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내성천에서 영주댐 운영전 어류 군집구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before the Dam Operation in the Naeseong Stream,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4 no.1, 2017년, pp.34 - 43  

원종서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석현 (클림슨대학교)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의 지류하천인 내성천은 전형적인 모래하천으로 고유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2016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영주댐에 의하여 내성천의 댐 하류에서 하상의 변화와 이에 따른 어류상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모래하천인 내성천에서 어류의 서식환경, 생물상 및 군집구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공사중인 영주댐 하류와 대조지소로서 서천에서 하천 환경을 조사하고 어류를 채집하였다. 내성천에 영주댐이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댐 직하류에서 하상 재료의 입경 크기가 증가하였다. 영주댐이 운영되기 전 내성천에서는 피라미가 우점하였고, 조사지점에 따라서 끄리, 쉬리, 참마자, 모래무지가 아우점하였다. 내성천에서는 모래 하상에서 특이하게 서식하는 누치, 참마자, 모래무지, 흰수마자, 기름종개, 대동갱이가 발견되었다. 내성천의 영주댐 하류에서 어류 군집는 하상 재료의 입경에 따라서 돌마자, 쉬리, 꺽지 등의 자갈 하상 어종 출현 군집과 누치, 기름종개, 흰수마자 등의 모래 하상 어종 출현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들 군집은 영주댐 건설 이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 모래 하상 어류 군집에서 자갈 하상 어류 군집으로 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영주댐 하류 하천에서 환경과 어류상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모래하천의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eseong Stream as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has conserved the uniqu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typical sand-bed stream ecosystem. However, it is expected to change the stream bed environments and then the fish fauna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after the operation of the Yeongju Dam from 2...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모래하천인 내성천에서 영주댐 운영 이후에 어류상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기초선 (baseline)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영주댐이 건설 중인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댐 하류 하천에서 댐 운영이전에 어류의 생물상과 군집구조 및 서식 환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국내 모래 하상 어류의 서식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의 모래하천에서는 골재채취, 댐 건설, 하천정비 등의 다양한 교란에 의하여 모래 하상 어류의 서식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Lee et al. 2013, 2015).
영주댐 축조 과정에서 내성천의 어류 군집 변화는? 그러나 영주댐이 축조되는 과정에서도 내성천에서 어류 군집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모래 하상에 서식하는 기름종개와 흰수마자는 감소하고 자갈 하상에 서식하는 꺽지와 쉬리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Fig. 4).
모래 하상 서식 어류의 특성은? 2006). 즉 이들은 모래 하상에서 위장 색을 띄거나 은신 행동을 하며, 부착 조류나 유기물을 걸러먹거나 가만히 있다가 (sit-and-wait) 포식하는 특성을 갖는 경우가 많다. 결국 이런 특성을 갖는 어류는 서식지인 하상 구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bour, M.T., Gerritsen, J., Snyder, B.D. and Stribling, J.B.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2. Bednarek, A.T. 2001. Undamming rivers: a review of the ecological impacts of dam removal. Environmental Management 27(6): 803-814. 

  3.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4): 325-349. 

  4.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67(2): 477-504. 

  5. Kang, G.H. and Lee, W.S. 2015. Introduction of Yeongju Multipurpose Dam construction project. Water for Future 48(3): 63-70. (in Korean) 

  6. Kang, Y.H., Kim, S.K., Hong, G.-B and Kim, H.-S. 2011. Change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Naeseong Stream around the planned Yeongju D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4(2): 226-238. (in Korean) 

  7. Kim, I.S and Park, J.Y.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sa, Seoul, Korea. (in Korean) 

  8. Kim, I.S, Choi, Y., Lee, C.R.,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Seoul, Korea. (in Korean) 

  9. Kim, S.K. and Choi, S.U. 2015. Simulation of change in physical habitat of fish using the mobile bed model in a downstream river of dam.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4): 317-323. (in Korean) 

  10. Lazorchak, J.M., Klemm, D.J. and Peck D.V. 1998.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Surface Waters: Field Operations and Methods for Measuring the Ecological Condition of Wadeable Stream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1. Lee, C.J., Chung, S.J. and Hwang, S.Y. 2013. Study on the monitoring of the changes in landform and riparian vegetation of sand-bed stream before the dam construction: in the case of Naesung Stream before the dam construction. 46(5): 120-127. (in Korean) 

  12. Lee, C.J., Kim, J.S., Kim, K.H. and Shin, H.S. 2015. Analysis on fluvial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past and present data for river restoration: an application to the Miho River and the Naesu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3): 169-183. (in Korean) 

  13. Lee, G.R., Cho, Y.D., Kim, D.S., Kim, J.S., Jeong, W.H., Cho, H.J. and Yun, K.H. 2010. A study on geomorphic environments and sediments of channels at Naeseongcheon River in Gyeongpoo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2): 85-99. (in Korean) 

  14. Na, J.Y., Choi, B.S., Hwang, S.C. and Yang, H. 2015. Augmentation and monitoring of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in Naeseongcheon Stream,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3): 216-223. (in Korean) 

  15. Oksanen, J., Blanchet, F.G., Kindt, R., Legendre, P., Minchin, P.R., O'Hara, R.B., Simpson, G.L., Solymos, P., Stevens, M.H.H. and Wagner, H. 2015.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http://vegan.r-forge.r-project.org. Assessed 1 August 2015. 

  16. Pielou, C.E. 1975. Ecology Diversity. Wiley, New York, USA. 

  17. R Development Core Team. 2013.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Assessed 1 March 2015. 

  18.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and 623-656. 

  19. Yang, H.J. and Kwon, O.T. 1992. On the ichthyofauna and ecological survey of freshwater fishes in the Naes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6(1): 15-29. (in Korean) 

  20. Yoon, S.J., Choi, J.K. and Lee, H.G. 2014.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3): 302-313. (in Korean) 

  21. Zuanon, J., Bockmann, F.A. and Sazima, I. 2006. A remarkable sand-dwelling fish assemblage from central Amazonia, with comments on the evolution of psammophily in South American freshwater fishes. Neotropical Ichthyology 4(1): 10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