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해 연안정지관측 8개 지점(감포, 울기, 장기갑, 포항, 죽변, 동해(묵호), 주문진, 속초)에서 43년(1971-2013)간 조사한 표층수온을 이용하여 지역별 수온의 유사도에 따른 군집분석과 수온의 장기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온의 유사도에 의한 군집분석결과, 본 연구지역은 크게 그룹 A(동해, 주문진, 속초)와 그룹 B(감포, 울기, 장기갑, 포항, 죽변)로 구분되었다. 여기서 A 그룹의 속초와 B 그룹의 죽변, 포항, 감포를 중심으로 한 수온과 수온편차의 장기 변화에서 수온은 10년 규모의 변동을 보였다. 각 지역별 수온은 43년간 증가 경향을 보였고, 1988년을 기준으로 고수온기와 저수온기로 구분되었다. 각 지역에서 43년간 수온은 속초가 $2.26^{\circ}C$, 죽변이 $1.99^{\circ}C$, 포항이 $1.11^{\circ}C$, 감포는 $0.89^{\circ}C$ 각각 증가하였고, 지역적으로는 동해 남부에서 북부로 갈수록 수온의 증가 속도가 크게 나타났다. 계절별 수온의 증가는 추계와 동계의 경우 속초>죽변>포항>감포의 순이었고, 춘계와 하계는 죽변>속초>포항>감포의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variability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cluster analysis derived from in-situ data in the coastal oceanographic observation 8 stations (Sokcho, Jumunjin, Donghae, Jukbyeon, Pohang, Janggigab, Ulgi, Gampo) of the East Sea during 1971-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한난류가 북상하는 연안 해역을 따라 남북으로 위치하고 있는 연안정지관측 8개 지역에서 43년(1971-2013)간 조사한 표층수온의 유사도로 군집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동해 연안 대표지역에서 장기적인 수온의 월별 및 계절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해 연안정지관측 8개 지점에서 43년(1971-2013)간 조사한 표층수온을 이용하여 지역별 수온의 유사도에 따른 군집분석과 수온의 시계열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역별 수온의 유사도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본 연구해역은 크게 동해 중부해역인 그룹 A(동해, 죽변, 속초)와 남부해역인 그룹 B(감포, 울기, 죽변, 장기갑, 포항)로 구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에 따른 연도별 월평균 수온의 유사도분석을 위해서 자료를 어떻게 얻었는가? 지역에 따른 연도별 월평균 수온의 유사도분석(Similarity analysis)을 위하여 각각의 지역에서 연도별 매일 측정한 수온을 월별로 평균하여 유사도분석에 이용하였다. 먼저, 유사도분석에는 Bray-Curtis 지수(Bray and Curtis, 1957)를 사용하여 각 지역과 연도간의 수온 유사도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이 유사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군집분석은 PRIMER 6.
쓰시마난류는 어떻게 유입되고 유출하나? 쓰시마난류는 대한해협/쓰시마해협을 통하여 동해에 유입되어 대량의 열을 동해 내부에 수송하면서 쯔가루해협과 소야해협을 통해 태평양과 오호츠크해로 유출한다. 이 쓰시마 난류의 일부는 일본열도를 따라서 북상하는 연안분지류이고, 나머지는 한국의 동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로서 북위 38-41도 부근에서 동서로 분포하는 극전선(열전선)을 형성하면서 동북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쓰시마난류의 일부는 무엇이며 어디로 흐르는가? 쓰시마난류는 대한해협/쓰시마해협을 통하여 동해에 유입되어 대량의 열을 동해 내부에 수송하면서 쯔가루해협과 소야해협을 통해 태평양과 오호츠크해로 유출한다. 이 쓰시마 난류의 일부는 일본열도를 따라서 북상하는 연안분지류이고, 나머지는 한국의 동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로서 북위 38-41도 부근에서 동서로 분포하는 극전선(열전선)을 형성하면서 동북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한반도 연안은 대한해협/쓰시마해협을 통하여 유입된 동한난류는 한국 남동부의 연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고온고염의 해수를 북쪽으로 이동시키고, 러시아 연안을 따라서 남하하는 리만한류가 북한 부근에서 북한한류로 되면서 저온저염의 해수를 남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중간해역에서 두 해류가 만나면서 극전선을 형성한다(Kim and Kim, 1983; Isod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ay, J. R. and J. 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Vol. 27, pp. 325-349. 

  2. Choi, W., J. Jung and J. G. Jhun(2013), Characteristic Features Observed in the East-Asian Cold Anomalies in January.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3, No. 4, pp. 401-412. 

  3. Clarke, K. R. and R. M. Warwick(2001),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UK, p. 144. 

  4. Hirose, N., C. H. Kim and J. H. Yoon(1996), Heat Budget in the Japan Sea, Journal of Oceanography, Vol. 52, No. 5, pp. 553-574. 

  5. Hong, C. H., K. D. Cho and S. K. Yang(1984), On the Abnormal Cooling Phenomenon in the Coastal Areas of East Sea of Korea in Summer, 1981, Vol. 19, No. 1, pp. 11-17. 

  6. Isoda, Y., S. Saitoh and M. Mihara(1991), SST Structure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Sea,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54, ed. K. Takano, Elsevier, Amsterdam, pp. 103-112. 

  7. Kang, P. J., I. K. Young and W. N. Kim(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awang Bay, Korea, Algae, Vol. 23, No. 4, pp. 317-326. 

  8. Kato, K. and T. Asai(1983), Seasonal Variations of Heat Budgets in Both the Atmosphere and the Sea in the Japan Sea Area. Jounal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61, No. 2, pp. 222-238. 

  9. Kim, C. H. and K. Kim(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8, No. 1, pp. 71-83. 

  10. Kim, C. S., Y. S. Kim, H. G. Choi and K. W. Nam(2014), Variations of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rustose Coralline Algae at Gallam, samchuk,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nviron. Ecol., Vol. 28, No. 1, pp. 10-23. 

  11. Kim, Y. D., M. S. Park, H. I. Yoo, S. W. Kim and H. D. Jeong(2012),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s of subtidal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t three areas in the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1, No. 11, pp. 1407-1418. 

  12. Kim, S. W., W. J. Go, S. S. Kim, H. D. Jeong and K. Yamata(2010),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6, No. 4, pp. 345-352. 

  13. Lee, D. K., Kwon, J. I. and S. B. Hahn(1998), The wind effect on the cold water formation near Gampo-Ulgi coast. J. Korean Fish. Soc., 31, pp. 359-371. 

  14. Lee, J. C. and J. Y. Na(1985), Structure of Upwelling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Vol. 20, No. 3, pp. 6-19. 

  15. Lee, J. C.(1983), Variation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Wind-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J. Oceanogr. Soc. Korea, Vol. 18, Vol. 2, pp. 149-160. 

  16. Seung, Y. H.(1974), A Dynamic Consideration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August. J. Oceanogr. Soc. Korea, Vol. 9, No. 1-2, pp. 52-58. 

  17. Shon, C. H., C. G. Choi and H. G. Kim(2007),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Algae, Vol. 22, No. 1, pp. 45-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