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정사(中國正史) 조선전(朝鮮傳)의 한국(韓國) 고대복식(古代服飾) - 관(冠)과 수발(修髮)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Through Official Chinese History - focusing on hat and hair style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1, 2014년, pp.106 - 122  

김진선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고부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official Chines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n(中國正史朝鮮傳) clothing and ornaments, and also tries to discover, study, and adjust the system of the ancient Korean clothing and ornaments. Ancient Korea has very poor official records of its clothing and ornaments. Therefore, t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제나 신라의 복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원은 무엇인가? 그러나 무엇보다도 유용한 자료원은 4~7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이며 이것은 백제나 신라의 복식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1)면서 고대복식 연구에 있어서 中國史書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기도 한다.
고려 시대에 편찬된 『三國史記』에서 고대복식 연구의 한계성을 노출시키는 점은 무엇인가? 韓國 古代服飾에 대한 문헌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고려 시대에 편찬된 『三國史記』에 복식관련 내용이 일부 있을 뿐이며 그 조차도 중국의 자료를 상당 부분 참고하였다는 것은 고대복식 연구의 한계성을 노출시키고 있다. 고대복식 연구는 미약한 國·內外 史料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서 주로 중국 측 기록을 많이 참조하고 있다.
조우관이 전 세계적으로 인류 역사가 시작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인류문화사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이유는? 鳥羽冠은 구석기 시대부터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시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다양하게 조우의 사용풍습이 존재한 사실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우관은 전 세계적으로 人類 역사가 시작되면서 자연현상적으로 발생한 人類文化史的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2)

  1. 高富子(1996), 한국복식사 연구의 출발점, 歷史와 現實, 19, pp. 243-244. 

  2. 中國史學史辭典(1985, 민국75년), 臺北: 明文書局, p. 79. 

  3. 史記漢書後漢書三國志晋書梁書魏書北齊書周書南史北史隋書舊唐書新唐書舊五代史. 

  4. 後漢書 卷八十五, 東夷列傳第七十五, 東夷傳. "或冠弁衣錦." 

  5. 魏書卷一百, 列傳第八十八, 高句麗傳. "頭著折風其形如弁旁揷鳥羽貴賤有差." 

  6. 後漢書卷八十五, 東夷列傳第七十五, 東夷傳. "大加主簿皆著?如冠?而無後." 

  7. 三國志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第三十, 高句麗傳. "大加主簿頭著?如?而無餘." 

  8. 南齊書卷五十八, 列傳第三十九, 高麗國傳. "冠折風一梁謂之?." 

  9. 梁書卷五十四, 列傳第四十八, 高句驪傳. "大加主簿頭所著似?而無後." 

  10. 南史卷七十九, 列傳第六十九夷貊下, 高句麗傳. "大加主簿頭所著似?而無後." 

  11. 金聲九(1996), 中國正史朝鮮列國傳用語解說및 註釋, 서울: 동문선, p. 229 

  12. 說文解字卷七巾部. "髮有巾曰?." 

  13. 方言, 四. "覆結謂之?巾或謂之承露或謂之覆?(今結籠是也)." 

  14. 後漢書志第三十與服下. "古者有冠無?... 秦雄諸侯乃加其武將首飾爲絳?以表貴賤. 其後稍稍作顔題. 漢興續其顔却?之施巾連題却服之今喪?是其制也名之曰?. ?者?也頭首嚴?也. 至孝文乃高顔題續之爲耳崇其巾爲屋合後施收上下?臣貴賤皆服也." 

  15. 華梅(1991), 中國服飾史, 朴聖實, 李秀雄역, 서울: 경춘사, p. 34. 

  16. 朴仙姬(2003), 韓國古代服飾그 原形과 正體, 서울: 知識産業社, p. 239. 

  17.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109. 

  18.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3. 

  19. 三國志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第三十, 高句麗傳. "其俗好衣?下戶詣郡朝謁皆假衣?自服印綬衣?千有餘人." 

  20. 後漢書卷八十五, 東夷列傳第七十五, 東夷傳. "或冠弁衣錦." 

