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과 하지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and Lower Limb Control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A Case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2 no.4, 2014년, pp.59 - 68  

김병욱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and lower limb control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2 patients who agreed with this rese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에 필요한 대동작기능 및 하지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총 4단계로 구성된 단계별 수중운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재 전후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 이 연구는 수중운동치료의 적용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에 필요한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한 실험 연구를 위해 진행한 선행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에게 적용한 수중운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대동작기능과 하지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수중보행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 목적에 따라 대동작기능 및 하지조절능력에 대한 변화를 분석 및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수중운동치료의 적용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에 필요한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기 위한 실험 연구를 위해 진행한 선행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에게 적용한 수중운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대동작기능과 하지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단계로 구성된 단계별 중재 프로그램을 통한 뇌성마비아동의 보행에 필요한 대동작기능과 하지조절능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미래의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아동이 가지는 자세반사 기전은 무엇인가? 뇌성마비아동은 운동발달이 지체되어 항 중력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몸체의 안정성과 운동성의 결여로 평형의 불균형을 유발하는 미발달된 자세반사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발달의 정체는 체간의 안정성과 운동성을 떨어뜨리고, 지나친 경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자세 긴장과 연합된 근 과긴장이나 저긴장으로 나타나며, 이는 근골격계의 비정상 발달을 초래하게 된다(정유선, 2010; Gudjonsdottir & Mercer, 1997).
뇌성마비아동의 보행 특징은 무엇인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독립적인 신체 이동 능력, 즉 보행 능력은 적절한 신체활동과 사회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오성근, 2011). 하지만 뇌성마비아동은 근육의 경직성 및 근력 약화, 근 수축의 부조화, 관절 변형 등으로 인하여 보행 시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보행 양상을 보이며(Crenna 등, 1992), 보폭의 감소, 보행 속도의 감소, 불안정한 보행 자세, 보행 시 과도한 에너지 소비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홍양자와 이경옥, 1997; 임형원, 2012).
현대의학의 발달에도 뇌성마비의 발생률이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 의학의 발달로 뇌성마비의 발생률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뇌성마비의 발생률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신생아학의 발달로 저체중이나 조산아 등 고위험 환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엄장수,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성훈, 배영현(2012).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수중운동 프로그램과 지상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학스포츠의학회지, 30(2), 116-122. 

  2. 성인영, 조성찬, 이남현(2002). 정상 발달 어린이의 월령에 따른 대동작 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26(4), 398-402. 

  3. 안지현(1998). 수중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 굴근 및 신근력과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엄장수(2013).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에서 장애의 부위와 정도에 따른 대동작기능측정과 상지기능 질 평가간의 상관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오성근(2011). 지면 기울기에 따른 다운증후군 아동 보행의 생체역학적 특성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이재학(2007). 수중치료를 통한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기 자세와 하지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임형원(2012). 보이타 치료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 보행 및 관절내 협응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정병국(2007). 수중재활운동 중재 방법이 경직성 뇌성마비아의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정유선(2010). 뇌성마비인의 운동효과.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조순자(2000). 수중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큰 운동기능에 미친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한창욱(2010). 수중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운동능력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홍양자, 이경옥(1997). 특수체육 : 뇌성마비인의 보행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6(1), 1413-1426. 

  13. Attermeier S(1998). The use of water as a modality to treat an infant with mild neurological dysfunction : A case report. Phys Occup Ther Pediatr, 3, 53-58. 

  14. Ballaz L, Plamondon S, Lemay M(2011). Group aquatic training improves gait efficiency in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33(17-18), 1616-1624. 

  15. Bumin G, Uyanik M, Yilmaz I et al(2003). Hydrotherapy for Rett syndrome. J Rehabil Med, 35(1), 44-45. 

  16. Crenna P, Inverno M, Frigo C et al(1992). Pathophysiological profile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d Sport Sci, 36(1), 186-198. 

  17. Cuhna MB(1996).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2 and 3 : Evolution of 50 patients with physiotherapy and hydrotherapy in a swimming pool. Arch Neuropsychiatr, 54(3), 402-406. 

  18. Dimitrijevic L, Aleksandrovic M, Madic D et al(2012). The effect of aquatic intervention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aquatic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Hum Kinet, 32, 167-174. 

  19. Donald AN(2004).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서울, 정담미디어. 

  20. Fowler EG, Goldberg EJ(2009).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selective voluntary motor control on interjoint coordination during gai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Gait & Posture, 29(1), 102-107. 

  21. Gudjonsdottir B, Mercer VS(1997). Hip and spin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usculoskeletal development and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 Phys Ther, 9(4). 179-185. 

  22. Hutzler Y, Chacham A, Bergman U et al(1998). Effects of movement and swimming program on vital capacity and water orient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 Med Child Neurol, 40(3), 176-181. 

  23. Kelly M, Darrah J(2005). Aquatic exercis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 Med Child Neurol, 47(12), 838-842. 

  24. Kisner C, Colby LA(2005). 운동치료총론. 서울, 영문출판사. 

  25. Mutch L, Alberman E, Hagberg B et al(1992). Cerebral palsy epidemiology :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Develop Med Child Neurol, 34(6), 547-551. 

  26.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1997).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29(1), 25-28. 

  27.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2000). 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80(10), 974-985. 

  28. Park MS, Kim SJ, Chung CY et al(2011). Prevarience and lifetime health care cost of cerebral palsy in South Korea. Health policy, 100(2-3), 234-238. 

  29. Retarekar R, Fragala-Pinkham M, Townsend EL(2009). Effects of aquatic aerobic exercise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 Single-subject design. Pediatr Phys Ther, Winter, 21(4), 336-344. 

  30. Ruoti KG, Cole AJ, Morris DM(1997). Aquatic rehabilitation. Philadelphia, Lippincot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