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삼(丹蔘)이 뇌조직출혈 흰쥐의 혈액뇌관문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on Blood-Brain Barrier Impairment of ICH-Induced Rat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9 no.1, 2014년, pp.19 - 26  

박창훈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경혈학교실) ,  김연섭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경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MR) water extract against the cerebral hemorrhage and the blood-brain barrier (BBB) impairment in the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Method : ICH was induced by the stereotaxic intrastriatal in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에서 뇌출혈에 따른 뇌부종 억제 효과와 함염증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丹蔘이 혈액뇌관문의 손상에도 효과가 있으리라 유추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丹蔘의 뇌출혈에 의한 혈액뇌관문 손상에 미치는 丹蔘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선조체 내에 콜라겐 분해효소 (collagenase)를 주입하여 출혈을 유발시키고, 丹蔘 물 추출물을 3일간 경구 투여하여 뇌출혈 흰쥐의 뇌출혈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뇌출혈 크기는 ICH군에 비해 丹蔘추출물을 투여한 ICH+SMR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이에 저자는 뇌출혈에 의한 혈액뇌관문 손상에 미치는 丹蔘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선조체 내에 콜라겐 분해효소 (collagenase)를 주입하여 선조체 내에 출혈을 유발시키고, 丹蔘 물 추출물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뇌출혈 부위의 크기와 뇌조직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혈액뇌관문 손상을 관찰하고자 Evans blue 투과율과 투과량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염증반응을 살펴보고자 Myeloperoxidase (MPO)와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동시 발현을 면역형광 방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바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후 뇌출혈 부위의 크기와 뇌조직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고, 혈액뇌관문 손상을 관찰하고자 Evans blue 투과율과 투과량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염증반응을 살펴보고자 Myeloperoxidase (MPO)와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동시 발현을 면역형광 방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바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뇌관문의 손상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뇌손상에서 예후를 악화시키는 기전 중 하나가 혈액뇌관문 (Blood-Brain Barrier, BBB)의 손상이다2). 혈액뇌관문의 손상은 염증반응이나 세포괴사에 의해서 일어나며3), 손상으로 투과성이 증가되어 수분유입량이 증가하게 되면 뇌부종이 심해지고4), 단핵백혈구와 대식세포가 유입이 되면 염증 반응이 더욱 심화된다5). 중성백혈구는 TNFーα와 같은 염증 유발 cytokine와 protease의 분비를 통해 뇌출혈 이후 뇌손상에 영향을 주며, 중성백혈구의 감소는 뇌출혈 후 BBB의 붕괴, 축삭손상 및 염증을 감소시킨다6).
뇌실질내출혈의 특징은? 뇌실질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은 뇌졸중의 가장 위험한 질환 중 하나로, 발병 초기 높은 사망률을 가지고 있으며 사망에 이르지 않더라도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를 남긴다1). 뇌손상에서 예후를 악화시키는 기전 중 하나가 혈액뇌관문 (Blood-Brain Barrier, BBB)의 손상이다2).
丹蔘이 뇌조직출혈에서 혈액뇌관문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본 연구의 결론은? 1. 뇌출혈 크기는 丹蔘투여군이 ICH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뇌조직 수분함량은 출혈측 대뇌반구에서 丹蔘투여군이 ICH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Evans blue의 혈액뇌관문 투과율은 丹蔘투여군이 ICH 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Evans blue 투과량은 출혈측 대뇌반구에서 丹蔘투여군이 ICH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출혈 주변부에서 MPO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중성백혈구 침윤은 丹蔘투여군이 ICH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출혈 주변부에서 TNF-α 발현은 丹蔘투여군이 ICH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6. 출혈 주변부에서 MPO와 TNF-α 발현을 이중면역형광염색으로 관찰한 결과 TNF-α는 MPO 양성반응의 중성백혈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anaenko A, Chen H, Kammer J, Zhang JH, Tang J. Comparison Evans blue injection routes: Intravenous versus intraperitoneal, for measurement of blood-brain barrier in a mice hemorrhage model. J Neurosci Methods. 2011 ; 195(2) : 206-10. 

