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지난 41년간(1968-2008년) 정선해양관측점에서 관측한 수층별 수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동해, 서해 및 남해 해역의 표층수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0m 수층의 경우 남해해역은 상승하지만 동해해역은 오히려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 해역은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쓰시마난류의 강화로 인해 전 수층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전 수층에서 수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만드는 원인이라 생각된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하강의 경향은 주로 연안역의 하강 정도가 근해역의 상승정도보다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동해해역을 평균하면, 동해해역 전체적으로는 수온이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바람, 해류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이 중 기상요소인 풍속의 변동과 수온변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계절별로는 남해를 제외하고 동계의 상승률이 하계의 상승률보다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장기적인 수온상승은 주로 동계의 수온 상승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남해의 경우 하계의 수온 상승률이 동계의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쓰시마 난류의 세력 강화 및 중국대륙에서 유출되는 양자강수의 영향이라 생각된다. 우리나라 연안의 6개 관측점에서 관측한 기온과 풍속 자료 분석결과 점차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풍속이 약해지는 따뜻한 겨울이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풍속의 약화는 해양에서 표면혼합층의 수심이 얕아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표면혼합층의 두께가 얕아지게 되면 표층과 저층의 혼합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표층의 따뜻한 물이 저층으로 전달되는 양과 저층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전달되는 양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표층의 수온은 점차 상승하게 되며, 예전 표면혼합층과 저층의 경계층 수온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observed temperature data by the Serial Oceanography Investigatio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during last 41 years from 1969 to 2008 showed that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East, West and South Sea of Korea were clearly incre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상요소 중 기온과 풍속에 대해 장기적으로 관측한 자료 분석을 통해 기압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상청에서 관측하고 있는 우리나라 연안관측소 중연안 6개 지점(속초, 울릉도、부산, 제주, 목포 및 인천) 에서장기 관측한 기온과 풍속 자료를 사용하였다.
  • 변동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온 및 풍속과 같은 기상요소의 장기변동 분석을 통해 기상요소의 변동이 수온변동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첨단 해양탐사 시스템을 활용한 한반도 주변 해황변동 연구(RP-2010 -ME-039)'의 일부 결과이며, 열악한 조건에서도 묵묵히 해양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원들에게 지면을 빌려 감사를 표하고자 합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2008년)까지 관측한 정선 해양조사 수온 자료를 사용하여 과거와 비교한 최근 수온상승의 경향을 파악하고 해역별 상승정도는 물론 관측정점별 수온상승의 정도를 파악하여 연안역과 근해역의 변동 차이와 같은 공간적인 변동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온 및 풍속과 같은 기상요소의 장기변동 분석을 통해 기상요소의 변동이 수온변동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국립수산진흥원(2001), 한국해양편람 제4판, pp. 53-80. 

  2. 기상청 (2001), 한국의 기후표, p.623. 

  3. 정희동, 황재동, 정규귀, 허승, 성기탁, 고우진, 양준용, 김상우(2003), 한반도 근해 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화 추이,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9권 2호, pp. 59-64. 

  4. 황재동, 조규대, 정희동, 박성은(2003), 동중국해에서 양자강 유출량 변화에 따른 저염확산 수치실험,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9권 2호, pp. 53-57 

  5. Cox, J. D.(2000), Weather for Dummies, IDG Books Worldwide, Inc., pp. 268-271. 

  6. Hahn, S. D.(1997), Role of SST warming for living resources in Korean coastal waters. KODC Newsletter, 30, pp. 19-28. 

  7. Han, I. S., Y. S. Suh, K. T. Seong and W. J. Go(2008), Long-term change if temperature in relation to climate-induced conditions in the Korean Waters, Proc. 4th PEACE Ocean Science Workshop, pp. 24-25. 

  8. IPCC(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e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UK. p. 881. 

  9. Kang, Y. Q.(2000), Warming trend of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recent 60 years (1936-1995). J. Fish. Sci. Tech. 제3권 제3호, pp. 173-179. 

  10. Panagiotopoulos, F., M. Shahgedanova, A. Hannachi and D. B. Stephenson(2005), Observed Trends and Teleconnections of the Siberian High: A Recently Declining Center of Action, J. Climate 18, pp. 1411-1422. 

  11. Pond, S. and G. L. Pickard(1983) Introductory Dynamical Oceanography(2nd Ed), Pergamon Press Ltd., Headington Hill Hall, Oxford OX3 OBW, England, p. 329. 

  12. Richardson, A. J. and D. S. Schoernan(2004), Climate impact on plankton ecosystems in the Northeast Atlantic, Science 305(5690) pp. 1609-1612. 

  13. Zhang, C. I., J. B. Lee, S. Kim and J. H. Lee(2000), Climatic regime shifts and their impacts on marine ecosystem an fisheries resource in Korean water. Progress in Oceanography, 44: pp.17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