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치위생관리과정 수행 전·후에 따른 구강위생 상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hygiene status by clinical dental hygiene care performance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1, 2014년, pp.25 - 32  

박정란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연경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손화경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hygiene status before and after the dental hygiene care performance to patients by the dental hygienists. Methods : Subjects were 55 adults visiting to dental clinics in Chungnam. The patients agreed to undergo a dental hygiene c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관리과정 수행 전과 후의 구강보건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치위생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흡연이나 음주와 같은 구강건강의 악화요인이 그동안 대상자에게 미쳤을 악영향과 구강위생용품이나 정기구강검진과 같은 올바른 습관이 구강보건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평가를 도출해 냄으로써 향후의 치위생관리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유익한 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  임상치위생관리과정이란 치과위생사가 업무 수행 시 치료뿐만 아니라 대상자에게 필요한 포괄적인 치위생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치과위생사에 의해 수행되는 체계적인 계속관리과정을 말한다. 또한 임상치위생관리과정은 치주질환에 대한 처치를 시행함에 있어 전문가에 의한 전문적인 구강위생처치 만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자와 더불어 본인의 전반적인 요구(needs)를 분명히 파악하여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행동변화를 통한 본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는 과정이다. 임상치위생관리과정은 대상자의 구강과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요구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문서화하는 치위생사정(Dental Hygiene Assement)단계와 이를 통해 현재의 상태 또는 잠재적인 구강건강 문제점들을 확인하여 대상자의 요구를(needs) 규명하는 치위생진단(Dental Hygiene Diagnosis) 단계, 현재의 건강상태를 기초자료로 대상자의 요구 및 기대사항, 가치관에 부합하는 최종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치위생계획(Dental Hygiene Planing)단계로 나누어진다.
  • 본 연구는 치위생관리과정 수행 전과 후의 구강보건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치위생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흡연이나 음주와 같은 구강건강의 악화요인이 그동안 대상자에게 미쳤을 악영향과 구강위생용품이나 정기구강검진과 같은 올바른 습관이 구강보건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평가를 도출해 냄으로써 향후의 치위생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유익한 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 의해 수행된 임상치위생관리과정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업무수행 전 ⦁ 후의 구강위생 상태를 비교 조사함으로써 치위생 활동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 평가하여 이를 치위생 학생들의 효과적인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 의해 수행된 임상치위생관리과정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업무수행 전 ⦁ 후의 구강위생 상태를 비교 조사함으로써 치위생 활동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 평가하여 이를 치위생 학생들의 효과적인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 치위생 사정 자료와 문헌을 근거로 대상자의 구강관련 문제를 파악하고 기록하였다. 치위생진단시 8개의 부분(심미적요인, 치과공포와 스트레스요인, 두경부 피부와 구강점막요인, 전신건강요인, 두경부 통증요인, 구강건강에 대한 책임, 구강건강에 대한 이해)으로 구분하여 원인과 근거를 바탕으로 치위생 진단에 의해 치과의사의 진단이 필요한 환자를 구분하였으며 치과의사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는 치과로 내원하기를 설명하고 치위생관리과정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치주질환 실태는 어떠한가? 국민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구강병의 치료 뿐만 아니라 구강병 예방과 구강건강증진 및 유지와 관련된 다양한 구강건강관리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1). 우리나라는 2012년 주요 다빈도 질환(외래) 조사에서 치은염 및 치주질환 2위, 치아우식이 7위로 나타난 바 있으며 연도별 ‘치은염’질환 진료인원 현황에서는 2006년에 비해 2011년에는 전체 7.3%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치주질환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2) . 치주질환이란 구강에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바이오필름(biofilm)이 주원인이 되어 치주조직을 파괴하는 질환을 말하며 치주조직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비외과적인 치주처치 방안으로는 기계적인 치태조절인 치석제거와 화학적 치태조절 방법으로 나누고 있다3).
치위생관리과정 수행 전·후의 치주낭 깊이와 구취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치위생관리과정 수행 전·후의 치주낭 깊이와 구취변화 비교에서 치주낭 깊이 4mm 이상의 환자군은 치위생관리과정 수행 후 40%가 감소하였고, 구취 High군과 Moderate군은 치위생과정 수행 후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low군의 증가를 일으킴으로써 치위생과정이 치주낭 깊이와 구취에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냈다.
치주질환이란 무엇인가? 3%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치주질환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2) . 치주질환이란 구강에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바이오필름(biofilm)이 주원인이 되어 치주조직을 파괴하는 질환을 말하며 치주조직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비외과적인 치주처치 방안으로는 기계적인 치태조절인 치석제거와 화학적 치태조절 방법으로 나누고 있다3). 특히 치석제거는 치은연상 및 연하에 있는 치석과 치태를 제거함으로서 치주관리의 기본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MH. A survey research on industrial workers oral examination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al request level. J Korean Acad Dent Hyg Edu 2010; 10(1): 185-95. 

  2. Ha JE, Bae KH. Reasons for extraction of permanent teeth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 36(1): 32-7. 

  3. Slots J, Jorgensen MG. Efficient antimicrobial treatment in periodontal maintenance care. J Am Dent Assoc 2000; 131(9): 1293-304. 

  4. Darby ML, Walsh MM.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 Canada: Saunders; 2010: 1-23. 

  5. Cho MJ. Lee ES. Park JR. Jeong JY. Clinical dental hygiene care. 1st ed. Seoul: KMS; 2011: 1-9. 

  6. Kang BW.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ics. Seoul: JeeSeung Publishing Co; 2013: 33-6. 

  7. Wilkins EM. Clinical practie of the dental hygiene. 1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ls; 2009: 5-6. 

  8. Mueller JL, Petersen M. Dental hygiene process: diagnosis and care planning. Albany: Delmar; 1995: 1-144. 

  9. Cho YS, Kim YJ, Ahn GS. An analysis of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USA and in Canada. J Dent Hyg Sci 2006; 6(1): 41-5. 

  10. Cho YS. Comparison of curriculum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for B.s Degree.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05; 5(4): 251-8. 

  11. Kim, EK, Kim YJ, Kim CH. The implem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in Korea standard. Korean Dent Hyg Asso 2004; 74-85. 

  12. Cho YS, Lee SY. Eveloping a intergrated curriculum for a clinical dental hygiene.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05; 5(1): 33-8. 

  13. Cho YS.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e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11; 11(3): 135-54. 

  14. Lee JM, Chung WG, Yoo JH, Kim NH. Analysis of dental hygiene records applied by dental hygiene process.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09; 9(4): 1-16. 

  15. Han SY, Kim NH, Yoo JH, Kim CS, Chung WK. Current status of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J Korean Soc Dent Hyg 2009; 9(3): 271-8. 

  16. Tezal M, Grossi SG, Ho AW, Genco RJ. The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on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ogy 2001; 72(2): 183-9. 

  17. Suzuki N, Yoneda M, Naito T, Iwamoto T, Yamada K, Hisama K, Okada 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oral malodour. International J dent 2009; 59(1): 31-4. 

  18. Woo DH, You HY, Kim MJ Kim HN, Kim JB, Jeong SH. Risk indicator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3; 37(2); 95-102. http://dx.doi.org/10.11149/jkaoh.2013.37.2.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