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Effects of Liquid Pig Manure Application Level on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Barley at Reclaimed Tidal Land in Southwestern Korea원문보기
본 연구는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시 돈분뇨액비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해남군 소재 농가포장과 벼맥류부 계화간척지에서 처리구를 무시용, 액비 50%, 100%, 150%, 200%로 두고 토양 화학성, 생육, 수량, 식물체 양분흡수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돈분뇨액비의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pH는 변화가 없었으나 토양유기물 및 유효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치환성 양이온은 영산강간척지에서 $Na^+$가, 새만금간척지에서는 $K^+$가 크게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초장은 돈분뇨액비 100%, 150%, 200%에서 각각 102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고 새만금간척지의 청보리 초장 또한 각각 100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m^2$당 경수의 영향으로 인해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 생체수량이 $27.5ton\;ha^{-1}$에서 $32.6ton\;ha^{-1}$로 증가하였고 새만금간척지에서 $9.7ton\;ha^{-1}$에서 $11.2ton\;ha^{-1}$으로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에서 건물수량은 각각 $10.0ton\;ha^{-1}$, $10.5ton\;ha^{-1}$이었고 새만금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50%시용과 200% 시용의 건물수량은 각각 $10.5ton\;ha^{-1}$, $11.2ton\;ha^{-1}$이어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식물체 분석에서는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N, T-P, $K^+$, $N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사료가치 분석에서 조단백질은 영산강간척지에서 4.9%에서 6.7%로, 새만금간척지에서 4.7에서 7.7%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TDN 함량은 액비 시용수준에 따른 경향을 찾을 수 없었지만 TDN수량은 영산강간척지에서 $2.1ton\;ha^{-1}$에서 $7.4ton\;ha^{-1}$로, 새만금간척지에서 $2.0ton\;ha^{-1}$에서 $6.9ton\;ha^{-1}$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DN 수량이 증가하였다. 두 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수량을 고려했을 때 돈분뇨액비 시용시 영산강간척지는 청보리 질소 표준시비량의 100%, 새만금간척지는 150% 수준을 2번 나누어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시 돈분뇨액비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해남군 소재 농가포장과 벼맥류부 계화간척지에서 처리구를 무시용, 액비 50%, 100%, 150%, 200%로 두고 토양 화학성, 생육, 수량, 식물체 양분흡수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돈분뇨액비의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pH는 변화가 없었으나 토양유기물 및 유효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치환성 양이온은 영산강간척지에서 $Na^+$가, 새만금간척지에서는 $K^+$가 크게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초장은 돈분뇨액비 100%, 150%, 200%에서 각각 102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고 새만금간척지의 청보리 초장 또한 각각 100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m^2$당 경수의 영향으로 인해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 생체수량이 $27.5ton\;ha^{-1}$에서 $32.6ton\;ha^{-1}$로 증가하였고 새만금간척지에서 $9.7ton\;ha^{-1}$에서 $11.2ton\;ha^{-1}$으로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에서 건물수량은 각각 $10.0ton\;ha^{-1}$, $10.5ton\;ha^{-1}$이었고 새만금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50%시용과 200% 시용의 건물수량은 각각 $10.5ton\;ha^{-1}$, $11.2ton\;ha^{-1}$이어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식물체 분석에서는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N, T-P, $K^+$, $N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사료가치 분석에서 조단백질은 영산강간척지에서 4.9%에서 6.7%로, 새만금간척지에서 4.7에서 7.7%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TDN 함량은 액비 시용수준에 따른 경향을 찾을 수 없었지만 TDN수량은 영산강간척지에서 $2.1ton\;ha^{-1}$에서 $7.4ton\;ha^{-1}$로, 새만금간척지에서 $2.0ton\;ha^{-1}$에서 $6.9ton\;ha^{-1}$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DN 수량이 증가하였다. 두 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수량을 고려했을 때 돈분뇨액비 시용시 영산강간척지는 청보리 질소 표준시비량의 100%, 새만금간척지는 150% 수준을 2번 나누어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quid pig manure (LPM) application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Yeongsangang and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Electronic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and available phosphate (Av. $P_2O_...