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래동요의 분석 준거 연구
An Analysis of the Criteria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1, 2014년, pp.95 - 109  

권대원 (동국대학교 유아교육과) ,  조진희 (성덕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말과 노래와 놀이가 통합된 종합 예술로서의 한국 전래동요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준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 준거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전문가들은 유아교육및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응답들은 spss 12.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2회에 걸친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노랫말, 음악, 연행의 대분류 3항목, 그에 따른 하위분석 준거 중분류 11항목, 소분류 33개 항목이 분석 준거로 확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analyz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 survey of opinions on the analysis criteria was conducted two times with 30 experts involv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related field as the primary target. The SPSS 12.0 program was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 조사의 목적은 분석 준거의 대분류와 중분류가 올바르게 선정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각 대분류에 맞게 중분류가 선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즉, 1차 조사는 전래동요에 대한 분석준거로서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들에서 제시한 대분류 항목과 중분류 항목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문항들로 구성하였으며, 각 항목들이 전래동요의 분석 준거로서 중요한 정도를 고려하여 해당되는 점수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전래동요를 현대의 아이들에게 접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오랜 세월 전승되면서도 변하지 않은 기본 구조인 전래동요의 원형(原型) 파악하기위한 통합적, 객관적 ‘분석 준거’마련이 그 목적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한국 전래동요의 특징들을 분석하는 분석준거는 어떠한가이다.
  • 아울러, 한국 전래동요의 분석 준거로서 위에 제시되지 않은 항목이 있거나 분석 준거로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기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른 전문가 조사 결과 전래동요를 구성하는 대분류 항목 영역으로 노랫말, 음악, 연행, 놀이 영역을 선정하였으며 그리고 중분류 항목 영역으로 노랫말은 주제, 구성, 표현방식, 음악은 선율과 장단 , 연행방식은 목적, 도구, 집단, 공간, 놀이는 동작, 언어,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말과 노래와 놀이가 통합된 종합 예술로서의 한국 전래동요를 분석하기 위한 통합적 분석 준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전래동요 프로그램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한국 전래동요 이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말과 노래와 놀이가 통합된 종합 예술로서의 한국 전래동요를 분석하기 위한 통합적 분석 준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전래동요 프로그램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한국 전래동요 이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 구비문학이 유아교육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글보다는 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어린이들은 어른들과 구별되는 고유의 ‘말의 문학’을 지니고 있었으니 어린이의 이야기와 노래를 일컬어 ‘어린이 구비문학’이라 한다(신동흔, 2007). 어린이 구비문학은 창작, 향유, 전승에 있어서 ‘어린이’가 행위의 주체이다. 다시 말해 어린이들 속에서 창작되어 전승되고 향유되며 계승된 노래로, ‘아동중심의 문학’이라는 점에서 유아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된 전래동요 분석준거 대분류 세 가지 항목은 무엇인가? 첫째, 2회에 걸친 전문가 의견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노랫말, 음악, 연행의 대분류 3항목이 전래동요 분석준거로 확정되었다. 이는 전래동요의 음악 양식은 아동의 경험과 놀이가 즉흥적으로 표현된 결과물이라는 모형오(2010)의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한다.
전래동요 하위 분석 준거에 가창 방식이 포함된 이유는 무엇인가? 분석 준거로서 제재를 포함시킨 것은 전래동요가 다양한 소재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으로, 유아교육 현장활용시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가창방식이 포함된 것은 전래동요의 가창방식이 제창 또는 선후장으로 전개되는 교환창이 많아서 그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강혜인(2006). 한국전래동요의 음악문화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강혜진(2004). 한국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기현(1988). 전승동요의 갈래구분. 인문과학, 4(1), 57-72. 

  4. 김대행(1979). 한국 시가 구조 연구. 서울: 삼영사. 

  5. 김세희(1994). 한국 전래동요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숙경(2006). 한국전통문화와 구전 전래놀이 노래. 서울: 동문사. 

  7. 김연주?조복희(2012).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27-61. 

