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심천 인근 상대리 수막재배지에서 지하수 사용 후 배출되는 최종 배수로 물의 수질 특성
Water Quality in a Drainage System Discharging Groundwater from Sangdae-ri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 near Musimcheon Stream, Cheongju,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5, 2015년, pp.409 - 420  

문상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지하수연구실) ,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지하수연구실) ,  황정 (대전대학교 건설안전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대표적 딸기 수막재배지 중 하나인 청주시 가덕면 상대리 일대에서는 수막재배용 지하수 이용량이 몇가지 방법으로 산정된 바 있다. 이러한 지하수 이용량 산정 방법 중에는 수막재배 사용 후 배출되는 배수로의 유량을 근거로 하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배수로의 물이 모두 사용 후 배출되는 지하수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적용된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가 사용된 후 무심천으로 유출되기 직전의 최종 배수로는 비포장 상태이며 하천 가까이에 나란히 개설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배수로의 물이 인근 하천수의 침투 유입에 의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상대리 지역에서와 유사한 하천과 배수로의 구조 및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최종 배수로의 배출수가 수질의 관점에서 하천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고려된 수질 요소는 현장 수온과 pH, EC 값, 실내 분석에 의한 이온 함량과 수질 유형이며, 현장 측정 및 시료 채취 기간은 2012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이다. 검토 결과, 배출수는 지하수의 평균 수질을 반영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천수의 수질을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연구지역에서와 같이 배수로가 인근 하천 가까이에서 비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배출수의 유량 측정을 지하수 이용량 산정에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배출수의 수온은 주변 대기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하기 때문에, 하천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기는 부적절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배출수 내 지하수와 하천수의 혼합 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ngdae-ri riverside around Musimcheon stream, flowing through Gadeok-myon of Cheongju C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wberry fields employing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in Korea. In this area, annual groundwater use for WCC has been calculated by a few methods. On the assumption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수막재배 사용 후 배수로(ditch)를 통하여 무심천 하류로 유출되는 지하수 물이 배수로를 통과해 갈 때 순수 지하수로만 되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인근 무심천의 영향에 의해 하천수가 일부 침투, 혼합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이는 연구지역에서와 같이, 하천에 유입되기 직전의 최종 배수로가 하천 가까이에서 하천과 평행하게 개설되어 있으며, 포장 수로가 아니라 자연 토양 상태를 유지한 배수로인 경우에, 배수로로 유출되는 물이 순전히 지하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이는 연구지역에서와 같이, 하천에 유입되기 직전의 최종 배수로가 하천 가까이에서 하천과 평행하게 개설되어 있으며, 포장 수로가 아니라 자연 토양 상태를 유지한 배수로인 경우에, 배수로로 유출되는 물이 순전히 지하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는 배수로의 유출량 측정이 수막재배지에서의 지하수 이용량 산출에 타당한 것일지의 여부를 판단케 하며, 유사 환경의 국내 수막재배지에서 상용될 수 있는 방법인지의 여부를 가늠케 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수막재배 사용 후 배수로(ditch)를 통하여 무심천 하류로 유출되는 지하수 물이 배수로를 통과해 갈 때 순수 지하수로만 되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인근 무심천의 영향에 의해 하천수가 일부 침투, 혼합되고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이는 연구지역에서와 같이, 하천에 유입되기 직전의 최종 배수로가 하천 가까이에서 하천과 평행하게 개설되어 있으며, 포장 수로가 아니라 자연 토양 상태를 유지한 배수로인 경우에, 배수로로 유출되는 물이 순전히 지하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는 배수로의 유출량 측정이 수막재배지에서의 지하수 이용량 산출에 타당한 것일지의 여부를 판단케 하며, 유사 환경의 국내 수막재배지에서 상용될 수 있는 방법인지의 여부를 가늠케 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 수막재배지 중 하나인 청주시 가덕면 상대리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배출수, 하천수의 수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수온 측정을 수행한 결과는? (1) 수온 측정 결과, 배출수는 하천수와 마찬가지로 주변 대기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에, 지하수는 대기 온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연구지역에서는 수온을 이용하여 배출수에 대한 하천수와 지하수의 기여도를 검토하기에 부적절 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최종 배수로 중 일부 지점(D2 지점)에서는 배출수가 인근 하천수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이 수온 측정 자료로부터 해석되었다.
수막재배란? 국내에서는 최근에 수변지역에서의 시설재배와 수막 재배 면적이 증가하면서 충적층 지하수의 이용량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수막재배는 지하수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방법으로서, 동절기에 다량의 지하수를 집중적으로 양수하게 되므로 일시적인 지하수 고갈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KIGAM, 2010; Moon et al., 2012).
수막재배의 문제점은? 국내에서는 최근에 수변지역에서의 시설재배와 수막 재배 면적이 증가하면서 충적층 지하수의 이용량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수막재배는 지하수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방법으로서, 동절기에 다량의 지하수를 집중적으로 양수하게 되므로 일시적인 지하수 고갈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KIGAM, 2010; Moo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ng, S. and Chung, I.-M. (2014) Analysis of groundwater variations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us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a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Jour. Eng. Geol., v.24, No.2, p.217-225. 