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quid pig manure (LPM) application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Yeongsangang and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Electronic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and available phosphate (Av. $P_2O_5$) increased in chemical properties of Yeongsangang and Saemangeum soil as raising LPM application level. As increasing LPM application level, exchangeable $Na^+$ significantly increased in Yeongsangang, while exchangeable $K^+$ significantly increased in Saemangeum. Plant h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LPM 100% to LPM 200% in Yeongsangang and in Saemangeum. Dry matter yield of whole crop barley increased steadily, but crop yield of LPM 200% in Yeongsangang ($10.5ton\;ha^{-1}$) was as much as that of LPM 150% ($10.0ton\;ha^{-1}$). Yield of LPM 200% ($11.2ton\;ha^{-1}$) in Saemangeum was similar to that of LPM 150% ($10.5ton\;ha^{-1}$). Crude protein (CP) increased depending on LPM application level, but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creased regardless of LPM application level. LPM 200% was the highest in TDN yield (Yeongsangang: $7.4ton\;ha^{-1}$, Saemangeum: $6.9ton\;ha^{-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PM 150% (Yeongsangang: $6.9ton\;ha^{-1}$, Saemangeum: $6.6ton\;ha^{-1}$) and LPM 200%.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optimum rate of LPM for cultivating whole crop barley is considered 100% in Yeongsangang reclaimed tidal land and 150%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howing that the effect of LPM application is better in Segmentation than that in Yeongsangang for yield of whole crop barle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quid pig manure (LPM) application r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Yeongsangang and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Electronic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and available phosphate (Av. $P_2O_5$) increased in chemical properties of Yeongsangang and Saemangeum soil as raising LPM application level. As increasing LPM application level, exchangeable $Na^+$ significantly increased in Yeongsangang, while exchangeable $K^+$ significantly increased in Saemangeum. Plant h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LPM 100% to LPM 200% in Yeongsangang and in Saemangeum. Dry matter yield of whole crop barley increased steadily, but crop yield of LPM 200% in Yeongsangang ($10.5ton\;ha^{-1}$) was as much as that of LPM 150% ($10.0ton\;ha^{-1}$). Yield of LPM 200% ($11.2ton\;ha^{-1}$) in Saemangeum was similar to that of LPM 150% ($10.5ton\;ha^{-1}$). Crude protein (CP) increased depending on LPM application level, but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creased regardless of LPM application level. LPM 200% was the highest in TDN yield (Yeongsangang: $7.4ton\;ha^{-1}$, Saemangeum: $6.9ton\;ha^{-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PM 150% (Yeongsangang: $6.9ton\;ha^{-1}$, Saemangeum: $6.6ton\;ha^{-1}$) and LPM 200%.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optimum rate of LPM for cultivating whole crop barley is considered 100% in Yeongsangang reclaimed tidal land and 150%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howing that the effect of LPM application is better in Segmentation than that in Yeongsangang for yield of whole crop barle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시험에서는 토성이 각각 다른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시 돈분뇨액비의 시용수준에 따른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시 돈분뇨액비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해남군 소재 농가포장과 벼맥류부 계화간척지에서 처리구를 무시용, 액비 50%, 100%, 150%, 200%로 두고 토양 화학성, 생육, 수량, 식물체 양분흡수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의 시험구 크기는 각각 100 m × 50 m, 3 m ×4 m로 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간척지구별로 청보리에 대한 액비 시용수준을 검토하기 위해 처리내용으로 일반 농경지 수준인 질소비료 150 kg ha-1를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액비량을 계산하여 액비 50%, 100%, 150%, 200%를 파종 전 밑거름 50%, 생육재생기에 웃거름 50%로 2번 나누어 시용 하였고 액비 무시용을 시험구로 만들었다.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의 시험구 크기는 각각 100 m × 50 m, 3 m ×4 m로 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의 시험구 크기는 각각 100 m × 50 m, 3 m ×4 m로 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액비는 영산강간척지에는 2013년 10월 17일, 새만금간척지에는 2013년 10월 25일에 각각 처리하였고 파종은 액비를 시용하고 일주일 후에 청보리를 200 kg ha-1 수준으로 산파하였다.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 이용한 비색법 (Shimadzu UV-540, Japan)으로 하였고, T-N은 Dumas법 (Vario-MAX, Germany)으로 하였다. K, Ca, Mg, Na의 함량은 분해 후 ICP-AES (VISTA-MPX CCD Simultaneous Australia)로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이 분석한 액비의 화학성은 Table 1과 같다.
