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YSPLIT 모델을 이용한 김해지역의 PM10 수송 경로 분석
Analysis on the PM10 Transportation Route in Gimhae Region Using the HYSPLIT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8, 2013년, pp.1043 - 1052  

정우식 (인제대학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  박종길 (인제대학교 환경공학부) ,  이보람 (케이웨더(주)) ,  김은별 (인제대학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M_{10}$ concentration trend and meteorological elements in the Gimhae region and analyze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air pollutants through back-trajectory analysis. Among the air quality measuring stations in the G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10과 기상 요소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김해지역으로 유입되는 PM10의 수송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김해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PM10과 기상 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PM10의 수송 경로를 살펴보았다. 황사 발생일 수, 강수량, 기온과 같은 기상 요소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다른 선행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황사일 수가 많을수록, 강수일과 총 누적 강수량이 적을수록 PM10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HYSPLIT 모델을 이용한 역궤적 분석을 통해 기류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여 김해지역으로 유입되는 PM10의 대표적인 수송 경로를 살펴보았다. 역궤적 분석에 사용한 기상 자료는 미국 NCEP의 기상 예측 모델 결과인 Global Data Assimilation System(이하 GDAS) 분석 자료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도시대기 측정망에서 베타선 흡수법에 의해 측정된 PM10의 1시간 평균 자료를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11년 6년 동안의 김해시 동상동, 삼방동의 PM10 농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기상 요소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된 Automatic Weather Station(이하 AWS)는 현재 부원동에 위치한 김해 지점(253)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이 지점은 2008년 2월부터 관측이 시작되었으므로 2009년 1월 자료부터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황사, 연무, 박무, 강수와 같은 기상일을 PM10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이 기상일로 정의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해지역의 특징은?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남권 주요 대도시인 부산광역시에 인접한 경상남도 김해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김해지역은 지리적으로 해안가와 인접해 있고, 다른 한 쪽은 산으로 둘러싸인 연안 분지 지역이다. 또한, 공업 및 주거 지역, 농공단지가 형성되어 도시 전역에 각종 오염원이 분포하고 있으며, 인근 대도시 지역인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그리고 창원시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해륙풍, 산곡풍과 같은 국지풍의 영향으로 수송 및 순환되어 국지적으로 고농도 오염을 나타낼 수 있는 조건에 있다. 현재 김해 지역의 대기질 측정소는 동상동 지점(이하 동상동)과 삼방동 지점(이하 삼방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 1995년, 2003년부터 PM10을 포함한 SO2, CO, O3, NO2를 측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PM10의 장거리 수송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큰 이유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 중 특히, PM10은 자연적, 인위적인 경로 외에도 2차적인 기원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생성된다. 또한 PM10은 체류 시간이 길기 때문에 중위도 편서풍 대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경우 장거리 수송에 의한 영향도 매우 크게 나타난다(Son과 Kim, 2009). 그리고 해안과 내륙 지역의 국지적 바람 조건에 따라서도 PM10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는 등(Song과 Shon, 2008; Lee 등, 2010) 배출원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은 기상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김해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PM10과 기상 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PM10의 수송 경로를 살펴본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김해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PM10과 기상 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PM10의 수송 경로를 살펴보았다. 황사 발생일 수, 강수량, 기온과 같은 기상 요소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다른 선행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황사일 수가 많을수록, 강수일과 총 누적 강수량이 적을수록 PM10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계절별로 살펴보더라도 하계보다는 봄철이나 동계에 PM10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김해지역으로 유입되는 PM10의 수송 경로를 살펴보기 위해 GDAS 자료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HYSPLIT 모델을 수행하였다. HYSPLIT 수치모의를 통한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송 경로를 나타내었다. 각 군집별 기상학적 요소를 살펴본 결과, 군집 1은 주로 남풍 계열의 바람이 주풍향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군집 중 가장 많은 평균 강수량을 기록한 반면, 군집 2는 주로 북서풍 계열의 바람이 나타났고, 기온과 평균 강수량은 가장 낮은 특징을 보여 각각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기단, 시베리아 기단과 관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Environmental Fluid Mechanics 8 367 2008 10.1007/s10652-008-9098-z 

  2. Atmospheric Research 91 9 2009 10.1016/j.atmosres.2008.05.004 

  3.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2 324 2006 

  4. Australian Meteorological Magazine 47 295 1998 

  5. Weather Forecasting 21 383 2006 10.1175/WAF926.1 

  6. Atmospheric Environment 43 1280 2009 10.1016/j.atmosenv.2008.11.028 

  7.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89 159 1990 10.1289/ehp.9089159 

  8. 김영성. 황사의 대기환경영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7, no.3, 255-271.

  9. Atmospheric Environment 38 3935 2004 10.1016/j.atmosenv.2004.03.033 

  10.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0 49 2004 

  1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 757 2003 

  12. 김경원, 방소영, 정종현. 기단 역궤적분석에 의한 경주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4, no.2, 162-175.

  13. 김민경, 이화운, 정우식, 도우곤. 인접지역간 오존 농도 차이에 대한 기상요소의 영향분석(부산광역시 기장군을 대상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21, no.9, 1097-1113.

  14.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35 16 2006 

  15. 김유근, 오인보, 강윤희, 황미경. MM5-CAMx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의 재순환현상 모델링: 2004년 6월 수도권 오존오염 사례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3, no.3, 297-310.

  16. Atmospheric Environment 28 1181 1994 10.1016/1352-2310(94)90295-X 

  17.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8 81 2002 

  18. 이화운, 김동혁, 이순환, 김민정, 박순영, 김현구. 대기예보모형과 진단모형 결합을 통한 복잡지형 바람장 해석능력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19, no.1, 27-37.

  19.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7 475 2001 

  20.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8 59 2002 

  2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 1 2004 

  22.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 851 2006 

  23. 이순봉, 강창희, 정덕상, 고희정, 김행범, 오용수, 강혜림. 제주도 고산지역 TSP, PM2.5 대기에어로졸의 조성 및 오염 특성.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ol.23, no.4, 371-382.

  24.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 13 2003 

  25. 이용미, 이승묵, 허종배, 홍지형, 이석조, 유철. Hybrid receptor model을 이용한 대기 중 총 가스상 수은의 오염원 위치 추정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19, no.8, 971-981.

  26.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48 336 1993 10.1080/00039896.1993.9936722 

  27. 박종길, 석경하, 김지형, 차주완. 연안 도시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분포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11, no.12, 1243-1252.

  28.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critical care medicine 142 1123 1992 

  29.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50 159 1995 10.1080/00039896.1995.9940893 

  30. Environmental Research 64 36 1994 10.1006/enrs.1994.1005 

  31. Epidemiology 7 20 1996 10.1097/00001648-199601000-00005 

  32.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5 12 1992 10.1093/oxfordjournals.aje.a116195 

  33. 손혜영, 김철희. 부산지역 대기측정망 자료에 나타난 미세먼지 농도의 시계열 해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25, no.2, 133-140.

  34.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 1169 2008 10.5322/JES.2008.17.10.1169 

  35. Atmospheric Environment 41 7739 2007 10.1016/j.atmosenv.2007.06.042 

  36. Atmospheric Environment 36 3403 2002 10.1016/S1352-2310(02)00312-6 

  37.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 Public Health 5 484 2008 10.3390/ijerph5050484 

  38.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 Public Health 6 1055 2009 10.3390/ijerph6031055 

  39. National Institute for Resources & Environment 35 6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