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중재활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 운동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atic Rehabilitation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3, 2015년, pp.35 - 42  

김병욱 (대덕구장애인종합복지관)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quatic rehabilitation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Subjects of this study, among the children who received the diagnosis cerebral palsy, for children total of 14 peo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다리에 대한 접촉을 줄이는 방법으로 근 긴장도의 이상 항진을 방지하고 운동 패턴의 경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의 수중운동 기법에 연구자가 재구성한 수중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동작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성마비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매주 주 3회 각 회당 30분씩 적용하여 대동작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을 검사하여 운동전후 비교를 통해 수중운동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수중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대동작 운동기능 능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성마비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주 3회 총 30분씩 적용 후 전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K-PBS를 이용하여 각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이 아동용 균형능력 평가도구는 학교, 집과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기능 활동의 수행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총 14항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의자에서 의자로 이동하기, 한 다리로 서 있기,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기, 뒤돌아보기,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어 올리기 등의 전체 14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임상 경험을 통해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수중재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중재한 후 대동작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중재 전과 후 결과를 비교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아동의 근긴장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뇌성마비아동은 중추신경계손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근육의 긴장도 증가를 보이는데(Mutch 등, 1992), 이런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는 불균형한 움직임 패턴을 만들고, 운동조절능력에 장애를 초래한다(Sharp & Brouwer, 1997). 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하지에 대한 접촉을 최대한 줄이는 것으로 근육과 관절에 있는 기계수용기들과 안뜰계에 대한 자극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항중력근의 긴장도가 완화될 수 있다고 하였다(Kesiktas 등, 2004). 또한 긴장도의 감소는 뇌성마비아동이 스스로의 신체 조절과 움직임 조절을 경험하는데 유리하며, 이 경험 자체가 행위능력과 인식의 확장을 가져오고, 개별적인 감각통로를 통해 자신의 신체를 알아가고 인식하여 행동에 대한 기능적 통합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하였다(Kiphard, 1994; 김은석, 2010).
수중재활프로그램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성마비아동의 근긴장도의 감소는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근 긴장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운동이 수중재활프로그램이다. 수중재활프로그램은 지상에서 수행하는 운동 중재 방법과 비교했을 때, 물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접근을 하게 해준다. 지상이나 수중의 모든 대상은 중력의 영향을 받지만 수중에서는 부력으로 인하여 중력의 영향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어 관절 손상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또한 부력은 Fair 등급 미만의 근력을 지닌 아동의 신체를 보조해주어 움직임을 더 쉽게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Kelly & Darrah, 2005). 또한 부력으로 인해 감소된, 근육과 관절에 있는 기계수용기들과 안뜰계에 대한 자극 때문에 항중력근의 긴장도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Kesiktas 등, 2004). 그 외에도 부력으로 인해 자세유지에 도움을 주어 운동기능에 손상이 있더라도 자세의 변화나 동작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Koury, 1996), 보다 많은 관절과 근육이 움직여 근육의 긴장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따뜻한 물에서의 운동은 이완 효과 및 통증 역치의 상승, 근육 경련의 감소로 인해 근긴장도를 낮춰줄 수 있어 효과적이라고 했다(Ruoti 등, 1997). 이처럼 수중재활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치료에 유용한 물리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뇌성마비아동의 근긴장도가 초래하는 것은 무엇인가? 뇌성마비아동은 중추신경계손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근육의 긴장도 증가를 보이는데(Mutch 등, 1992), 이런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는 불균형한 움직임 패턴을 만들고, 운동조절능력에 장애를 초래한다(Sharp & Brouwer, 1997). 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하지에 대한 접촉을 최대한 줄이는 것으로 근육과 관절에 있는 기계수용기들과 안뜰계에 대한 자극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항중력근의 긴장도가 완화될 수 있다고 하였다(Kesiktas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성훈, 배영현(2012).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수중 운동 프로그램과 지상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0(2), 116-122. 

  2. 고명숙, 이남현, 이정아 등(2008). 한글판 아동 균형척도 (Pediatric Balance Scale) 의 측정자 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5(1), 86-91. 