사료가치 분석은 식물체를 액비 시용수준별로 1 kg씩 채취하여 건조기에 70℃로 3~4일 건조시키고 무게를 측정한 후 마쇄한 시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분석은 AOAC (1995)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중성세제불용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NDF) 및 산성세제불용섬유 (Acid detergent fiber, ADF) 함량은 Goering and Van Soest법 (1970)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시험은 청보리에 대한 적정 액비 시용 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새만금간척지에서는 농어촌공사로부터 임시로 사용권을 허락받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계화시험지에서, 영산강간척지에서는 역시 사용권을 허락받은 전라남도 해남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1년간 수행하였다. 청보리 품종은 영양을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한 액비 중 영산강간척지는 전남 해남군 마산면 소재 해진영농법인에서, 새만금간척지는 익산군산축협 공동자원화시설에서 45일 이상 발효시킨 것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액비의 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 시험은 청보리에 대한 적정 액비 시용 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새만금간척지에서는 농어촌공사로부터 임시로 사용권을 허락받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계화시험지에서, 영산강간척지에서는 역시 사용권을 허락받은 전라남도 해남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1년간 수행하였다. 청보리 품종은 영양을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한 액비 중 영산강간척지는 전남 해남군 마산면 소재 해진영농법인에서, 새만금간척지는 익산군산축협 공동자원화시설에서 45일 이상 발효시킨 것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액비의 화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데이터처리
통계분석은 R (3.1.2)을 이용하여 청보리의 생육 및 수량 등을 분산 분석 (ANOVA) 및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토양 중 양분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을 채취하여 풍건 후 2 mm체에 통과한 시켜 농촌진흥청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율을 1:5로 희석하여 초자전극법 (Mettler toledo seven multi, Switzerland)으로 하였고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 이용한 비색법 (Shimadzu UV-540, Japan)으로 하였다.
토양 중 양분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을 채취하여 풍건 후 2 mm체에 통과한 시켜 농촌진흥청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NIAST, 2000)에 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율을 1:5로 희석하여 초자전극법 (Mettler toledo seven multi, Switzerland)으로 하였고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 이용한 비색법 (Shimadzu UV-540, Japan)으로 하였다. 유기물은 Dumas법 (Vario-MAX, Germany)로 분석하였고 치환성 양이온 (K+, Ca2+, Mg2+, Na+)은 ICP-AES (VISTA-MPX CCD Simultaneous Australia)로 분석하였다.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의 비율을 1:5로 희석하여 초자전극법 (Mettler toledo seven multi, Switzerland)으로 하였고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 이용한 비색법 (Shimadzu UV-540, Japan)으로 하였다. 유기물은 Dumas법 (Vario-MAX, Germany)로 분석하였고 치환성 양이온 (K+, Ca2+, Mg2+, Na+)은 ICP-AES (VISTA-MPX CCD Simultaneous Australia)로 분석하였다.
, 10:1:4) 10 mL를 가하여 350℃로 가열하여 분해하였다.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을 이용한 비색법 (Shimadzu UV-540, Japan)으로 하였고, T-N은 Dumas법 (Vario-MAX, Germany)으로 하였다. K, Ca, Mg, Na의 함량은 분해 후 ICP-AES (VISTA-MPX CCD Simultaneous Australia)로 분석하였다.
사료가치 분석은 식물체를 액비 시용수준별로 1 kg씩 채취하여 건조기에 70℃로 3~4일 건조시키고 무게를 측정한 후 마쇄한 시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분석은 AOAC (1995)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중성세제불용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NDF) 및 산성세제불용섬유 (Acid detergent fiber, ADF) 함량은 Goering and Van Soest법 (1970)으로 분석하였다. 가소화 양분총량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은 88.
성능/효과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 청보리를 재배한 후 액비 시용수준별 토양 화학성은 Table 3과 같다. 두 간척지에서 Table 2의 시험 전 토양에 비해 pH값은 비슷하였고 EC는 감소하였고, 유기물, 유효인산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이들 값은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Yang et al.
(2012)이 연구한 내용과 일치하였다. 처리구별로 비교했을 때 EC는 돈분뇨액비 100%구에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돈분뇨액비를 150% 이상 시용하면서 EC값이 증가하였다. 유기물은 두 간척지 모두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효인산은 새만금간척지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유기물은 두 간척지 모두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효인산은 새만금간척지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양이온 중 K+은 영산강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00% 시용 이후 변화가 없었으나 새만금간척지에서는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K+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Na+는 오히려 영산강간척지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새만금간척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시 돈분뇨액비 시용수준별 생육 및 수량은 Table 4와 같다. 두 간척지에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청보리의 초장, m2당 경수, 생체수량 및 건물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Yang et al. (2008)의 결과와 같았다. 영산강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00%구와 돈분뇨액비 150%구에서 청보리의 초장은 각각 102 cm, 103 cm로 1 cm 차이가 났지만 ㎡당 경수에서 각각 469개, 505개의 차이를 보여 청보리의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2008)의 결과와 같았다. 영산강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00%구와 돈분뇨액비 150%구에서 청보리의 초장은 각각 102 cm, 103 cm로 1 cm 차이가 났지만 ㎡당 경수에서 각각 469개, 505개의 차이를 보여 청보리의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청보리의 건물수량은 돈분뇨 액비 200%구에서 10.
