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댐의 건설은 유황의 변동과 유사의 흐름을 차단하기 때문에 하천의 수리학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댐의 건설이 댐 하류의 어류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준정류 모형이 흐름모의에 사용되었으며, 물리 서식처 분석을 위해 HSI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리모형은 유사이송에 의한 이동상 모의가 가능하다. 유량 시나리오를 통해 댐 건설 전과 후의 피라미에 대한 어류 서식처 조건을 분석하였으며, 모의 결과 댐 건설 후 발전방류로 인하여 피라미의 서식처가 악화되는 빈도가 늘어났다. 또한 댐 하류로부터의 침식이 예측되었다. 이는 상류의 유사량 공급의 차단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장기적인 변화이다.
Dam construction changes flow regime and stream morphology in the downstream reach. These affect the ecosystem of downstream reach. This study provides the assessment of the impact of dam construction on the downstream fish habitat. For this, physical habitat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he quasi-steady model is used for hydraulic simulation, The hydraulic model used in the present study is capable of simulating the morphological change due to sediment transport. The change of the fish habitat condition is investigated using the flow scenarios before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habitat suitability decreases frequently due to hydropeaking after dam construction. In addition, erosion is expected to occur in a reach downstream of dam. This is a long term effect due to the shut-down of sediment supply from the upstream reach.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 |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은 무엇인가? |
하천의 수생태계를 평가하기 위해 1980년대 초 미국 어류 및 야생동식물보호국 (U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서 제시한 방법이다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 (PHABSIM: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은 하천의 수생태계를 평가하기 위해 1980년대 초 미국 어류 및 야생동식물보호국 (U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서 제시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크게 흐름모의와 서식처모의로 구성이 되며, 서식처모의는 대상어종에 대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여 구한다. |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 |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
크게 흐름모의와 서식처모의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 (PHABSIM: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은 하천의 수생태계를 평가하기 위해 1980년대 초 미국 어류 및 야생동식물보호국 (U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서 제시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크게 흐름모의와 서식처모의로 구성이 되며, 서식처모의는 대상어종에 대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여 구한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각 물리적 변수에 대해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1은 가장 좋은 적합도를 의미한다. |
서식처 적합도 지수 | 물리서식처 모의 시스템에서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각 물리적 변수에 대해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1은 가장 좋은 적합도를 의미한다
이 방법은 크게 흐름모의와 서식처모의로 구성이 되며, 서식처모의는 대상어종에 대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여 구한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각 물리적 변수에 대해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1은 가장 좋은 적합도를 의미한다. 가중가용면적, 그리고 수리학적 서식처 적합도 (HHS: Hydraulic Habitat suitability)는 다음과 같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