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 예측 모형
A Predictive Model of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1, 2014년, pp.1 - 10  

송희승 (단국대학교 병원 간호부) ,  신희선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중심으로 탐색하여 영향요인들을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일개 도시의 3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6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chi}^2$-test, ANOVA를 시행하였고, 가설적 모형 검정은 AMO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GFI: .956, AGFI: .927, CFI: .953, RMSEA: .056, SRMR: .023으로 지지되었다. 모형에서 설정된 10개의 경로 중 6개의 경로가 지지되었다. 즉, 부모 양육태도에서 자아존중감으로, 부모양육태도에서 스트레스로, 부모 양육태도에서 스트레스 대처로, 부모양육태도에서 문제행동으로, 자아존중감에서 스트레스로, 자아존중감에서 문제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지지되었다.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 것은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며 양육태도는 총 효과를, 자아존중감은 직접효과와 총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문제행동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고취시키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and test a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368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 3 elementary schools in 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ararus & Folkman (1984) 의 스트레스-대처 모형을 개념 틀로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문제행동과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구성된 모형을 구축한 후, 실제적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한 모형의 적합 정도와 모형에서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서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관련 변수들을 탐색함으로써 문제행동 감소 및 건강한 성장 · 발달 도모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위해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와 문제행동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와같이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 발생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문제행동과 관련된 예측 변수를 규명하는 연구가 드물어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기반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 발생 주요 관련 변수를 포함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 검증을 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0.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는 낮을 것이다.
  • 가설 9. 아동의 스트레스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는 높을 것이다.
  • 가설 8. 아동의 스트레스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점수는 낮을 것이다.
  • 가설 4. 양육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행동 점수는 낮을 것이다.
  • 가설 3. 양육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점수는 높을 것이다.
  • 가설 2. 양육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 점수는 낮을 것이다.
  • 가설 1. 양육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높을 것이다.
  • 가설 7.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문제행동 점수는 낮을 것이다.
  • 가설 6.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점수는 높을 것이다.
  • 가설 5.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의 스트레스 점수는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 아동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이유는? 학령기 아동은 부모와 관련된 문제, 다른 또래 아동들과의 상호작용 속에 발생되는 친구 문제, 학교생활에서의 적응, 학업문제 및 방과후 생활 등 내 · 외적 어려움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아동의 정서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 Choi, 2006).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은 학령기 후기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의 아동은 빠른 신체적 성장과 생리적 변화에 민감하고 부모 또는 타인의 요구나 기준에 학령전기 아동에 비해 덜 절대적이며 문제행동을 보이기도 한다(Wong, Wilson, Hockenberry-Eaton, Winkelstein, & Schwartz, 2003).
학령기 후기 아동의 특징은? 학령기 아동은 부모와 관련된 문제, 다른 또래 아동들과의 상호작용 속에 발생되는 친구 문제, 학교생활에서의 적응, 학업문제 및 방과후 생활 등 내 · 외적 어려움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아동의 정서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 Choi, 2006).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은 학령기 후기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의 아동은 빠른 신체적 성장과 생리적 변화에 민감하고 부모 또는 타인의 요구나 기준에 학령전기 아동에 비해 덜 절대적이며 문제행동을 보이기도 한다(Wong, Wilson, Hockenberry-Eaton, Winkelstein, & Schwartz, 2003). 전국의 6,923개의 아동청소년 가구를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가족부의 한국 아동 청소년 종합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아동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문제행동 비율이 증가함을 보고 하였으며(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고학년 아동이 저학년에 비해 문제행동이 많음을 보고하였다.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그동안 문제행동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위한 연구들이 시행되어 왔는데 Moon (2011) 등 여러 연구에서 문제행동의 원인이 부모의 양육태도 방식에 있다고 하였으며,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기본적인 주변 환경인 부모와의 관계가 올바르지 못하고 부정적인 경우 아동이 문제행동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 외에 문제행동의 원인들로서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가정, 친구, 주변환경, 학교,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 적극적이지 못한 스트레스 대처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데 선행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증가하며(Shin, Kang, & Lee, 2007),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아동에게서 행동문제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Shim & Kim, 2011). 또한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과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보았을 때 적극적 대처행동을 하는 아동은 공격성 문제행동이 더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im & Kwo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2. Bulanda, R. E., & Majumdar, D. (2009).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 and adolescent self- esteem. The Journal of the Child and Family Studies, 18, 203-212. http://dx.doi.org/10.1007/s10826-008-9220-3 

  3. Byrne, B. M. (199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Choi, M. K. (2010). The relations of children's stres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10), 65-75. http://dx.doi.org/10.6115/khea.2010.48.10.065 

  5. Ham, M. Y., Kim, H. Y., & Jeon, M. S. (2007). The relationship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ir self-esteem.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11, 15-21. 

  6. Han, M. H., & Yoo, A. J. (1995).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scale for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 49-64. 

  7. Han, M. H., & Yoo, A. J. (1996).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17(1), 173-188. 

  8. Jang, Y. A., & Lee, Y. J. (2011). Communication among parents and children: Effects on marital conflict and on children's str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3), 183-205. 

  9. Kim, H. G., & Choi, J. H. (2006). Type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relationship of such communication with delinquent behaviors.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13(1), 57-79. 

  10. Kim, J. H., & Kwon, Y. H. (2010).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genderspecific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3), 1-13. http://dx.doi.org/10.6115/ khea.2010.48.3.001 

  11. Kim, K. J. (1985).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perceive parental attitudes on self-concep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3(2), 35-52. 

  12. Kwon, M. K., Kim, H. W., Ahn, H. Y., & Lee, J. W. (2005).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problem conduct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1), 132-141. 

  13.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4. Lee, M. L., & Choi, Y. J. (2007). Moderating effects of adolescent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violent behavior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5(2), 57-65. 

  15. Lee, S. M. (1990). A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Seoul: Seongwonsa. 

  16. Liu, Y., Park, I. S., & Moon, Y. S. (2010). Effects of perception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and stress among school-aged children-Th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4), 334- 343,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4.334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May). The 2008 Korea child-youth total actual condition surve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January 1). social services. Retrieved April 28, 2013, from http://www.socialservice.or.kr/user/htmlEditor/ rssi/view2.do?p_sn9 

  19. Min, H. Y., & Yoo, A. J. (1998).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7), 83-96. 

  20. Moon, Y. S. (2011). Effects of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 abus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 in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1), 22-30.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1.22 

  21. Nam, S. H., Choi, H. S., Jeon, J. H., Shin, J. D., Jung, H. S., Lee, K. J., et al. (2011). The 2011 Korea welfare panel survey: Descriptive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11-212. 

  22. Oh, K. J., & Kim, Y. A. (2010). Manual for the ASEBA school-age forms. Seoul: HUNO. 

  23. Park, J. A., & Chung, M. J. (2001). Relationships between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22(3), 107-122. 

  24. Rosenberg, M. J.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Shim, E. S., & Kim, Y. H. (2011). Externalizing-internalizing problems and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automatic though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4), 97-119. 

  26. Shin, Y. H., Kang, K. H., & Lee, S. J. (2007).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6(4), 289-303. 

  27. Wong, D. L., Wilson, D., Hockenberry-Eaton, M., Winkelstein, M. L., & Schwartz, P. (2003).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6th ed.). New York: Mosby Publishing Company. 

  28. Yahav, R.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ing style and internal and external symptom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3(4), 460-471. http://dx.doi. org/10.1111/j.1365-2214.2006.00708.x 

  29. Yoon, H. M. (2005). Effects of economic strain and family conflict on children's adjustment: Focused on interaction effects of children's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3), 133-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