0 ton ha-1의 건물수량을 보여 큰 차이가 없었다. 새만금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50%구와 200%구의 청보리 초장 또한 102 cm, 103 cm로 1 cm 차이가 났지만 m2당 경수에서 각각 572개, 592개로 영산강간척지와 같은 양상을 보였으며, 건물수량 또한 돈분뇨액비 200%구에서 11.2 ton ha-1로 가장 높았지만 돈분뇨액비 150%구에서 10.5 ton ha-1이어서 차이가 없었다. 두 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해 본 결과 유기물함량은 영산강간척지가 높았지만 평균수량은 새만금간척지에서 더 좋았다.
5 ton ha-1이어서 차이가 없었다. 두 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해 본 결과 유기물함량은 영산강간척지가 높았지만 평균수량은 새만금간척지에서 더 좋았다. Lee et al.
간척지구별 돈분뇨액비 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양분 흡수는 Table 5와 같다. 돈 분뇨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청보리의 질소와 인산의 함량이 많았고 무기성분은 Mg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의 질소 흡수율을 보면, 무시용구는 각각 0.
돈 분뇨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청보리의 질소와 인산의 함량이 많았고 무기성분은 Mg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의 질소 흡수율을 보면, 무시용구는 각각 0.79%와 0.75%로 비슷하였고, 돈분뇨액비 50%구에서는 0.89%와 0.79%, 돈분뇨액비 100%구에서는 1.01%와 0.91%로 영산강간척지에서 더 많았으나 돈분뇨액비 150%구에서는 1.03%와 1.08%, 돈분뇨액비 200%구에서는 각각 1.07%와 1.13%로 새만금간척지에서 더 많았다. 이는 새만금간척지보다 영산강간척지에서 200%구에서 액비의 유출이 일어나 식물이 질소 흡수량이 적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간척지구별 돈분뇨액비 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사료가치는 Table 6과 같다. 조단백질을 살펴보면 돈분뇨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높았으며 조단백질 최대값은 영산강간척지에서 6.7%, 새만금간척지에서는 7.7%로 질소함량이 높아질수록 조단백질이 증가한다는 Songin (1985)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각 간척지에서 ADF값과 NDF값은 액비 시용수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DF의 경우 영산강 간척지에서 재배한 청보리가 새만금간척지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낮은 경향이었다.
7%로 질소함량이 높아질수록 조단백질이 증가한다는 Songin (1985)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각 간척지에서 ADF값과 NDF값은 액비 시용수준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DF의 경우 영산강 간척지에서 재배한 청보리가 새만금간척지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낮은 경향이었다. 두 간척지에서의 가소화양분 총량 (TDN) 함량은 60% 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돈분뇨액비 시용수준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Shin et al.
1과 같다. 두 간척지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낸 돈분뇨액비 시용수준은 200%였으며, 영산강간척지와 새만금간척지에서 각각 7.4 ton ha-1, 6.9 ton ha-1이었다. 건물수량은 영산강 간척지가 낮았으나 TDN값이 높아 TDN수량을 환산한 결과 영산강간척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9 ton ha-1이었다. 건물수량은 영산강 간척지가 낮았으나 TDN값이 높아 TDN수량을 환산한 결과 영산강간척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새만금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50%구에서의 TDN수량은 6.
건물수량은 영산강 간척지가 낮았으나 TDN값이 높아 TDN수량을 환산한 결과 영산강간척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새만금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 150%구에서의 TDN수량은 6.6 ton ha-1으로 돈분뇨액비 200%구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영산강간척지에서의 100%구와 150%구의 TDN수량은 각각 6.5 ton ha-1과 6.9 ton ha-1로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으나 새만금 간척지 150%구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간척지에서 돈분뇨액비를 이용하여 청보리를 재배할 경우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돈분뇨액비를 150%이하의 수준으로 시용하고, TDN값을 고려한 최대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만금간척지에서는 150%, 영산강간척지에서는 100%를 시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돈분뇨액비의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pH는 변화가 없었으나 토양유기물 및 유효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치환성양이온은 영산강간척지에서 Na+가, 새만금간척지에서는 K+가 크게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초장은 돈 분뇨액비 100%, 150%, 200%에서 각각 102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고 새만금간척지의 청보리 초장 또한 각각 100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다.