  21. 後漢書卷八十五, 東夷列傳第七十五, 高句驪傳. "其小加著折風形如弁" 

  22. 三國志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第三十, 高句麗傳. "其小加著折風形如弁." 

  23. 梁書卷五十四, 列傳第四十八, 高句驪傳. "其小加著折風形如弁." 

  24. 魏書卷一百, 列傳第八十八高句麗傳. "頭著折風其形如弁旁揷鳥羽貴賤有差." 

  25. 北史卷九十四, 列傳第八十二高(句)麗傳. "人皆頭著折風形如弁." 

  26. 南史卷七十九, 列傳第六十九夷貊下, 高句麗傳. "其小加著折風形如弁." 

  27. 舊唐書卷一百九十九上列傳, 第一百四十九上, 東夷, 高(句)麗傳. "國人衣褐戴弁. 婦人首加巾?." 

  28. 新唐書卷二百二十, 列傳第一百四十五東夷, 高(句)麗傳. "庶人衣褐戴弁. 女子首巾?." 

  29. 釋名釋首飾. "弁如兩手相合?時也以爵韋?之謂之爵弁以鹿皮?之謂之皮弁以?韋?之謂之韋弁也." 

  30. 東洋學硏究所編(2003), 漢韓大辭典5권, 서울: 檀國大學校, p. 1. 

  31. 後漢書志第三十與服下. "爵弁一名冕廣八寸長二寸加爵(雀)形前小後大繪其上似頭色." 

  32. 後漢書志第三十與服下. 古者有冠無?其戴也加首?所以安物詩曰有?者弁此之謂也 

  33. 儀禮士冠禮鄭玄註. "冠無?(弁)者着?圍髮際結項中隅爲四綴以固冠也." 

  34.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 121. 

  35. 국립부여박물관 (2005), 백제인과복식, 충남: 국립부여박물관, p. 26. 

  36. 국립중앙박물관 (2005), 경주 황남동 출토 신라토우 영원을 꿈꾸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 p. 68. 

  37. 王圻(萬曆35年), 三才圖會卷4, 成文出版社, p. 1506. 

  38. 後漢書卷八十五, 東夷列傳第七十五, 高句驪傳. "大加主簿皆著?如冠?而無後其小加著折風形如弁." 

  39.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p. 188-190 

  40. 정완진, 이순원 (1994), 고구려관모연구, 服飾, 23, pp. 158-159. 

  41. 李瀷, 星湖僿說 卷五上 服飾門. "何謂折風 按靈樞經 風從西北來 名曰折風 卽立冬之候也似是催傷 萬物之義 此冠宜於冬寒故名也." 

  42. 강순제, 전현실 (2002), 고깔형 冠帽에 관한 硏究, 服飾, 52(1), pp. 117-128. 

  43. 金鎭玖(1995), 절풍의 연구, 복식문화연구, 3(1), pp. 4-11. 

  4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23. 

  45.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高(句)麗傳. "人皆頭著折風形如弁士人加揷二鳥羽. 貴者其冠曰蘇骨多用紫羅爲之飾以金銀." 

  46. 周書 卷四十九列傳 第四十一異域上, 高(句)麗傳. "丈夫衣同袖衫大口袴白韋帶黃革履. 其冠曰骨蘇多以紫羅爲之雜以金銀爲飾. 其有官品者又揷二鳥羽於其上以顯異之." 

  47.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p. 189-193. 

  48. 정완진, 이순원 (1994), 고구려관모연구, 服飾, 23, p. 160. 

  49. 정완진 (2012), 고구려 백라관의 형태비정, 동양학, 51, p. 8. 

  50. 金鎭玖(1995), 蘇骨과 骨蘇, 복식문화연구, 3(2), pp. 211-213. 

  51. 李龍範(1956), 高句麗人의 鳥羽揷冠에 대하여, 동국사학, 4(1), p. 5. 

  52. 이경희 (2009), 평양지역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묘주복식의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56, p. 288. 

  53.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21. 