  2. Claassen J, Carhuapoma JR, Kreiter KT, Du EY, Connolly ES, Mayer SA. Global cerebral edema after subarachnoid hemorrhage: frequency, predictors, and impact on outcome. Stroke. 2002 ; 33 : 1225-32. 

  3. Abbott NJ. Inflammatory Mediators and Modulation of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Cell Mol Neurobiol. 2000 ; 20(2) : 131-47. 

  4. Simard JM, Kent TA, Chen M, Tarasov KV, Gerzanich V. Brain oedema in focal ischaemia : molecular pathophysiolog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Lancet Neurol. 2007 ; 6 : 258-68. 

  5. Alvarez-Diaz A, Hilario E, de Cerio FG, Valls-i-Soler A, Alvarez-Diaz FJ. Hypoxic-ischemic injury in the immature brain-key vascular and cellular players. Neonatology. 2007 ; 92 : 227-35. 

  6. Moxon-Emre I, Schlichter LC. Neutrophil depletion reduces blood-brain barrier breakdown, axon injury, and inflammation after intracerebral hemorrhage. J Neuropathol Exp Neurol. 2011 ; 70(3) : 218-35. 

  7. Kim HC. Herbal Pharmacology. Seoul : Jipmundang. 2001 : 332-4. 

  8. Herbology department of all-korea oriiental medicine colleges. Herbalogy. Seoul : Youngrimsa. 1995 : 419-20. 

  9. Yun HJ, Heo SK, Yun HJ, Park WH, Park SD. Anti-inflammatory effect Salviae Miltiorrhizae Radix. Kor J Herbology. 2007 ; 22(4) : 65-73. 

  10. Im NK. Antioxidative and antithrombotic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and it's bioactive components.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11. Yang SA, Im NK, Lee IS.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e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K J Food Sci Technol. 2007 ; 39 : 83-7. 

  12. Fana GW, Gaoa XM, Hong WG, Yan Z, Ju Z, Hua LM, Sua YF, Kanga LY, Zhanga BL.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anshinone IIA, an active component of TCM, are mediated by estrogen receptor activation and inhibition of iNOS.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9 ; 113(3-5) : 275-80. 

  13. Lee HG, Kim YS. Effects of Salvia Miltriorrhiza Radix on Neuronal Apoptosis following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Kor J Herbology. 2012 ; 27(3) : 89-94. 

  14. Shim HN, Seong KM, Moon SJ, Lee SH. The Effect of the Salvia miltiorrhiza on Axon Regeneration Following 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J Korean Oriental Med 2008 ; 29(2) : 47-59. 

  15. Song JH. Effects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on Brain Edema and iNOS Expression of ICH-Induced Rats. Kyunghee University East-West Medicine Graduate School. 2010. 

  16. Rosenberg GA, Mun-Bryce S, Wesley M, Kornfeld M. Collagenase 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Stroke. 1990 ; 21 : 801-7. 

  17. Del VJ, Camins A, Pallas M, Vilaplana J, Pelegri C.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blood-brain barrier integrity based on intracardiac perfusion of an Evans blue-Hoechst cocktail. J Neurosci Methods. 2008 ; 174(1) : 42-9. 

  18. Sin MG. Clinical Herbalogy. Seoul : Younlim Publishers. 1989 ; 372-4. 

  19. Lee SG, An DK, Sin MG, No SG, Lee YJ, Kim SH. Herbal Clinical application. Seoul : Sungbosa. 1990 ; 269-71. 

  20. Qureshi AI, Tuhrim S, Broderick JP, Batjer HH, Hondo H, Hanley D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N Engl J Med. 2001 ; 344 : 1450-60. 

  21. Norrving B. Cerebral hemorrhage. Cerebrovascula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Malden Mass : Blackwell Science. 1998 : 56. 