가 크게 증가하였다.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초장은 돈 분뇨액비 100%, 150%, 200%에서 각각 102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고 새만금간척지의 청보리 초장 또한 각각 100 cm에서 103 cm로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m2당 경수의 영향으로 인해 영산강간척지에서 청보리 생체수량이 27.
식물체 분석에서는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N, T-P, K+, N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사료가치 분석에서 조단백질은 영산강간척지에서 4.9%에서 6.7%로, 새만금간척지에서 4.7에서 7.7%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TDN 함량은 액비 시용수준에 따른 경향을 찾을 수 없었지만 TDN수량은 영산강간척지에서 2.
7%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TDN 함량은 액비 시용수준에 따른 경향을 찾을 수 없었지만 TDN수량은 영산강간척지에서 2.1 ton ha-1에서 7.4 ton ha-1로, 새만금간척지에서 2.0 ton ha-1에서 6.9 ton ha-1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DN 수량이 증가하였다. 두 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수량을 고려했을 때 돈분뇨액비 시용시 영산강간척지는 청보리 질소 표준시비량의 100%, 새만금간척지는 150% 수준을 2번 나누어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9 ton ha-1로 액비 시용수준이 증가할수록 TDN 수량이 증가하였다. 두 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수량을 고려했을 때 돈분뇨액비 시용시 영산강간척지는 청보리 질소 표준시비량의 100%, 새만금간척지는 150% 수준을 2번 나누어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2013)은 새만금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시 염농도가 높을수록 수량이 감소하며 수량 구성요소 중 특히 경수가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새만금간척지가 영산강간척지보다 유기물함량이 낮지만 수량이 높은 이유는 새만금간척지의 EC가 영산강간척지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청보리의 경수에 영향을 주어 수량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새만금간척지는 수직배수가 비교적 잘 되는 사양토이고 영산강간척지는 수직배수가 불량한 미사질식양토이기 때문에 토성 차이에 따른 배수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되며, 영산강간척지의 pH가 새만금간척지보다 높아 NH4+-N의 휘산 (Frost et al.
후속연구
앞서 언급한 ADF값이 낮을수록 TDN값이 높게 되는데 TDN이 높을수록 가축의 소화되는 영양분이 증가하여 사료로서 유리한 조건이 된다. 결과적으로 영산강 간척지에서 재배된 청보리가 ADF값이 낮아 새만금에 비하여 TDN값이 평균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추후 간척지에서 사료작물을 재배할 경우 사료가치에 대한 정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29)
Agricultural Cooperatives. 2012. The supply price of chemical fertilizer. Agricultural Cooperatives. Seoul. Korea.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Bernal, M. P. and H. Kirchman. 1992.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and ammonia volatilization from fresh, aerobically and an aerobically treated pig manure during incubation with soil. Biol. Fert. Soils 13(3):135-141.
Cho, K. M., S. B. Lee, N. H. Back, C. H. Yang, J. H. Jung, K. B. Lee, K. J. Kim, and J. C. Chun. 2012. Effect of tillage after application of liquid-pig-manure on occurrence of water-foxtail and yield of winter forage crop, Korean J. Intl. Agri. 24(4): 429-434.
Choi, W. J., S. A. Jin, S. M. Lee, H. M. Ro, and S. H. Yoo. 2001. Corn uptake and microbial immobilization of 15N-labeled urea-N in soil as affected by composted pig manure. Plant Soil. 235(1):1-9.
Douglas, B. F. and F. R. Magdoff. 1991. An evaluation of nitrogen mineralization induce for organic residues. J. Environ. Qual. 20(2):368-372.
Frost, J. P., R. J. Stevens, and R. J. Laughlin. 1990. Effects of separation and acidification of cattle slurry on ammonia volatilization and on the efficiency of slurry nitrogen for herbage production. J. Agri. Sci. 115(01):49-56.
Gilmour, J. T., A. Mauromoustakos, P. M. Gale, and R. J. Norman. 1998. Kinetics of crop residues decomposition: variability among crops and years. Soil Sci. Soc. Am. J. 62(3):750-755.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p.379, Agric Handbook,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Hwang, K. N., Y. H. Lee, Y. K. Shin, and G. S. Rhee. 1993. Study on behavior of rice straw in paddy soil. RDA J. Agri. Sci. 35(1):289-294.