  54. 翰苑 蕃夷部, 高(句)麗傳. "佩刀礪而見等威金羽而明貴賤...... 貴賤冠?而後以金銀爲鹿耳加之?上賤者冠折風." 

  55. 국립경주박물관 (2001), 신라황금, 서울: 국립경주박물관, p. 34. 

  56.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 175. 

  57. 진미희 (1993), 우리나라의 鳥羽揷冠과 思想的背景, 服飾, 21, pp. 130-142. 

  58. 金文子(2005), 고대 조우관의 원류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8(1), p. 64. 

  59. 三國志 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弁辰傳. "以大鳥羽送死其意慾使死者飛揚." 

  60. 後漢書志 第三十與服下. "武冠俗謂之大冠環纓無?以靑系爲?加雙?尾?左右謂?冠云..... ?者勇雉也. 其鬪對一死乃止故趙武靈王以表武士." 

  61. 許進雄(1993), 중국고대사회, 서울: 知識産業社, p. 49. 

  62. E. D. Phillips(1965), The Roral Hordes, London: Thames & Hudson, p. 122. 

  63. 沈從文(1997), 中國古代服飾硏究,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p. 136. 

  64. 沈從文(1997), 中國古代服飾硏究,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p. 76. 

  65. 隋書 卷八十一, 列傳 第四十六, 流求國. "白紵繩?髮從項後盤繞至額其男子用鳥羽?冠裝以珠貝飾以赤毛形製不同婦人以羅紋白布?帽." 

  66.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流求. "南女皆白紵繩??從項後盤繞至額其男子用鳥羽?冠裝以珠貝飾以赤毛形製不同婦人以羅紋白布?帽其形方正." 

  67. 新唐書 卷二百十七下, 列傳 第一百四十二下, 回?. "衣貂鹿皮貧者緝鳥羽?服其昏姻富者納馬貧者效鹿皮草根." 

  68. 宋楊侃輯, 兩漢博聞 卷二, '羽檄徵天下兵' ?帝紀十年. "師古曰檄者以木簡?書長尺二寸用?召也其有急事則加以鳥羽?之示速疾也魏武奏事云今?有警?露檄揷羽." 

  69.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110. 

  70.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82. 

  71.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40. 

  72. 黃能馥, 陣娟娟(1999), 中國歷代服飾藝術, 北京: 中國旅遊出版社, p. 156. 

  73. 徐光冀主編(2011), 中國出土壁畵全集1, 北京: 科學出版社, p. 16. 

  74. 민길자 (2000), 韓國傳統織物史硏究, 서울: 翰林阮, p. 11. 

  75.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1. 

  76.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22. 

  77.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22. 

  78. 박선희 (2002), 한국고대복식-그 원형과 정체, 서울: 지식산업사, pp. 252-258. 

  79. 손영종 (1997), 고구려벽화무덤의 묵서명과 피장자, 高句麗硏究, 4, p. 290. 

  80. 金貞培(1978), 안악 3호분 주인공 논쟁에 대하여, 古文化, 16, 1978. p. 25. 

  81. 천석근 (1986), 안악 제3호 무덤벽화의 복식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86(3), p. 26 

  82. 박진욱 (1990), 안악3호 무덤의 주인공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90(2), p. 3. 

  83. 이경희, 서영대, 조우현 (2007), 고구려와 중국의 武冠 비교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1), pp. 51-69. 

  84. 蔡秉瑞(1967), 安岳地方의 壁畵古墳, 白山學報, 2. p. 49. 

  85. 梁慶愛(1997), 三國時代支配階層服飾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50-55. 

  86. 孔錫龜 (1998), 安岳3號墳主人公의 冠帽에 대하여, 高句麗硏究, 5, pp. 189-191 

  87. 정완진 (2001), 袁台子墓벽화 주인공 복식에 관한 연구-고구려 복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복식, 51(5), pp. 95-111. 

  88. 이경희 (2009), 평양지역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묘주복식의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56, pp. 253-299. 

  89. 杉本正年(2013), 동양복식사, 조우현역, 서울: 민속원, p. 80. 

  90. 徐光冀主編(2011), 中國出土壁畵全集8, 北京: 科學出版社, p. 35. 

