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복 횡하중을 받는 원형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Helical Bar 보강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 of Circular RC Columns by Helical Bar Under Cyclic Lateral Load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18 no.1, 2014년, pp.48 - 58  

김성겸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종권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한상희 (한라건설 해외사업본부) ,  김병철 (금호산업 토목사업팀) ,  장일영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992년 도로교설계기준의 내진설계도입 이전 규정에 따라 설계, 시공된 교각의 축소 모델을 실험체로 제작하여 원형기둥의 변위비에 따른 횡하중을 변위제어 방식으로 입력하여 준정적 방법을 통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적용한 보강재는 성능을 향상시킨 무기계 합금강인 Helical Bar로써 원형기둥 외부에 보강 후 실내실험을 통하여 파괴거동, 하중-변위 관계, 연성도 평가 및 에너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변수로는 위험단면 내에서 나선으로 보강한 보강재의 단면력의 크기와 나선보강의 간격, 보강형태로 두었으며, 준정적 실험을 통해 보강성능의 차이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보강대상 부재의 성능에 따라 적절한 보강재의 단면력 크기결정과 보강간격 및 형식의 선정이 필요하며 기계적 보강재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 피복으로의 치환으로도 보강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quasi-static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controlled (strain control) method tests on RC columns for seismic reinforcemen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seismic design and construction before 1992 design code for highway bridges in korea. Used reinforcement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용된 보강재의 경우 부식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 강의 한 종류인 Helical Bar로 니켈 (Ni)-크롬 (Cr) 합금강의 한 종류이며 형상이 갖는 특이성 때문에 붙혀진 이름이다. 기존의 STS316 강괴를 나선형으로 비틀은 형태로 금형하여 제작하였으며, 이는 시공 시 부착단면 증대와 보강재의 인성 향상을 목적으로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Helical Bar는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높은 인장강도와 양호한 연성, 인성을 나타내지만, 일반강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항복강도가 낮고, 항복비 (항복강도/인장강도)도 작기 때문에 냉간가공시 변형이 용이하다.
  • 지진발생시 외력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는 구조물의 성능은 내진실험에 의한 변위이력을 기반으로 이 때 하중으로부터 실제로 흡수 및 소산되는 에너지를 계산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소산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중-변위 곡선의 내부면적을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 따라서, 적용되는 보강재의 역학적, 물리적 특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기재료의 보강재와 달리 탄성계수 및 물리적 성질이 비슷한 무기계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보강으로 인한 재료의 분리, 탈락,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된 보강재의 경우 부식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 강의 한 종류인 Helical Bar로 니켈 (Ni)-크롬 (Cr) 합금강의 한 종류이며 형상이 갖는 특이성 때문에 붙혀진 이름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를 이용하여 기둥외부의 주요 구간에 횡하중에 대한 보강을 실시함으로써 내진과 같은 성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적용되는 보강재의 역학적, 물리적 특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량교각부의 소성영역에서 횡방향 철근은 지진시 어떤 역할을 하는가? 국내의 대부분의 교량이 내진설계편이 제정된 1992년 이전의 도로교설계기준의 설계규정에 따라 설계시공된 교량으로 내진설계에 대한 현재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교량교각부의 소성영역에서 횡방향 철근은 지진시 종방향 철근의 좌굴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저하를 방지하며, 전단보강철근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교각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횡방향 철근은 초기 설계에 의한 시공이 종료된후 기존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철근량을 증가하거나 단면의 변화를 주기에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국내의 대부분의 교량은 내진설계기준을 만족하는가? 이러한 내진설계는 신설된 시설물에는 적용되었으나, 1992년 내진설계의 도입 이전에 건설된 시설물의 대부분은 지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 및 시공되어 있으며, 사용 연수가 오래 경과하여 노후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다. 국내의 대부분의 교량이 내진설계편이 제정된 1992년 이전의 도로교설계기준의 설계규정에 따라 설계시공된 교량으로 내진설계에 대한 현재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교량교각부의 소성영역에서 횡방향 철근은 지진시 종방향 철근의 좌굴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저하를 방지하며, 전단보강철근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교각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킨다.
Helical Bar는 어떻게 제작되었나? 사용된 보강재의 경우 부식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 강의 한 종류인 Helical Bar로 니켈 (Ni)-크롬 (Cr) 합금강의 한 종류이며 형상이 갖는 특이성 때문에 붙혀진 이름이다. 기존의 STS316 강괴를 나선형으로 비틀은 형태로 금형하여 제작하였으며, 이는 시공 시 부착단면 증대와 보강재의 인성 향상을 목적으로 보강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Helical Bar는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높은 인장강도와 양호한 연성, 인성을 나타내지만, 일반강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항복강도가 낮고, 항복비 (항복강도/인장강도)도 작기 때문에 냉간가공시 변형이 용이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 S. G., So, G. H., Park, W. K. (2013), Investigation of Damping Ratio of Steel Plate Concrete (SC) Shear Wall by Lateral Loading Test & Impact Test,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EESK, 17(2), 79-88. 

  2. Chung, Y. S., Park, J. H., Park, H. S. (2002),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Enhancement of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by Pseudo Dynamic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22(3-a), 499-509. 

  3. Design Code for Highway Bridges in Korea (2010), Korea Road & Transportation Association, Appendix (in Korean). 

  4. Han, J. H., Park, C. K., Shim, C. S., Chung, Y. S. (2006), Seismic Performance Evalution of SRC Column by Quasi- Stattic Test,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EESK, 10(4), 85-94. 

  5. Jang, I. Y., Kim, S. S., Park, J. K., Kim, S. K. (2011), Anti-seismic Capacity Improvement of Bridge Pier by Nickelhrome Alloy B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11(5), 1-7. 

  6. Jeon, Y. C. (2001), A Study on the life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ocus on the neutralization of concrete and the corrosion of process of reinforcing ba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35-39. 

  7. Kim, J. B., Won, Y. S., Cho, C. H.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Rehabilitated with Epoxy-Bonded Steel Plat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SMI, 3(3), 269-277. 

  8. Kim, T. H., Lee, K. M., Chung, Y. S., and Shin, H. M. (2005), Seismic Damage Assessment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s, Engineering Structures, ES, 27(4), 576-592. 

  9. Lee, J. H. (2011), Evaluation of structural behavior of RC columns strengthened with high-strength steel bars, Sungkyunkwan University. 20-27. 

  10. M. J. N. Priestley, F. Seible, G. M. Calvi (1996), Seismic Design And Retrofit Of Bridges, John Willey and Sons, Inc., New York, 120-125 

  11. Reinhorn, A. M. (1997), Seismic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Pier with Carbon Fiber Sheet Retrofitting, Nonmetallic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JCI, l(1), 571-5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