동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소외계층 청소년이란 무엇인가? 이 때문에 소외계층 아동의 일상 생활태도, 학습, 건강, 여러 가지 안전 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맞벌이 가정에서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1]. 소외계층 청소년이란 개인이 처한 정신 적, 육체적 결함 혹은 주변 환경적, 경제적 여건의 미비함으로 인하여 사회로부터 약자로 인식되는 집단으로 저소득층청소년, 비행청소년, 장애청소 년, 농어촌청소년. 근로청소년 등을 포함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hang SH, Lim K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4th ed. Seoul: Koonja, 2011. 29-50. 

  2. Lee HY, Lee TS, Lee SJ. Research needs of underprivileged youth welfare(1). Korea Youth Institute. Research report 2001(1): 1-311. 

  3. Hendrickson SG. Reaching an under served population with a randomly assigned home safety intervention. Inj Prev 2005;11(5): 313-7. 

  4. Durkin MS, Davidson LL, Kuhn L, O'Connor P, Barlow B. Low-income neighborhoods and the risk of severe pediatric injury: A small-area analysis in Northern Manhattan. Am J Public Health 1994;84(4):587-92. 

  5. Olsen L, Bottorff JJ, Raina P, Frankish CJ. An ethnography of low-income mothers' safe guarding efforts. J Safety Res 2008; 39(6):609-16. 

  6. Munro SA, van Niekerk A, Seedat M. Childhood unintentional injuries: The perceived impact of the environment, lack of supervision and child characteristics.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2006;32(3): 269-79. 

  7. Statistics Korea. Death rates for the 10 to 20 leading causes of death by age. Available at: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55358, 2012. 

  8. Kim EM, Lee EK. The effects of BLS training on CPR attitu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20(2):189-96. 

  9. Jung HM, Lee HC. Development and effect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3):149-68. 

  10. Lee JM, Paek KS.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students' basic cardiac life support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J Korean Acad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10):4927-34. 

  11. Kim SS, Kam S. The effect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r Health education Promotion 2006;23(4):155-71. 

  12. Park JM.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nd reten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Daegu, Korea. 

  13. Jung HM. The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12, Gwangju, Korea. 

  14. National Cumiculum Information Cente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vailable at: http://www.ncic.go.kr/nation.dwn.ogf.inventoryList.do#,2008, 2008. 

  15. Piaget J. Adaptation and intelligence: Organic selection and phenocopy. 1st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16. Eisenburger P, Safar P. Life supporting first aid training of the publ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1999;41(1): 3-18. 

  17. American Heart Association. Available at: http://www.heart.org/HEARTORG/CPRAndECC/CorporateTraining/HeartsaverCourses/Heartsaver-Courses_UCM_001295_SubHomePage.jsp, 2012. 

  18. Arizona Department of Health Services. Available at: http://www.azdhs.gov/azshare/index.htm, 2012. 

  19. Reder S, Quan 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in Washington state public high schools. Resuscitation 2003; 56(3):283-8. 

  20. Lafferty C, Larsen P, Galletly D. Resuscitation teaching in new zealand schools. N Z Med J 2003;116(1181):U582. 

  21. Hwang RI, Im YJ. Factors affecting parental practices of in-home injury prevention for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J Korean Soc of public health nursing 2013;27(2):254-66. 

  22. Bianchi SM. Feminization and juvenilization of poverty: Trends, relative risks, causes, and consequences. Annu Rev Sociol 1999;25:307-33. 

  23. Park HS, Lee HJ, Chung IJ.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by poverty status. Korean J Soc Welfare Studies 2011;42(3): 183-206. 

  24. Lee BC, Lee MJ, Shin SJ, Ryoo HW, Kim JK, Park JB et al. The current statu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for school. J Korean Soc Emerg Med 2012; 23(4):470-8. 

  25. Kho KS, Kim DJ, Kim EJ, Nam EJ, Jung HY, Cho MY. School safety manual, Korean teachers & Educational Worker's Union 2006. 

  26. Chun YM, Park SH, Park SY. Effects on self efficacy in knowledge and attitude of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 121-7. 

  27. Park YR, Kim HS, Cha HK. Awareness, attitude and perceived competency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of School Health 2010;23(2):133-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