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예교 성능저하 원인에 따른 보수방안 고찰 - 선암사 승선교·송광사 극락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pair Method for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 of Korean Arch Bridge -Focused on the Seonamsa Seungseonggyo, Songgwangsa Geukrockgyo-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1, 2014년, pp.7 - 19  

김정언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siders the proper repair techniques by examining the most representative repair cases of the Korean arch bridges and proposes the constructional manual which can apply similar occasions. The cases are Seonamsa Seungseongyo and Songgwangsa Geukrockgyo where this researcher had taken p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적으로 약 60여개만 남아있는 교량 중, 문화재로 지정된 교량의 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교량조(橋梁條)의 기록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교량은 전국적으로 516개였으며, 조선 후기 한양에만 86개의 교량이 존재하였고 현재는 전국적으로 약 60여개만 남아 있다. 그 중 문화재로 지정된 교량은 총 31개이며 홍예교가 19개로 주를 이루고 있다. 축조연대를 살펴보면 다리축조의 시기가 후대로 내려오고, 축조기술이 발달할수록 단경간의 홍예교를 많이 볼 수 있다.
홍예교 성능저하의 원인에 따른 보수방안 및 주안점은 무엇인가? 첫째, 보수를 위한 행위로서 ‘해체’이지만, 그 자체로 홍예교의 구조적 안정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음을알 수 있었다. 기초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보양을 하거나 건기에 공사를 시행하는 것이 유리하며, 계곡물이 우회할 수 있는 통수로의 확보 및 물막이 가설을 설치하는 것이 홍예기초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홍예교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에 있어서, 강성이 높은 보충재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균질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보충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문화재로서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질의 석재를 사용해야 하는 당위성도 있지만, 구성 부재 강도의 차이가 현격할 경우 강도가 낮은 부재에 쏠리게 되는 응력의 편중현상이 홍예 구조의 안정성 저해의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셋째, 보충 석재를 가공함에 있어서 “결”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구조 안정성 및 재료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홍예교를 구성하는 석재가 대부분 화성암 종류이며, 화성암은 용암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응고되어 강도와 응력분포에 있어서 방향적 균질성인 이른바 “결”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석재 내부의 결 방향과 엇결 방향의 응력분포의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 성능저하를 방지는 방안으로 파악된다. 넷째, 홍예교를 구성하는 석재는 강성과 가공 정밀도에 따라 세 가지 단계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고 문화재의 진정성 확보에 유리한 측면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강성 및 가공 정밀도는 ‘홍예석 ≧ 면석 ≧속채움석’의 순서로 나열될 수 있으며, 구조적 성능 역할의 차이로도 인식된다. 여기에는 풍화 또는 마모에 따라서 재사용이 어려운 부재를 전용하여 홍예교 내부에 재사용할 수 있는 여지를 포함한다. 즉 일부 교체한 홍예 석을 폐기하지 않고, 면석이나 속채움으로 전용할 수 있어 원부재의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석재의 효과적 밀착을 위한 ‘그렝이’기법의 적용에 개선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마추픽추”의 돌쌓기는 면(面)의 정교한 밀착이 이루어진 반면, 그렝이 기법은 점적 또는 선적인 맞댐을 이루는 차이가 있다. 이는 홍예교에서 비교적 가공 정밀도가 높은 홍예석에서도 나타나는데, 노출면에서는 선형의 정밀한 맞댐이 이루어지지만, 내부에서는 쐐기와 끼움돌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홍예교의 구조적 안정성이 쐐기와 끼움돌의 내구성에 좌우될 수 있 으므로, 그렝이 기법의 적용을 면적인 차원으로 높이는 것이 장기적 측면에서 구조 안정성을 지속시킬 수 있은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섯째, 철편을 대체할 수 있는 티타늄과 같은 완충재의 효과적 사용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렝이 기법이 적용됨에 따라 각 부재는 점 또는 선형으로 밀착되는 상황에서 닿는 지점으로 하중이 쏠리게 되면, 국부적인 파괴현상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석탑에서는 시우쇠 철편의 연성을 이용한 쐐기가 사용된 경우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부식에 의한 오염과 팽창과 같은 문제들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부식되지 않은 연한 금속을 사용 하여 국부적 응력 쏠림을 해소하는 것이 홍예교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담보하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사찰들이 단경간 홍예교1)를 선호한 이유는? 특히 조선시대 사찰들은 대부분 계곡을낀 산지에 위치하고 있어 다리를 가설할 수 밖에 없었다. 주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계곡을 가로 질러 긴 경간을 구축할 수 있는 단경간 홍예교1)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홍예교는 숙련된 장인집단과 경제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형 사찰에서 주로 축조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Goheung County, Precision ordnance survey report of Goheung-Honggyo, 2003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tructure stability research reports of Sungnyemun lower masonry, 2011 

  3. Songgwangsa Temple, Repair report of Songgwangsa Geukrockgyo Bridge, 2008 

  4. Suncheon City, Measurement & Repair report of Seungseongyo Bridge of Seonamsa Temple, 2004 

  5. Son, Young-Sik, A Study on the Type of Old Bridges in Korea,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Ph. D.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1992 

  6. Jeong, Mong-Sub, A Study on structural form by funct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aster the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1992 

  7. Cheon, Deuk-Youm.Jeon, Bong-Hee,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of Korean(Jeonnam-Province), Gimondang, 2002 

  8. Cheon, Deuk-Youm, Traditional Architecture of Jeonnam Region, Chonnam University publisher, 1999 

  9. Hangook Gunsul Anjeon Gisulwon, Structure stability research reports of Songgwangsa Geukrockgyo Bridge,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