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판과 가새로 보강된 무량판 구조물의 내진 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flat Plate Structures Retrofitted with Steel Plates and Brace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년도 정기 학술대회, 2008 Apr. 17, 2008년, pp.325 - 330  

신우승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진구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3- and 6-story flat plate structures designed only for gravity load are retrofitted with steel plates and braces and their seismic performances are evaluated to verify the effect of seismic retrof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nonlinear static analysis both the str...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간활용의 가변성과 시공성이 우수하여 최근 공동주택의 구조시스템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무량판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방법에 대하여 가새와 강판을 이용한 보강방법에 대하여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있다. 연구에서는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저층 무량판 구조물의 횡하중 저항성능을 평가하고, 현행 건축물 하중 기준(KBC 2005)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진하중을 만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강방법을 적용하고 그 성능을 비교 .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사용한 콘크리트의 설계강도는 21Mpa이고 철근의 항복강도는 300Mpa이다. 구조물의 비탄성 해석 과정에서 각 재료의 예상되는 최대강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는 21Mpa의 평균 압축강도인 28.67Mpa, 철근은 375Mpa을 사용하였으며, 철근의 항복후 강성비는 0.02로 가정하였다. 전단 보강 근에 의한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는 Mander의 제안식(Mander et al.
  • 5% 층간변위비를 성능점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전단내력비가 다른 경우에 적용의 한계가 있고 안전성을 고려하여 유효 층간 변위를 작게 평가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Hueste와 Wight(1999)가 제안한 부재의 한계회전각을 기준으로 전체 시스템의 응답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지점을 성능점으로 가정하였다. 구속된 철근콘크리트 기등의 파괴 여부는 Mander의 제안식(Mander et al.
  • , 1988)에 따라 한계변형률(ee)을 조사하여 판단하였다. 그리고 전단보강근이 없는 비구속 유효보(슬래브)의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이 0.003에 도달하면 파괴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 보강하였다. 보강에 사용된 강판의 두께는 부재의 모멘트-축력 재분배를 고려한 CFT기등으로 가정하고 단면 설계를 수행하였다. 표 1은 각 기등에 사용된 강판의 두께를 나타내었다.
  • 주기를 산정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1차모드의 주기가 기준의 약산식에 의한 주기의 1.2배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약산식의 1.2배인 0.31초와 0.51초를 각각 3층과 6층 구조물의 진동주기로 가정하였다. 산정한 지진하중에 대하여 보강방법은 그림 4에 도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