  22. Fogelholm R, Nuutila M, Vuorela AL. Primary intracerebral haemorrhage in the Jyvaskyla region, central Finland, 1985-89: incidence, case fatality rate, and functional outcom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2 ; 55 : 546-52. 

  23.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Intracerebral hemorrhage versus infarction: stroke severity, risk factors, and prognosis. Ann Neurol. 1995 ; 38 : 45-50. 

  24. Lyden PD, Zivin JA. Hemorrhagic transformation after cerebral ischemia: mechanisms and incidence. Cerebrovasc Brain Metab Rev. 1993 ; 5 : 1-16. 

  25. Qureshi AI, Tuhrim S, Broderick JP, Batjer HH, Hondo H, Hanley D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N Engl J Med. 2001 ; 344(19) : 1450-60. 

  26. Reese TS, Karnovsky MJ. Fine structural localization of a blood-brain barrier to exogenous peroxidase. J Cell Biol. 1967 ; 34 : 207-17. 

  27. Brown RC, Davis TP. Calcium Modulation of Adherens and Tight Junction Function : A Potential Mechanism for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After Stroke. Stroke 2002 ; 33 : 1706-11. 

  28. Abbruscato TJ, Davis TP. Combination of hypoxia/aglycemia compromises in vitro blood-brain barrier integrity. J Pharmacol Exp Ther. 1999 ; 289 : 668-75. 

  29. Banks WA, Jaspan JB, Kastin AJ. Effect of diabetes mellitus on the permeability of the blood-brain barrier to insulin. Peptides. 1997 ; 18 : 1577-84. 

  30. Kalaria RN. The blood-brain barrier and cerebrovascular pathology in Alzheimer's disease. Ann N Y Acad Sci. 1999 ; 893 : 113-25. 

  31. Huber JD, Witt KA, Hom S, Egleton RD, Mark KS, Davis TP. Inflammatory pain alters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and tight junctional protein expression. Am J Physiol. 2001 ; 280 : H1241-8. 

  32. Keep RF, Xiang J, Ennis SR, Andjelkovic A, Hua Y, Xi G, Hoff JT. Blood-brain barrier function in intracerebral hemorrhage. Acta Neurochir Suppl. 2008 ; 105 : 73-7. 

  33. Xi G, Keep RF, Hoff JT. Pathophysiology of brain edema formation. Neurosurg Clin N Am. 2002 ; 13 : 371-83. 

  34. Manaenko A, Chen H, Kammer J, Zhang JH, Tang J. Comparison Evans blue injection routes: Intravenous versus intraperitoneal, for measurement of blood-brain barrier in a mice hemorrhage model. J Neurosci Methods. 2011 ; 195(2) : 206-10. 

  35. Filep JG, El Kebir D. Neutrophil apoptosis: a target for enhancing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J Cell Biochem. 2009 ; 108(5) : 1039-46. 

  36. Malle E, Furtmuller PG, Sattler W, Obinger C. Myeloperoxidase: a target for new drug development?. Br J Pharmacol. 2007 ; 152(6) : 838-54. 

  37. Matsubara T, Pararajasegaram G, Wu GS, Rao NA. Retinal microglia differentially express phenotypic markers of antigen-pre-senting cells in vitro.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9 ; 40 : 3186-93. 

  38. Arvin B, Neville LF, Barone FC, Feuerstein GZ. The role of inflammation and cytokines in brain injury. Neurosci Biobehav Rev. 1996 ; 20 : 445-52. 

  39. Gearing AJ, Beckett P, Christodoulou M, Churchill M, Clements J, Davidson AH, Drummond AH, Galloway WA, Gilbert R, Gordon JL. Processing of tumour necrosis factor-alpha precursor by metalloprot-einases. Nature. 1994 ; 370 : 555-7. 

  40. Bethea JR, Gillespie GY, Chung IY, Benveniste EN.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nd receptor expression by a human malignant glioma cell line, D54-MG. J Neuroimmunol. 1990 ; 30 : 1-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