  8. 김영돈(1982). 구비전승. 서울: 고려대 민속문화연구소. 

  9. 김영숙(2003). 전래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영희(1982). 유아의 기초적 음악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인숙(2009). 한국 전래동요의 개념과 범주: 부녀요와 동요의 관계에 주목하여. 동양음악, 31, 15-50. 

  12. 김진영(2010). 유아와 함께 노래부르기. 서울: 교문사. 

  13. 김헌선, 시지은(2007). 어린이들의 생활 문화와 민요. 구비문학 연구, 25, 141-180. 

  14. 김혜정(2010).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향. 국악교육연구, 4(1), 56-79. 

  15. 나승만(1977). 한국 유희사 연구. 서울: 백상문화사. 

  16. 남미경(2004). 전래동요 지도가 발달 장애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모형오(2010)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한국민요학, 30, 179-223. 

  18. 민경희(2005). 전래동요를 통한 수학적 탐구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명숙(1998). 취학전 아동이 애창하는 동요에 관한 연구. 강남대 인문과학논집, 6, 209-236. 

  20. 박성순(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용미, 김경숙(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장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35, 1-26. 

  22. 박형신(2009). 유아기 국악교육의 현장적용 방안. 한국열린 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61-80. 

  23. 석용원(1982). 아동문학원론. 서울: 동아학연사. 

  24. 손동인, 정동화(1987). 구비문학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대논집, 3(1), 1-68. 

  25. 신동흔(2007). 어린이의 삶과 구비문학, 과거에서 미래로. 구비문학연구, 25, 1-21. 

  26. 안재신(2005). 유아 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7. 안지애(2002). 영아기 전래놀이 노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엄은나, 강정원, 박성희(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 유아교육연구, 13(2), 285-304. 

  29. 오영희, 김주현(2005). 전래놀이 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9(3), 127-149. 

  30. 유영희, 곽정인(2012). 유아문학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3(1). 107-130. 

  31. 이경우, 이은화, 김세희, 이승연, 전지형(1994). 한국 전래동요의 재 발굴 및 통합적 활용에 대한 연구. 인간발달, 22, 1-83. 

  32. 이보형(1996). 장단의 여느 리듬형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박자구조연구- 원형태 성악곡을 중심으로. 국립민속국악원 논집, 8(1), 12-23. 

  33. 이재복(2004). 우리 동요, 동시 이야기. 서울: 우리교육. 

  34. 이창식(1999). 한국의 유희민요. 서울: 집문당. 

  35. 임동권(1980). 한국민요연구. 서울: 이우. 

  36. 장완수, 최미숙(2012).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365-382. 

  37. 전원범(1995). 한국 전래 동요 연구. 서울: 바들산. 

  38. 조동일(1970). 서사민요연구. 계명대학교. 

  39. 조진희(2012). 유아를 위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기준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 8(5), 251-272 

  40. 좌혜경(1991). 한국 전승동요의 연구. 한국민요학, 1, 148-172. 

  41. 편해문(2002). 옛 아이들의 노래와 놀이 읽기. 서울: 박이정. 

  42. 편해문(2007).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에게 돌려주는 길 찾기. 구비문학연구, 25, 183-217. 

  43. Andrews, J. H.(1988). Poetry: Tool of the classroom magician, Young children, 43(4), 17-25. 

  44. Dundes, A. (1980). Interpreting Folklore. Bloominton: Indiana University Press. 

  45. Norton, D. E.(1987). Through the eyes of a child : An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 Columbus: Merrill Publishing Co. 

  46. Ruth, M. & Catherine, R.(2005). Rhyme and Ritual : a new approach to teaching children to read and write. Literacy, 39(1), 18-23. 

  47. Susan, K.(2005). Nursery Rhymes: Foundation for Learning. General Music Today,19(1), 28-31. 

  48. Welch, G. F. & White, P. J.(1997). Age, sex, and Vocal Task as Factors in singing "In Tune" during the first year of Schooling.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33, 153-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