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2년 특별관측 자료를 이용한 동해안 겨울철 강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the Special Observ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12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1, 2014년, pp.41 - 53  

정승필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  임윤규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  김기훈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  한상옥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  권태영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겨울철 동해안 강수 현상에 대한 규명을 위하여 라디오존데를 활용한 특별관측을 2012년 1월 5일부터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고, 이 연구는 대기의 불안정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강수 사례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강수가 발생할 때 지표면(1000 hPa)에서 중층(약 750 hPa)까지의 상당온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대기층(1000~750 hPa)은 불안정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수준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대류가용잠재에너지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강수가 발생하였을 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연직바람쉬어의 경우에서도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마찬가지로 강수 기간 동안 상승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수에 따른 대기 구조의 상세한 분석을 위하여 지상 원격 탐사 자료와 지상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강수량과 바람벡터를 이용하여 가강수량플럭스를 계산하였다. 가강수량플럭스와 강수량은 북동풍 계열의 바람이 발생하였을 때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그 결과 동해안영역에서 발생하는 강수 현상에서는 풍계와 같은 역학적인 작용의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al observation using Radiosonde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recipitation events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during the winter season from 5 January to 29 February 2012.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various indice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ic instability. Equival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풍 또는 북풍이 발생한 후 7-10시간 후에 강수가 시작되었고, 이러한 바람이 소멸되기 1-2시간을 전후로 강수가 종료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해안 영역의 강수 예보에서 동풍 계열 바람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대기의 불안정을 나타내는 CAPE와 SRH를 비교해 본 결과, 강수 기간 동안 두 불안정도 모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동해안 지역에서 위험기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반도 동해안 지역은 서쪽에는 경사가 급한 태백산맥이 위치하고, 동쪽에는 동해가 있기 때문에 지형과 해양의 결합효과로 인하여 대설과 풍하 측 강풍과 같은 위험기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Lee et al., 2006; Lee and Kim, 2008; Chang et al.
겨울철 동해상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의 규모는 어떠한가? 겨울철 동해상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은 중규모이지만, 해상의 관측망 부족으로 그 발달 구조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또한 영동지역의 겨울철 강수는 강수 영역이 좁고 공간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국지적인 현상으로 이해되지만 기상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그 현상을 모의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Cho et al.
겨울철 동해안 강수 현상에 대한 규명을 위해 강수 사례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어떠한가? 겨울철 동해안 강수 현상에 대한 규명을 위하여 라디오존데를 활용한 특별관측을 2012년 1월 5일부터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고, 이 연구는 대기의 불안정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강수 사례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강수가 발생할 때 지표면(1000 hPa)에서 중층(약 750 hPa)까지의 상당온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대기층(1000~750 hPa)은 불안정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수준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대류가용잠재에너지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강수가 발생하였을 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연직바람쉬어의 경우에서도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마찬가지로 강수 기간 동안 상승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수에 따른 대기 구조의 상세한 분석을 위하여 지상 원격 탐사 자료와 지상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ng, H., Franczyk, J., and Kim, C., 2009, What is responsible for increasing flood risk? The case of Gangwon province, Korea. Natural Hazards, 48, 339-354. 

  2. Cho, K.-H., Cho, Y.-J., and Kwon, T.-Y., 2004, Characteristics of air mass related with precipitation events in Yeongdong reg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e Sciences, 40, 381-393. (in Korean) 

  3. Chung, K.-B., Kim, J.-Y., and Kwon, T.-Y., 2004, Characteristics of lower-Tropospheric wind related with winter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e Sciences, 40, 369-380. (in Korean) 

  4. Davies-Jones, R.P., Burgess, D., and Foster, M., 1990, Test of helicity as a tornado forecast parameter. 16th Conference on Severe Local Storm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56-60. 

  5. Jung, S.-H., Im, E.-S., and Han, S.-O., 2012, The effect of topography and sea surface temperature on heavy snowfall in the Yeongdong region and a case study with high resolution WRF simulat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8, 259-273. 

  6. Kim, D.-W., Kim, Y.-H., Kim, K.-H., Shin, S.-S., Kim, D.-K., Hwang, Y.-J., Park, J.-I., Choi, D.-Y., and Lee, Y.-H., 2012a, Atmospheric vertical structure of heavy rainfall system during 2010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148-161. (in Korean) 

  7. Kim, D.-W., Kim, Y.-H., Kim, K.-H., Shin, S.-S., Kim, D.-K., Hwang, Y.-J., Park, J.-I., Choi, D.-Y., and Lee, Y.-H., 2012b, Effect of urbanization on rainfall events during the 2010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219-232. (in Korean) 

  8. Kwon, T.-Y., Kim, J.-S., and Kim, B.-G., 2013,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Yeongdong and Yeongseo heavy rain. Atmosphere, 23, 245-264. (in Korean) 

  9. Lee, J.G. and In, S.-R., 2009, A numerical sensitivity experiment of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in relation to the inversion layer of temperature. Atmosphere, 19, 331-344. (in Korean) 

  10. Lee, J.G. and Kim, Y.J., 2008, A numerical case study examining the orographic effect of the Taebaek mountains on snowfall distribution over the Yeongdong area. Atmosphere, 18. (in Korean) 

  11. Lee, J.G. and Lee, J.S., 2003, A numerical study of Yeongdong heavy snowfall events associated with easterly.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e Sciences, 39, 475-490. (in Korean) 

  12. Lee, J.-S., Kwon, T.-Y., and Kim, D.-R., 2006, Statistical verification of precipitation forecasts from MM5 for heavy snowfall events in Yeongdong region. Atmosphere, 16, 125-139. (in Korean) 

  13. Lim, Y.-K., Han, S.-O., Jung, S.-P., and Seong, J.-H., 2013,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ccording to GPS observation baseline determinati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1-7. (in Korean) 

  14. Moncrieff, M. and Miller, M.J., 1976, The dynamics and simulation of tropical cumulonimbus and squall line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02, 373-394. 

  15. NEMA, 2012, Annual disaster report for 201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973 p. (in Korean) 

  16. Paul J. Neiman, Hughes, M., Moore, B.J., Ralph, F.M., and Sukovich E.M., 2013, Sierra barrier jets, atmospheric rivers,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n northern California: A composite perspective based on a network of wind profilers. Monthly Weather Review, 141, 4211-4233. 

  17. WMO, 2006, WMO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WMO publication no. 8.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47 p. 

  18. WMO, 2011, Instruments and observing methods report no. 107.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01 p. 

  19. Yoo, C.S., Shin, C.-K., and Yoon, Y.-N., 2004, Estimation and analysis of pecipitation 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4, 413-42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