  2. Chung, I.-M. and Kim, N.-W. (2009) Case of surfaceground water interaction and its application. Water for future, v.42, p.10-18. 

  3. Chung, I.-M., Lee, J. and Kim, N.-W. (2011)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Musimcheon watershed by using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Econ. Environ. Geol., v.44, No.5, p.433-442. 

  4. Conant, B.J. (2004) Delineating and quantifying ground water discharge zones using streambed temperature. Ground Water, v.42, p.243-257. 

  5. Ha, K., Ko, K.-S., Koh D.-C., Yum, B.-W. and Lee K.-K. (2006)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the groundwater levels at multi-depth wells according to the river stage fluctuations. Econ. Environ. Geol., v.39, No.3, p.269-284. 

  6. Hyun, S.G., Woo, N.C., Shin W. and Hamm, S.-Y. (2006)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in a riverbank filtration area. Econ. Environ. Geol., v.39, No.2, p.151-162. 

  7. Jeon, H.-T. and Kim, G.-B. (2011) Evalu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based on temperature, flow properties, and geochemical dat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1, No.1, p.45-55. 

  8. KiGAM (2010) Integrated technologies in securing and applying groundwater resources to cope with earth environmental changes. GP2009-009-01-2010(2), 347p. 

  9. Kim, K.-Y., Con C.-M., Kim T., Oh, J.-H., Jeoung J.-H. and Park, S.-K. (2006) Use of temperature as a tracer to study stream-groundwater exchange in the hyporheic zone. Econ. Environ. Geol., v.39, No.5, p.525-535. 

  10.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eb.kma.go.kr/ 

  11. MOLTMA(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ICTEP(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2) R&D Report for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of riverside porous aquifer. R&D/11Technology Renovation CO5-2, 104p. 

  12.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AIA(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Advancement) R&D Report for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of riverside porous aquifer. R&D/11Technology Renovation CO5-2, 225p. 

  13. Moon, S.H., Ha, K., Kim, Y., Yoon, P. (2012) Analysis of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in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s: Case study of the Cheongweon and Chungju areas. Jour. Eng. Geol., v.22, n.4, p.387-398. 

  14. Silliman, S.E. and Booth, D.F. (1993) Analysis of timeseries measurements of sediment temperature for identification of gaining vs. losing portions of Juday Creek, Indiana. J. Hydrology, v.146, p.131-148. 

  15. Sophocleous, M.A. (2002) Interactions betwee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The state of the science. Hydrogeology Journal, v.10, p.52-67. 

  16. Stonestrom, D.A. and Constantz, J. (2003) Heat as a tool for studying the movement of ground water near stream. USGS Circular 1260, U.S. Geological Survey. 

  17. Winter, T.C., Harvey, J.W., Franke, O.L. and Alley, W.M. (1998) Ground water and surface water, a single resource.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139, 79p. 

  18. Winter, T.C. (1999) relation of streams, lakes, and wetlands to groundwater flow systems. Hydrogeology Journal, v.7, p.28-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