Holland, C., W. Kezar, W. P. Kautz, E.J. Lazowski, W. 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p. 1-5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moines, IA.
Kanazawa, S. and T. Yoneyama. 1980. Microbal degradation of 15N-labeled rice residues in soil during two years, incubation under flooded and upland conditions. Transformation of residue nitrogen, Soil Sci. Plant Nutr. 26(2):241-254.
Kim, T. K., C. H. Yang, J. H. Jung, S. B. Lee, and C. H. Yoo. 2008.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combined treatment on rice growth and soil fertility in reclaimed land. p.961-966. Research Report. NICS, RDA.
Lee, S. B., K. M. Cho, P. Shin, C. H. Yang, N. H. Back, K. B. Lee, S. H. Baek, and D. Y. Chung. 2013. Effect of soil salinity on growth, yield and nutrients uptake of whole crop barley in newly reclaimed land. Korean J. Environ Agric. 32(4):332-337.
Lee, S. B., N. H. Baik, J. H. Yoo, S. Kim, K. M. Cho, Y. J. Oh, T. I. Park, T. S. Kim, K. J. Kim, and C. K. Kim. 2010. Effects of split application of pig liquid fertilizer on yield of spring whole-crop barley and subsequent soil qual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 Intl. Agri, 22(4):319-323.
Lim, T. J., I. B. Lee, S. B. Kang, J. M. Park, and S. D. Hong. 2009. Effects of continual pre-plant application of pig slurry on soil mineral nutrients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Korean J. Environ. Agr. 28(3):227-23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Outcome of animal waste generation and recycling('06 '12).
Moral, R., M. D. Perez-Murcia, A. Perez-Espinosa, J. Moreno-Caselles, C. Paredes, and B. Rufete. 2008. Salinity, organic content, micronutrients and heavy metals in pig slurries from South eastern Spain, Waste Management. 28(2):367-371.
Murayama, S., N. Kibo, M. Komada, K. Baba, and A. Tsumura. 2001. Water quality, particularly of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of ground water of agricultural area of humic volcanic ash soil on Shirash plateau where livestock wastes have been applied as land management. Soil Sci. Plant Nutr. 72:764-77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RDA, Suwon, Korea.
Pain, B. F., R. B. Thomson, Y. J. Rees, and J. H. Skinner. 1990. Reducing gaseous of nitrogen from cattle slurry applied to grassland by the use of additives. Journal of Food and Agri. 50(2):141-153.
Park. B. K., J. S. Lee, N. J. Cho, and K. Y. Jung. 2001.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amount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of rice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Korean J. Soil Sci. Fert. 34(3):147-152.
Schechtner, G. 1978. Zur Wirksamkeit des Gullestickstoffs auf dem Grunland in Abhangigkeit vom Dungungsregime. Die Bodenkultur, 29(4):351-376.
Shin, K. S., W. J. Hwang, S. H. Lee, C. H. Kim, and Y. M. Yoon, 2012. Nutrient value and yield response of forage crop cultivated in reclaimed tidal land soil using anaerobic liquid fertilizer. Korean J. Organic Agri. 20(4):669-685.
Songin, W. 1985. The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content of nitrogen, phosphorous, potassium and calcium in the dry matter of rye and winter rye grown as winter catch crop, Herb. Abst. 55, 297.
Summerell, B. A. and L. B. Burgress. 1989. Decomposi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ereal straw. Soil Biol. Biochem. 21(4):551-559.
Yadav, R. L., B. S. Dwivedi, K. Prasad, O. K. Tomar, N. J. Shurpali, and P. S. Pandey. 2000. Yield trends, and changes in soil organic-C and available NPK in a long-term rice wheat system under integrated use of manures and fertilizers. Field Crops Research, 68(3):219-246.
Yang, C. H, S. B. Lee, T. K. Kim, J. H. Ryu, C. H. Yoo, J. J. Lee, J. D. Kim, and K. Y. Jung. 2008. The effect of tillage methods after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on silage barley growth and soil environment in paddy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41(5):285-292.
Yang, C. H, J. H. Lee, S. Kim, J. H. Jeong, N. H. Baek, W. Y. Choi, S. B. Lee, Y. D. Kim, S. J. Kim, and K. B. Lee. 2012. Study on forage cropping system adapted to soil characteristics in reclaimed tidal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5(3):385-3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