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리랑카 불탑 형식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Sri Lanka Stupa Typ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6, 2015년, pp.57 - 66  

허지혜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ri Lanka Stupa had been affected by Indian stupa directly, understanding Sri Lanka Stupa is important to know about the flow of Buddhist Art History, which is showing the variation of Initial Buddhist stupa. Due to invasions and disasters, all Sri Lanka's Stupa collapsed and became random mo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스리랑카 불탑의 구성요소를 비교분석한 후, 동시대에 불교문화가 융성했던 간다라지역과 스리랑카의 불탑 발달과정 가운데 유의점을 찾아 스리랑카 불탑 형식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 스리랑카의 불탑을 조사하는 데 있어 구체적이고 정확한 자료를 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스리랑카의 현존하는 불탑의 형태를 연구함에 있어서 확인이 가능하고 보수를 거친 후의 완전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불탑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현지답사를 통한 조사연구5)는 스리랑카의 불교 유적이 남아있는 지역인 아누라다푸라(Anuradhapura), 미힌탈레(Mihintale), 플론나루와 (Polonnaruwa), 시기리야(Sigiriya), 담불라(Dambulla), 마탈레(Matale), 캔디(Kandy), 콜롬보(Colombo), 칼루타라 (Kalutara)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현지 기후 문제로 답사가 불가능했던 남부, 특히 팃사마하라마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다.
  • 다만 현재 현저히 적은 자료와 원형의 망실로 인해 충분히 연구되지 못하였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현존하는 불탑으로 한정하고, 스리랑카 불탑의 축조시기와 세워진 지역, 크기와 형태 등을 비교하여 스리랑카의 현존 불탑의 형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도 초기 탑의 전래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간다라탑과 비교고찰하였다.
  • 현재 스리랑카의 불탑 연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한 탓에 고대 역사서에 기록된 불탑 형식 구분법이 그대로 통용되고 있으며, 그마저도 학자들 간에 차이를 보여 혼란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로서는 추정만 가능한 스리랑카의 초기 불탑은 우선 배제하고, 현존하는 스리랑카 불탑으로 제한한 후 스리랑카불탑의 형식을 재구성하여 추후의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스리랑카의 불탑은 현재까지 통상 6가지 혹은 7가지로 분류되어 왔으나, 대상을 현존하는 불탑으로 제한한다면 이 형식은 4가지 이하로 구성되어야 한다.
  • 또한 overturned goblet shaped와 overturned plate shaped 의 판단 기준자체가 모호하여 두 유형을 구분할 명확한 근거나 당위성을 찾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스리랑카 불탑으로만 한정하여 그 형식을 네 가지로 재분류하고 이를 스리랑카 불탑 연구의 새로운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7유형 중 제외된 3유형 또한 기록상으로 스리랑카에 있었던 불탑으로 알릴 필요가 있지만 현황과 맞지 않게 7유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연구하는 것은 다소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리랑카 불탑에 영향을 준 인도의 불탑형식은? 이후 근대 시기 이전까지 여러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각지역의 건축과 예술 전반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1) 인도로부터 불교가 전해진 기원전 3세기 이후, 인도의 산치 탑과 유사한 형태의 인도 전형 불탑형식이 스리랑카 불탑에 자연스럽게 영향을 주었다. 스리랑카 불탑은 기원전 3세기부터 13세기에 중부의 아누라다푸라, 플론나루와, 캔디에 활발히 건립되었다.
데바남피야팃사는 어떤 업적을 남겼는가? 기원전 6세기 석가모니의 열반 이후, 인도 아소카 왕의 아들 마힌다 승려(Arhat Mahinda)는 스리랑카 미힌탈레에서 당시 아누라다푸라의 왕 데바남피야팃사(Devanampiya Tissa, 재위 BCE307~BCE267)에게 불교 교리를 전하게 된다. 데바남피야팃사는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스리랑카 전역에 불교가 전래되도록 힘썼고, 스리랑카의 토착문화와 어우러져 독창적인 불교문화가 형성될 수 있었다. 안타깝게도 이때 세워진 거대한 사원과 불탑 중 건립 당시의 모습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 것은 하나도 남아있지 않고, 당시의 불탑과 사원의 모습은 스리랑카의 고대 역사서2)에 글과 도상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스리랑카 정부는 불교 유적에 대해 어떤 지원을 하고 있는가? 현재 스리랑카 정부는 불교 유적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불교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는 상황이다. 불교 유적에 대한 복원과 유지에 필요한 예산은 지원이 많이 되지 않고 있고, 이 때문에 현재 스리랑카 불탑을 미약하게나마 보수하고 주기적으로 흰색으로 채색하는 작업은 모두 자발적인 참여와 봉사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Parker, Ancient Ceylon, 2011 

  2. S. Paranavitana, The Stupa in Ceylon, 1946 

  3. K.M.de Silva, A History of Sri Lanka, 2005 

  4. T.Jayakumar, Sri Lankas' National Heritage and National Symbols, JK Law books, 2013 

  5. Adrian Snodgras, The symbolism of the Stupa 

  6. Cheon Deuk youm, Form and Meaning of Indian Buddhist stupa, Simmian, 2013, p.69 

  7. Hasitha K.M., Heritage of Ancient Magama, the Capital of Ruhuna Kingdom, Lakdasun Trip Reports Archive, 2013 

  8. Munidasa P.ranaweera, Gamunu Silva,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ncient stupas in Sri Lanka, 10th East Asia-pacific Conference on Structural Engineering&Construction, Bangkok, 2006.08. 

  9. Sohn Shin-Young, A study on Gandhara Stupa, Art History Report of Journal no.25, pp.117-146 

  10. Cheon Deuk youm, Semantic Analysis of Indian Original Stupa,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ol.2 no.2 (Serial No.4), 1993.12, pp.96-104 

  11. Rhi Juhyung,The Concept of Buddha Images in Early Indian Buddhist Art, Korean Association of Art History Education, Journal of Art History 15, 2001.08, p.87 

  12. Joo Kyeongmi, Tooth Relic Temple in Sri Lanka and East Asian Buddhist Pilgrims, The Pusan Kyungnam Historical Society, History & the Boundaries 69, 2008.12, p.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