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천저류지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평가
An Evaluation of the Flood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Hancheon Reservoir Ope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2, 2014년, pp.107 - 117  

문덕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물산업연구센터)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박원배 (제주발전연구원 연구실) ,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2007년 제주지역을 강타한 태풍 '나리' 이후 홍수조절을 위해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태풍 '뎬무'의 내습 시, 한천 상 하류에 위치한 하천유량관측소의 자료와 저류지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한천저류지 운영이 하류지역에 미치는 홍수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에서의 실제 하천수위는 3.44m를 기록하였으나, 수위-유량 관계식, 유출전파속도, 저류지 유입량 등을 활용하여 저류지가 운영되지 않았을 경우의 하류지역 하천수위를 분석한 결과 4.16m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홍수저감 효과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유사한 사상에 대해서도 적절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cheon reservoir, which is located upstream of Jeju city, has been built for flood mitigation after Typhoon Nari, 2007. To verify flood mitigating effect of the this reservoir on the downstream area, runoff analysis based on the measured data (two stream discharge monitoring stations and inflow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제4호 태풍 “뎬무” 시 한천의 유출분석을 통해 한천저류지 운영이 한천 하류지역 홍수위험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천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2010년 태풍 ‘뎬무’ 시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관측치 중심의 유출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천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2010년 태풍 ‘뎬무’ 시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관측치 중심의 유출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추정된 수위-유량 관계곡선, 저류지로의 유입량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천저류지 운영에 따른 하류부에서의 첨두홍수량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저류지 운영이 하류지역 홍수위험 저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9는 한천1 지점의 유출시간에 따른 유량과 저류지 유입량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저류지 유입량은 저류지가 운영되지 않았을 경우 저류지로 유입된 하천유출수가 전부 한천1까지 도달된 것으로 가정하여 저류지 유입시각을 한천1에서의 유출발생 시각과 일치시켜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천저류지에 생긴 문제점은? 또한 한천저류지의 경우 하천유출량의 증가에 의한 수해의 위험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천의 치수 안전도 향상을 주목적으로 설치된 시설로서 설치된 후 3년간 그 효과를 확인할 만한 규모의 호우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2010년 태풍 ‘덴무’시 발생한 호우로 인해 저류지로의 대규모 측방유입이 최초로 발생했다. 즉, 한천저류지는 구조물 자체가 산지하천의 우회흐름을 제어하는 형식이어서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 용수 등 각종 용수공급이나 홍수조절을 위한 댐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저수지 운영기법을 적용하기도 어려운 시설이다.
제주지역의 강수량 양극화 연상이 관측된 예시는? 제주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1,975 mm에 달하는 국내 최대 다우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해 강수량의 양극화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실제로 1996년과 2005년도 제주시 연강수량은 900 mm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1999년과 2007년도에는 장마․태풍 시 집중호우로 인해 연강수량이 2,000 mm가 넘어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1). 또한 도시지역의 확장은 그 동안 빗물이 침투되었던 산림, 초지, 농경지가 아스팔트․콘크리트 등으로 피복되어 지하로 침투 되는 빗물 양이 감소하는 반면, 지표유출량은 크게 증가 하여 제주에서도 예전과 달리 침수․재해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하천에서 보이는 유출특성은? 한편, 제주지역의 경우, 내륙과는 매우 상이한 유출특성을 보이므로 대부분의 하천이 평상시에는 건천특성을 보이고 일정량의 호우 발생 시에만 하천수량이 통과하는 전형적인 간헐천 특성을 나타낸다(Chung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ung, I.M., Lee, J.W., Kim, J.T., Na, H.N., and Kim, N.W.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u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0, No. 10, pp. 1347-1355. 

  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si. (2008). A Report on Construction fot Hancheon reservoir, pp. 2-38-2-44. 

  3. Kim, W., Yoon, K.S., Lee, E.R., Kim, C.Y., Kim, D.G., Cha, J.H., and Park, E.H. (2004). Streamflow Measurement Manual,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Technical Report 2004-01, pp. 54-62. 

  4. Kim, Y.C., and Kim, Y.J. (2010). A Review on the State of the Art in th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46, No. 5, pp. 521-533. 

  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1). Application of Analysis Technique and Modeling for Coupled Groundwater-Surface Water Flow System,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p. 496. 

  6. Min, B.H., Ok, C.Y., Son, I.S., Kim, G.H., Min, I.G., and Seo, J.H. (1999). Riparian-engineering, The Publisher Hyeong-Seol, pp. 78-79. 

  7. Park, W.B., and Moon, D.C. (2010). A Basic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for Utilization of Streamwater, Jeju Development Institute, pp. 21-70. 

  8. The Web Page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sate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Headquaters, http://bangjae.jeju119.go.kr 

  9. The Web Page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