  91.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77. 

  92.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117. 

  93. 三國志 卷三十, 魏書三十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高句麗條. "漢時賜鼓吹技人常從玄?郡受朝服衣?高句麗令主其名簿." 

  94. 舊唐書 卷一百九十九上列傳, 第一百四十九上, 東夷, 高(句)麗傳. "婦人首加巾?." 

  95. 新唐書 卷二百二十, 列傳 第一百四十五東夷, 高(句)麗傳. "女子首巾?." 

  96. 國史編纂委員會編(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2,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p. 265. 

  97.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編(2003), 漢韓大辭典4 卷,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983. 

  98.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 170. 

  99. 柳喜卿, 金文子(2000), 韓國服飾文化史, 서울: 교문사, pp. 35. 

  100. 金元龍(1974), 壁畵, 서울: 同和出版公司, p. 57. 

  101.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204. 

  102. 金元龍(1974), 壁畵, 서울: 同和出版公司, p. 71. 

  103. 柳喜卿, 金文子(2000), 韓國服飾文化史, 서울: 교문사, pp. 96-99. 

  104.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216. 

  105.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百濟傳. "已出嫁則分爲兩道盤於頭上." 

  106.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新羅傳. "婦人?髮繞頸." 

  107.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p. 273-283. 

  108. 周書 卷四十九列傳 第四十一異域上, 百濟傳. "編髮盤於首." 

  109.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10. 

  110.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百濟傳; 隋書 卷八十一, 列傳 第四十六東夷, 百濟傳. "女?髮垂後." 

  111.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85. 

  112.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5. 

  113. 三國史記 新羅本紀 聖德王條. "美?." 

  114. 三國史記 新羅本紀 景門王條. "4尺5寸頭髮또는 3尺5寸頭髮." 

  115. 新唐書 卷二百二十, 列傳 第一百四十五東夷, 新羅傳. "男子?髮?冒以黑巾." 

  116. 金英淑, 金明淑(1999), 韓國服飾史, 청주: 淸州大學校出版部, p. 85. 

  117. 宋賢珠(1987), 우리나라 男性修髮의 變遷에 관한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25(1), pp. 21-26. 

  118. 李如星(1947), 朝鮮服飾考, 서울: 白楊堂, p. 276. 

  119. 史記 卷一百一十五, 朝鮮列傳 第五十五, 朝鮮傳. "滿亡命?結蠻夷服而東走出塞." 

  120. 漢書 卷九十五西南夷兩奧朝鮮傳 第六十五, 朝鮮傳. "椎結蠻夷服." 

  121. 三國志 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濊傳. "燕人衛滿椎結夷服." 

  122.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203. 

  123. 朝鮮畵報社編(1986), 高句麗古墳壁畵, 東京: 朝鮮畵報社, 도판 211. 

  124. 後漢書 卷八十五, 東夷列傳 第七十五, 韓傳馬韓條. "大率皆魁頭露?布袍草履." 

  125. 三國志 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韓傳. "魁頭露?如炅兵衣布袍足履革."  

  126. 晋書 卷九十七列傳 第六十七, 馬韓傳. "其男子科頭露?衣布袍履草?." 

  127. 金容文(2003), 壁畵에 나타난 高句麗의 머리모양과 化粧文化, 高句麗硏究17輯, p. 86. 

  128. 三國志 卷三十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弁辰傳. "衣服?淸長髮." 

  129. 宋賢珠(1987), 우리나라 男性修髮의 變遷에 관한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25(1), p. 27. 

  130. 新唐書 卷二百二十, 列傳 第一百四十五東夷, 新羅傳. "男子?髮?冒以黑巾." 

  131. 後漢書 卷八十五, 東夷列傳 第七十五, 韓傳州胡國條. "其人短小?頭衣韋衣有上無下." 

  132. 三國志 卷三十, 魏書三十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韓傳. "又有州胡在馬韓之西海中大島上其人差短小言語不與韓同皆?頭如鮮卑但衣韋. 其衣有上無下略如裸勢."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