  3. 김은석(2010). 심리운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아동의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준홍(2007). 수중재활운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조성, 체력 및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시은(2010). 수중과 지상의 트레드밀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성인영, 조성찬, 이남현(2002). 정상 발달 어린이의 월령에 따른 대동작 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26(4), 398-402. 

  7. 손남희(2013). 수중운동과 지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이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재학(2007). 수중치료를 통한 체간 근력 강화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앉기 자세와 하지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이창균(2009). 수중 재활 운동이 중추 신경계 손상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정유선(2010). 뇌성마비인의 운동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천승철(2005). 점진적 수중저항운동이 뇌졸중 성인 편부전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최정남(2009). 수중재활운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정적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Attermeier S(1983). The use of water as a modality to treat an infant with mild neurological dysfunction: a case report. Phys Occup Ther Pediatr, 3(1), 53-57. 

  14. Ballaz L, Plamondon S, Lemay M(2011). Group aquatic training improves gait efficiency in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33(17-18), 1616-1624. 

  15. Becker BE(2009). Aquatic therapy: scientific foundation and clinical rehabilitation applications. Phys Med Rehabil, 1(9), 859-872. 

  16. Bleck EE(1975). Locomotor prognosis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7(1), 18-25. 

  17. Bobath K(1991). A neurophysi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Bumin G, Uyanik M, Yilmaz I, et al(2003). Hydrotherapy for Rett syndrome. J Rehabil Med, 35(1), 44-45. 

  19. Cunha MC, Oliveira AS, Labronici RHD, et al(1996). Spinal muscular atrophy type II (intermediary) and III (Kugelberg-Welander): evolution of 50 patients with physiotherapy and hydrotherapy in a swimming pool. Arq Neuropsiquiatr, 54(3), 402-406. 

  20. Drouin LM, Malouin F, Richards CL, et al(1996). Corelation betwee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gait spatio temporal measure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Dev Med Child Neurol, 38(11), 1007-1019. 

  21. Fragala-Pinkham MA, Smith HJ, Lombard KA, et al(2014). Aquatic aerobic exercis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intervention study. Physiother Theor Pract, 30(2), 69-78. 

  22. Getz M, Hutzler Y, Vermeer A, et al(2012). The effect of aquatic and land-based training on the metabolic cost of walking and motor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ISRN Rehabilitation 2012. 

  23. Gudjonsdottir B, Mercer VS(1997). Hip and spin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usculoskeletal development and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 Phys Ther, 9(4), 179-185. 

  24. Hutzler Y, Chacham A, Bergman U, et al(1998). Effects of a movement and swimming program on vital capacity and water orient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40(3), 176-181. 

  25. Kelly M, Darrah J(2005). Aquatic exercis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47(12), 838-842 

  26. Kesiktas N, Paker N, Erdogan N, et al(2004). The use of hydro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spasticity. Neurorehabil Neural Rep, 18(4), 268-273. 

  27. Kisner C, Colby LA(2005).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28. Kiphard EJ(1994). Psychomotorik in praxis und theorie. 

  29. Koury JM(1996). Aquatic therapy programming: Guidelines for orthopedic rehabilitation. Human Kinetics Publishers. 

  30. Mutch L, Alberman E, Hagberg B, et al(1992). Cerebral palsy epidemiology: where are we now and where are we going?. Dev Med Child Neurol, 34(6), 547-551. 

  31. Retarekar R, Fragala-Pinkham MA, Townsend EL(2009). Effects of aquatic aerobic exercise for a child with cerebral palsy: single-subject design. Pediatr Phys Ther, 21(4), 336-344. 

  32. Ruoti RG, Morris DM, Cole AJ(1997). Aquatic rehabilita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3. Salem Y, Jaffee Gropack S(2010). Aquatic therapy for a child with type III spinal muscular atrophy: a case report. Phys Occup Ther Pediatr, 30(4), 313-324. 

  34. Sharp SA, Brouwer BJ(1997).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78(11), 1231-1236. 

  35. Shumway-Cook A, Hutchinson S, Kartin D, et al(2003).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45(9), 591-602. 

  36. Thorpe DE, Reilly M, Case L(2005). The effects of an aquatic resistive exercise program on ambulatory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Aquat Phys Ther, 13(2), 21. 

  37. Wiley ME, Damiano DL(1998). Lower-extremity strength profiles in spastic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40(2), 100-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